새로 나온 음반 / 노래하는 이지상 3집
위로하다, 위로받다
(사진/ 82년 11월 14일(한국시각)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WBA라이트급 타이틀경기 14회전에서 맨시니의 오른손 훅을 맞고 쓰러진 김득구가
로프를 잡고 일어서려 애쓰고
있다.(사진 위)
아들 김득구의 관 앞에 선 어머니 양선녀씨. 오른쪽은 김선수를 길러낸 트레이너 김현치씨.)
82년 11월 18일 오전 7시, 미국 라스베가스의 데저트 스프링스 병원. 김득구(당시 23세)의 생명을 지탱하던 산소호흡기가 정지했다. 어머니 양선녀(당시 62세)씨가 지켜보는 가운데 김의 심장은 힘겨운 박동을 끝냈다. 챔피언 레이 맨시니의 주먹에 의식을 잃은 지 99시간만이었다.
무명과 가난에 맞선 23년간의 싸움도 막을 내렸다. “작은 관을 가지고 떠납니다. 맨시니가 그 안에 들어가던지, 제가 들어가던지 둘중의 하나입니다.” 김은 끝내 자신의
비장한 맹세를 지켰다.
2살때 아버지를 여의고 강원도 산골에서 자란 그는 14살때 무작정 서울로 올라왔다.
구두닦이, 껌팔이를 거쳐 서울 구로공단 보세공장에서 생존의 문제와 처절히 싸웠다.
16살에 시작한 권투는 지겨운 바닥생활을 떨쳐버릴수 있는 유일한 탈출구였다.
일확천금과 신분상승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도시, 라스베가스가 그런 김득구를 기다리고 있었다. 세계챔피언은 최고의 가치이자 무지개였다.
11월 14일 오전 7시, `황제의 궁전(시저스 팰리스 호텔)'에 마련된 특설링에서 WBA
라이트급 타이틀전이 시작됐다. 상대는 떠오르는 백인권투영웅 맨시니. 두 선수는 서로 때리고 맞으며 처음부터 혈투를 벌였다. 챔피언 맨시니는 한때 KO 직전까지 몰리기도 했다. 그러나 김은 승리의 문턱에서 14회 19초만에 맨시니의 오른손 훅을 맞고
넘어져 다시는 일어나지 못했다. 나흘간의 뇌사상태 끝에 심장과 콩팥을 2명의 동양계 미국인에게 떼주고 김은 자신이 만든 관에 누어 고국으로 돌아왔다.
논쟁이 그의 죽음을 뒤이었다. 뉴욕타임즈는 사설을
통해 “인간은 고깃덩어리가 아니고, 프로권투는 스포츠가 아니다”며 권투의 잔혹성을 지적했고, 미하원에서는 이 문제를 놓고 청문회까지 열었다. 1897년
12월 월터 크루트가 사망한 이후 김득구에 이르기까지 사망하거나 식물인간이 된 권투선수는 모두 340여명. 비난 여론을 견디지 못한 국제권투기구들은 15회
경기를 12회로 줄이고 `스탠딩다운제'를 도입하는 등
선수보호를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그 이후 권투로 인한 사망자는 83년부터 지금까지 40여명으로 줄었다.
김의 죽음은 국내 프로권투가 긴 침체에 빠져든 신호탄이기도 했다. 프로야구가 150만 관중을 동원하며
출범과 동시에 대성공을 거둔 그 해, 김득구를 포함한 6명의 한국선수가 세계타이틀에 도전했으나 모두 실패했고, 국내 유일의 세계챔피언이었던 김철호마저 타이틀을
잃었다 74년 홍수환 이후 매년 세계챔피언을 배출했던 한국권투가 8년만에 겪게된 `무관의 시대'였다. 이듬해 탄생한 프로축구, 프로씨름 등이 권투의 빈자리를 메운 것 은 당연한 일이었다.
세상에 남겨진 김의 자취는 많지 않다.
김의 아이를 가졌던 약혼녀 이아무개(당시 22세)씨는 이후 주변과의 소식을
끊었다... 백인들의 영웅으로 기대를
한몸에 받던 맨시니도 슬럼프에 시달리다 링을 영원히 떠나버렸다. `하면된다'는 헝그리 정신의 우상에 바쳐진 젊은 혼, 김득구. 그는 이제 기억조차 서글픈 전설로만 남아있다. <안수찬기자>
김득구
곽재구 시 이지상 곡
사랑과 집념을 위해 아니 그보단 한맺힌 네
슬픔과 기다림의 절정을 위해
너는 낯선 땅 힘센 미국 선수의
빛나는 부와 프론티어 정신 앞에
덜그덕거리는 조선맷돌 하나의 힘으로
네 슬픔의 마지막 절정 위에 큰칼을 씌웠다
세계경찰 완장 두르고 아프리카와 남미 중동
아니 아시아의 남과 북 한반도까지
자국민의 평화를 위해
아낌없는 자본과 포탄을 퍼붓는 나라
그 나라의 한복판에 세워진 콘크리트벼랑 위로
부딪혀 쓰러지는구나 너는
너는 부서질 줄 알고
너는 슬픔의 한없는 깊이를 알고
너는 사랑의 겸허한 목소릴 알고
너를 기다리는 어머니의 체온을 알고
득구 너의 고향 북한강엔 지금은
늦가을 골안개가 희게 흩어지고 음
사랑과 희망을 위해 오늘 네
쓰러진 머리 힘빠진 목줄기엔
네 어린날 검정 고무신짝으로 네 고향 북한강
푸르디 푸른 그리움의 강물을 쏟는다
외로운 네가 허공을 향해
조선낫을 휘두를 때
흰옷입은 우리들은
아리랑을 아리랑을 불렀다
자료출처 : 한겨레 신문 20세기 스포츠파노라마(www.hani.co.kr)
네이버 (www.naver.com)
*
이지상의 새노래를 걸려고 했는데
앨범이 나오면서 링크가 되지 않는군요
<김득구>라는 노래 좋더군요
영화 <친구>를 만든 곽경택 감독이 '김득구 영화'를
거의 다 만들었다는데, 노래는 god가 자청했다는고 하네요
중학생 한때 권투에 빠져살던 때가 있었지요
이름도 생생한 권투전문지^^; <펀치라인>이란 월간지를
한 이년 정도 구독한 기억도 나는군요
참, 철이 없던 시절이었지요 -_-
김득구 때문이었는지는 모르지만
언제부턴가 '보는 스포츠'에 관심을 잃고
지금은 책읽는 데만 마음을 쓰지요 -_-
김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