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섭취의 중요성에 대하여 (1)
아직까지도 많은 분들께서 지방에 대한 오해를 가지고 계세요.
지방은 우리 몸에 안좋은 것이라는 것과
우리는 체지방을 없애기 위해서 열심히 짐(Gym)에 가서 운동을 하는데
왜 우리가 지방을 섭취해야만 할까?에 대한 의문점,
여러분도 가지고 계신가요?
----------------------------------------------------------------------------------------------
첫번째 파트에서는 지방의 종류와 각 특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다가올 두번째 파트에서는
1. 현명한 지방 섭취의 방법
2. 각 지방들의 종류에 해당하는 식품
3. 지방 섭취의 중요성에 대해 더 심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우리가 섭취하는 대부분의 음식은 여러 종류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지방은 모두 나쁜 것이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몸에 좋은 지방의 섭취는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하고 우리 몸에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있 듯이
현명하게 건강한 종류의 지방을 선택하여 적당하게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지방에는 다양한 종류가있습니다.
보통 우리의 몸은 우리가 섭취한 (탄수화물, 단백질 등으로부터) 열량 중에서 에너지로 소비되고
남은 초과된 열량으로 지방을 만듭니다.
하지만, 우리가 음식으로부터 섭취하게 되는 지방을 dietary fat, 즉 한국어로 음식물 지방이라고 부릅니다.
이 음식물 지방(dietary fat)은 단백질과 탄수화물과 어울러 주영양소이며, 우리 몸에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지방은 우리 몸의 많은 중요한 기능들을 돕기때문에 건강에 필수적입니다. 또한, 지방은 일부 비타민들이 우리 몸에 흡수되고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꼭 필요합니다.
그러나 지방의 부정적인 면도 있습니다.
어떤 종류의 음식물 지방은 심혈관계 질환이나 제 2형 당뇨병을 야기시키기도 합니다.
이러한 해로운 음식물 지방은 비만과 암과 같이 다른 질병들을 일으키는 역할도 합니다.
이로운 건강한 지방
단일 불포화지방 (Monosaturated fat)
단일 불포화지방은 다양한 음식과 오일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많은 연구 결과들은 단일불화지방이 풍부한 음식들이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완화시켜주고, 이것이 심장 질환의 위험을 낮춰준다는 것과 인슐린 수치와 혈당 조절에 탁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불포화지방 (Polysaturated fat)
다불포화지방은 대부분 식물성 기반인 음식과 오일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불포화 지방산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완화시켜주고, 이 것이 심장 질환의 위험을 낮춰줍니다. 그리고 제 2 형 당뇨병의 위험 감소에도 도움을 줍니다.
다불포화지방의 종류로는 우리가 잘 아는 오메가 3 지방산이 있습니다.
오메가 3는 특별히 심장에 좋고, 고등어, 꽁치, 연어, 참치와 같이 지방 함량이 많은 생선류에서 오메가3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오메가 3는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을 낮춰주며, 불규칙적인 심장 박동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며 저혈압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단일불포화지방과 다불포화 지방은 실온에서도 액체 상태이며, 이 지방들은 올리브 오일, 홍화씨유 등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해로운 지방
해로운 주된 음식물 지방(Dietary fat) 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포화지방
포화 지방은 주로 동물성 원료로 부터 오는데, 이 지방은 제 2 형 당뇨병 (type 2 diabetes)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LDL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높여줍니다.
트랜스 지방
트랜스 지방은 특별히 동물로 부터 만들어지는 음식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트랜스 지방은 불포화 지방의 부분적 수화 과정 (Partial hydration)을 통한 음식 가공 중에 만들어집니다.
이 과정은 지방을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일보다 더 쉽게 조리할수 있도록 하고 상하는 것을 막도록 합니다. 이 트랜스 지방들은 공업 또는 합성 트랜스 지방 (industrial or synthetic trans fat)이라 불리웁니다. 실제 연구들은 합성 트랜스 지방이 몸에 좋지 않은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건강한 콜레스테롤인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다고 보여줍니다. 그리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높은 비율의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을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지방들은 실온에서는 고체입니다.
이것 때문에 이 지방들을 고형 지방 (solid fats)라고 합니다.
이 고형 지방 중에는 소 지방, 돼지 지방, 쇼트닝, 스틱 마가린 그리고 버터가 있습니다.
얼마전 워싱턴포스트지에 흥미로운 글이 올라왔습니다.
밀웜(고소애)이 과연 식용유지로써 가능성이 있을까에 대한 글이었습니다.
"Mealworm margarine could be right around the corner. Would you try it?"
원문 :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speaking-of-science/wp/2016/08/29/mealworm-margarine-could-be-right-around-the-corner-would-you-try-it/?utm_campaign=digest&utm_medium=email&utm_source=app
간략히 정리하자면,
와그닝겐 대학에서 밀웜을 유지(기름)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중.
- 밀웜에서 고형 지방(solid fat)와 액체 상태의 기름(liquid fat) 둘다 추출할 수 있음
- 식용으로써 향이 나쁘지 않으며 트랜스 지방이 없음
- 환경을 중요시하는 유럽인들은 곤충 유지를 이용한 제품을 사용하기 시작할 것
(동애등에의 유지를 이용한 컵케익과 버터를 이용한 컵케익으로 블라인드 테스트 해볼 경우, 별다른 차이를 발견하지 못함)
부정적인 시각도 있음.
- 지방의 구조에 대한 분석이 더 필요함
- 산업화 수준으로 규모를 가져갈 수 있는지 의문
(예를들어 말레이시아는 작년 25백만톤의 팜유를 수출)
지금까지 지방섭취의 중요성에 대하여 더 깊이 알기 위한
기초적인 지방에 대한 지식인, 지방의 종류와 그 특징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