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석동호회 단톡방에서]
[채동석회장님제공]
❤인생이 아름다운 이유🤍
어느 날~~
급한 볼 일이 있어서 외출을 했다.
뭔가 중요한 것을 결정해야하는 일이었기에
출발전부터 신경이 예민해져 있었다.
그래서 마음을 차분하게 하려고
동네 커피 전문점에 들어가
카페라테 한잔을 주문 했는데,
테이크 아웃해서 들고 나오던 중,
유리문에 살짝 부딪혔다.
순간 종이 컵 뚜껑이 제대로
안 닫혔던지 커피가 반쯤 쏟아져 버렸다.
나는 바로 안으로 들어가서
“뚜껑 하나 제대로 못 닫아 커피를
반이나 쏟게 하느냐?” 화를 냈다.
종이컵 뚜껑을 잘못 닫은
그 청년 직원은 어눌한 발음으로
“죄송 합니다. 죄송 합니다”
하며 연신 고개를 숙였다.
그때 커피 나왔다는 신호의
진동벨이 앞 좌석에서 울렸다.
앞 좌석의 그 아주머니가
커피를 받아서 내게 건네며 하는 말.
“카페라테 예요. 저는 커피를
좋아하지 않아서 늘 남겨요.
그거 제가 마실께요 ?
우리 바꿔 마셔요.”
난 그 아주머니가 손에 쥐여 준 그분 몫의
카페라테를 들고 도망치듯 나왔다.
너무 부끄러웠다.
커피집에 들를 때 마다 문득 문득
그때 커피 전문점에서의 상황이
마음속에 늘 그늘로 남아 있어
쉽게 지워지지 않았다~^
가끔 들르는 그 커피집에는 낯선 청년이 새로 와서
일을 하고 있었는데 가만보니
행동이 느리고 말이 어눌했다.
순간 그 청년을 채용해 준
회사가 몹시 고마웠다.
그건 단순히 취직이 아니라
한 사람의 인생에 눈부신 날개를
달아주는 일 이었다.
그리고 ㅡ!
내 시선을 빼앗은 또 한 사람.
40대 아주머니 한 분이 구석에
앉아서 커피를 마시고 있었다.
단순한 손님이 아니라는 걸 직감 했다.
그 아주머니는 오직 한 사람만 보고 있었다.
아주 애틋하고 절절한 눈빛으로~^
청년의 어머니라는 걸 쉽게 알 수 있었다.
발달 장애인 아들의 첫 직장에서
그 아들을 지켜보는 심정이 어떨까?
초조하고 불안하고 흐뭇하고 감사하고
참으로 다양한 감정의 소용돌이에서
눈물을 참고 있는듯 보였다.
순간 나는 그 아주머니를
안심시켜 주고 싶었다.
다가가서 이렇게 말했다.
“저 여기 단골 인데요...!
아무 걱정 마세요~.
여기서 일하는 직원들
다 착하고 좋아요,
아드님도 잘 할거예요.”
그 아주머니의 눈에 눈물이
핑 도는걸 보고 나도 울컥했다.
삶이 아름다운 건 서로 어깨를
내어 주기 때문이 아닐까?
한문의 사람 인 (人)자 처럼.~^
망설임 없이 자신의 몫인 온전한
카페라테를 내어 준 아주머니.
화재 현장에서 부상을 입어 들것에 실려
병원으로 향하면서도 한 사람 이라도
더 구하지 못해 안타까워하는
소방관 아저씨.
장사 안 되는 동네 입구 과일가게에서
사과를 살때 제일 볼품 없는 것만 골라 넣는
퇴근길의 영이 아버지.
마스크를 서너 개씩 여분으로 가방에 넣고 다니며
마스크를 안 쓴 사람에게 말없이 내미는 지호 할머니.
이렇듯 참으로 많은 보통 사람들이
우리의 인생을 아름답게 만들고 있습니다.
나는 얼마나 더 감사하고
배풀며 살아 갈수 있을까?
남은 인생 나는 얼마나 자주
내 어깨를 내어 줄수 있을까?
<좋은 글 중에서 옮겼습니다>
https://youtu.be/IUNPg5tSUaE?si=MGpL1VHP5ky26r03
=======================
☆어느 개구리의 고독
우리들의 인생은 외롭다.
삶은 어차피 외로움 속에서 이루어진다.
대통령도 외롭고
국무총리도 외롭다.
마누라도 외롭고
남편도 외롭다.
사람들은 그렇게 때로는
외로움을 삼키며 산다.
고독은 누구나 운명적으로
감당해야 하는 삶의 조건인지도 모른다.
화려하고 잘 생긴 영화배우도 외롭고 번다한 거리에 서 있는 교통순경도 외롭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고독감과 외로움을 느낀다. 외로움을 피하려고 하면 더욱 외로워지는 게
우리 인생이다.
외로움을 극복하려면 외로움에 익숙해지는 수밖에 딴 도리가 없다.
얼마 전 신문을 읽으니 프랑스 파리에는 한집 건너 독신이라고 한다.
그 사람들은 배우자 없이 혼자 살면 외롭지만 자유가 더 좋아 결혼은 안 한다고 한다. 차라리 고독한 자유를 즐기면서 산다는 것이다.
한국도 이와 비슷한 사회 모습으로 변질되어 간지 오래다.
옛날엔 가족이 삼대(三代)가 한 지붕 밑에서 살면서 가장의 권위와 체통을 지키면서 손자손녀들의 재롱도 받고 살았으나
요즘 가족은 핵(核)가족화로 분해되어 모두들 뿔뿔이 흩어져 살고 있다.
200년 전에 살았던 미국의 프랭클린이라는 사람은 그래도 딸을 둔 부모는 낫다고 했다.
아들은 결혼과 동시에 자식을 잃어버리지만 딸은 마음만이라도
부모 곁을 떠나지 않고 고분하게 부모를 섬겨서 좋다는 것이다.
결혼하고 나면 처, 자식에 빠져 있는 아들보다는 붙임성 있는 딸이 낫다고 했다.
18세기에도 지금이나 마찬가지로
사람 사는 양태는 별반 다르지
않았는가 보다.
아들딸들이 시집 장가를 가 버리고 나면 늙은 내외만 달랑 남는다든가
아니면 한 쪽 배우자가 없는 사람은
혼자서 남은 세월을 살아야 한다.
자식들은 가끔가다 효(孝)를 합네 하고 전화라도 하고 일 년에 한두 번 명절에나 보게 되지만
늙은 부모는 그것도 고마운 마음으로 감지덕지해야 한다.
노인들은 독백처럼 중얼거린다.
키울 때 자식이지 키우고 나면
다 그만이라는 것이다. 이건 엄연한 진리라고 생각하면 마음이 편해진다.
지금의 노년 세대도 부모님한테 만족하게 효도를 한 사람이 얼마나 되겠느냐 말이다.
인생은 그렇게 섭섭하게 흘러가게 마련이다.
늙으면 어차피 이런저런 서러운 일들이 많다.
어느 통계에 의하면 오순도순 금슬 좋게 산 사람 일수록 한 쪽이 먼저 죽고 나면 남은 사람도 시들시들하다가 얼마 안 있어 따라 간다고 한다.
특히 부부금슬이 유달리 좋은 사람일수록 이런 현상이 많다고 하니 금슬 좋은 것도 탈이라면 탈이다.
둘이서 오래 살다가 남자가 먼저 죽으면 그래도 좀 괜찮은데
여자가 먼저 죽으면 혼자 남아 있는 남자의 초라하고 처량한 모습은
주위 사람들을 보기 딱하게 만든다.
양쪽 모두 건강하게 살다가 비슷한 시기에 같이 간다면 얼마나 복 받은 사람이련가?
우리 인생은 어차피 외롭고 고달프지만 늙으면 더욱 외롭고 쓸쓸해지는가 보다.
개구리의 우화(寓話)가 생각난다.
개구리 부부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개구리 아내는 알을 잔뜩 낳고는 떠나가 버렸다.
남편 개구리는 알들을 입에 가득 넣고 그 알들을 혼자서 키우기 시작했다.
알들을 입에 넣은 개구리는 먹을 수도 노래를 부를 수도 없었다.
노래도 안하고 먹지도 안하는 것을 본 친구 개구리들은 재미가 없다고
하면서 하나씩 떠나기 시작했다.
남편 개구리는 어느새 외톨이가 되었다.
남편 개구리는 알들이 부화를 하게 되면 이 외로움도 사라질 것이라고 믿었다.
귀여운 새끼들 하고 오순도순 살면서 아빠로서 대장 노릇도 할 수 있고 외롭지도 않고 더욱 재미있게
살 것이라고 철석같이 믿었다.
개구리는 그때를 생각하면서 외로움과 불편함을 참고 견디었다.
마침내 알들이 부화되어 올챙이가 되는 날! 남편 개구리는 즐겁게
입을 벌려 올챙이들을 쏟아 내었다.
그리고 그들이 곁에 머물며 그 동안의 외로움을 보상해 주리라 믿었다.
그러나 그것은 착각이었다.올챙이들은 개구리의 입 밖으로 나오는 순간 소리치며 모두들 바깥세상을 향해 달아나고야 말았다.
아빠 개구리는 어이가 없었지만
붙잡을 수도 없었다. 남편 개구리는
다시 외롭게 홀로 남게 되었다.
늙어서 산다는 것은 이런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니 나이가 들수록 주위 사람들을 따뜻하게 사랑하고 좋은 친구를 사귀면서 낙천적으로 살 수 있다면 노인의 외로움이 조금은 덜 할는지도 모르겠다.
여름철 상하기 쉬운 음식으로 특히 식중독 조심하시고
오눌도 즐거운 일 만드시어 이웃과 함께...
=========================
■ 고해성사 ■
어떤 중년 부인이 고해성사를 했다.
“신부님, 저는 하루에도 몇 번이나 거울을 보면서 제가 너무 아름답다고 뽐냈습니다.
제 교만한 죄를 용서해 주십시오.”
이 고백을 들은 신부가 칸막이 커튼을 조금 들어 올려 그녀를 힐끗 쳐다보고는
이렇게 답했다.
"자매님 안심하세요. 그것은 죄가 아니고..
.
.
.
.
.
.
착각입니다.
평안히 돌아가십시오.”
ㅋㅋ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