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사건]
1904년 2월 17일
오페라 ‘나비 부인’ 초연
1904년 2월 17일 이탈리아 밀라노의 라 스칼라 극장에서 작곡가 지아코모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 부인’이 첫 공연을 가졌다.
‘마농 레스코’, ‘라 보엠’, ‘토스카’ 등을 잇따라 성공시키며 오페라계에서 최고의 명성을 떨치던 푸치니의 신작 발표였기 때문에 객석은 만원이었다. 입장료 수입은 라 스칼라 극장에서 초연된 작품 중에서 사상 최고를 기록했고, 푸치니는 2만 리라의 선금을 챙길 정도로 사람들의 기대는 최고조에 이르렀다.
하지만 ‘나비 부인’은 공연 시작과 함께 야유와 아우성에 파묻혔고, 결국 관객들의 모욕과 조소를 받으며 참담한 실패로 막을 내렸다. 초연 이후에 모든 공연은 취소됐고, 푸치니는 선금을 반납해야했다.
‘나비 부인’은 미국 잡지 ‘센추리’에 실린 존 루더 롱의 단편소설(1898년)로 19세기 말 일본 나가사키를 배경으로 미국 해군장교 핑커튼과 기녀 초초상(초초는 일본어로 나비를 뜻함)의 애절한 사랑이야기이다. 이후 극작가 데이비드 벨라스코가 각색해 1막짜리 연극으로 만들어 뉴욕에서 성공시킨 이후 1900년 런던에서도 공연하게 됐는데 1900년 5월 ‘토스카’ 공연에 맞춰 런던에 체류하던 푸치니가 ‘나비 부인’을 대면하게 된 것이다.
푸치니의 ‘나비 부인’은 당시의 오페라들과 달리 동양적 선율에 2막이 1시간 반 동안이나 이어지는 지루한 구성이었고 여주인공의 기모노 의상도 관객들에게 익숙하지 않았다. 푸치니는 ‘나비 부인’의 초연 1년 전에는 자동차 사고로 다리가 부러지고 작곡 중에 인후병과 당뇨병으로 고생하는 등 어렵게 곡을 완성했지만 출연자들은 처음 접하는 동양의 낯선 문화를 소화해내지 못했다.
관객의 싸늘한 반응으로 실패를 맛본 푸치니는 작품의 일부를 고쳐 3개월 뒤 토스카니니의 지휘로 다시 ‘나비 부인’을 무대에 올렸고 이번에는 열렬한 갈채 속에 성공적인 공연을 마칠 수 있었다.
[오늘의 인물]
2010년 2월 17일
이상화, 여자 빙속 첫 금메달
2010년 2월 17일(한국시간) 한국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의 ’단거리 간판’ 이상화(21.한국체대)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리치몬드 오벌에서 열린 2010밴쿠버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1차 레이스(38초249)와 2차 레이스(37초850) 합계 76초09를 기록, 금메달을 따냈다. 세계기록 보유자인 예니볼프(76초14·독일)와는 0.05초 차이였다.
특히 이번 금메달은 역대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부 전 종목에 걸쳐 아시아 선수가 획득한 최초의 금메달이었다. 1964년 인스부르크 대회 여자 3,000m에서 북한의 한필화가 아시아 여자선수 중 처음으로 은메달을 목에 건 뒤로 일본과 중국 선수들이 은메달과 동메달을 따낸 적은 여러 차례 있었지만 금메달은 이상화가 처음이다.
한국 여자 스피드스케이팅은 1960년 미국 스쿼밸리에서 열린 제8회 대회 때 김경희와 한혜자가 출전하면서 처음 동계올림픽 무대를 밟았지만 메달권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후 등장한 간판 여자 스프린터 유선희는 1988년 캘거리 대회에서 500m 13위에 오르고 1994년 릴레함메르 대회 500m에서 5위에 오르는 등 선전했지만 유선희가 은퇴하면서 한국 여자 스피드스케이팅은 다시 침체기에 접어들었다. 이후 12년만에 등장한 여자 스프린터가 이상화다.
이상화는 초등학생 때부터 국내 1인자 자리를 지키며 국내 전국대회와 선수권대회에 나설 때마다 대회 신기록을 갈아치우며 기대주로 꼽혔다. 휘경여고에 재학 중이던 2004년 겨울부터 국가대표로 국제대회에 나서기 시작한 이상화는 500m와 1,000m 등 단거리 전문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상화는 올림픽 데뷔전인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여자 500m에서 5위에 올라 아쉽게 메달을 놓치기도 했다. 이어서 그해 1~5차 월드컵 시리즈 500m에서는 1, 2위만 4차례씩 기록하며 국제무대의 강자로 떠올랐고, 이듬해 동계아시안게임에서는 부상 투혼을 보이며 은메달을 따냈다.
잠시 주춤했던 이상화는 2009년 2월 하얼빈 동계유니버시아드 500m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이어진 월드컵 시리즈에서 경기에 나설 때마다 한국 신기록을 갈아치웠고 자신의 두번째 올림픽인 이번 벤쿠버 올림픽에서 마침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편 이상화와 모태범이 금메달을 따내면서 한국은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남녀 500m를 동반 석권한 최초의 국가가 됐다.
그 해, 오늘 무슨 일이... 총 42건
ㆍ2010년 · 홍두영 남양유업 창업주 별세
ㆍ2010년 · 이상화, 여자 빙속 첫 금메달
ㆍ2009년 · 트럼프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카지노 파산보호 신청
ㆍ2008년 · 코소보, 독립 선언
ㆍ2007년 · 베를린영화제 특별상 받은 박찬욱 감독
ㆍ2006년 · 필리핀 남부 레이테섬 산사태로 2000여명 사망
ㆍ1998년 · 독일 작가 에른스트 윙거 사망
ㆍ1993년 · 국립민속박물관, 옛 중앙박물관터로 이전 개관
ㆍ1992년 · BC 4천년경 한반도 최고인골, 경남 통영군서 출토
ㆍ1988년 · 남극 세종과학기지 준공
ㆍ1982년 · 주5일제 수업, 서울 부산 8개 국민학교 선정
ㆍ1981년 · 한국, 수리남과 경제기술협정 체결
ㆍ1980년 · 김태식 WBA 플라이급 세계챔피언 획득
ㆍ1979년 · 남북대화단절 3년 11개월 만에 판문점에서 1차 접촉
ㆍ1979년 · 중국, 베트남 침공
ㆍ1977년 · 임영신 중앙대 총장 사망
ㆍ1971년 · 한필성ㆍ필화 남매, 국제통화 실현
ㆍ1966년 · 프랑스, 과학위성 발사 성공
ㆍ1964년 · 가봉 군부 쿠데타 발생
ㆍ1962년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확정
ㆍ1960년 · 김포국제공항 종합청사 준공식
ㆍ1957년 · 소련 핵무장에 대처 나토군 특수훈련개시
ㆍ1955년 · 보건, 사회 내부통합, 부흥부 신설
ㆍ1955년 · 영국, 수폭제조 개시 발표
ㆍ1954년 · 포로인수 조인
ㆍ1954년 · 합동참모회의 설치
ㆍ1949년 · 한미 우편물 교환협정 조인
ㆍ1943년 · 조선교육령 개정
ㆍ1937년 · 철도국, 경성역을 여객전용으로 하고 청량리역을 화물역화한다고 발표
ㆍ1933년 · 뉴스위크지 창간
ㆍ1933년 · 장진강 수력전기회사 설립
ㆍ1909년 · 인디언 최후의 전사 제로니모 사망
ㆍ1894년 · 스페인 기타연주자 세고비아 출생
ㆍ1890년 · 미국 발명가 숄스 사망
ㆍ1889년 · 독일 물리학자 슈테른 출생
ㆍ1871년 · 일본 세균학자 시가 기요시 출생
ㆍ1864년 · 오스트레일리아의 시인 패터슨 출생
ㆍ1856년 · 독일 시인 하인리히 하이네 사망
ㆍ1781년 · 프랑스 의사 라엔네크 출생
ㆍ1673년 · 프랑스 극작자 겸 배우 몰리에르 사망
ㆍ1600년 · 르네상스의 대표적 사상가 조르다노 브루노 화형
ㆍ1450년 · 조선 제4대왕 세종대왕 별세
[출처 : 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