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하얼빈의 초기 도시 형성 과정 및 공간 변화: 1898~1931*
이 상 율**
* 이 논문은 2012년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Korea, sangyool@cu.ac.kr)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9권 2호 2016 (59~73) DOI: http://dx.doi.org/10.21189/JKUGS.19.2.5
만주에서 러시아 개발의 중심이었던 하얼빈(哈爾濱)에 대해서 1904년 한 미국 방문객은 ‘이 멋진 도시 는 러시아 중심에 있는 것처럼 확실히 러시아 도시’라 고 표현하였고(Carter, 1998), 24년 뒤 일본의 유명한 한 시인은 조금은 그 도시가 주는 다른 느낌을 전달하는데, ‘1928년 하얼빈 여행을 할 때 잘 계획된 도시 구성, 러시아 및 유럽 스타일의 건축, 넓은 포장 도로, 가게, 공원, 카페가 있는 경관에 멋진 인상을 받았다. 장대한 러시아식의 맨션과 아름다운 교회는 동아시아에서 과거 러시아 제국의 존재를 보여주었지만 하얼빈에서 러시아의 영향이 저물어가는 모습이 보인다. 일부 맨션 은 버려져 있었고 거리에는 러시아 거지들이 늘어가고 있다’(Zatsepine, 2013)라고 언급하였다. 러시아가 하얼빈에 본격적으로 진출한지 30년뒤의 이모습은20세기초 전세계적인 전환의 시기에 동아시아의 한 도시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상징적으로 잘 보여준다.
만주에서 러시아는 철도와 타운을 건설함으로써 자 신의 유럽 정체성을 나타냈다. 러시아식 도시 계획과 건축은 유럽의 전통에 고무된 것인데, 러시아 제국은 만주지방의 러시아 도시들에 유럽 스타일을 이식시 켰다. 러시아는 만주 지방으로 진출하면서 하얼빈, 뤼 순(旅順), 다롄(大連)의 도시건축에 식민지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이 3개의 도시는 러시아가 각각 다른 의도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처음부터 하얼빈은 철 도 타운 기능, 뤼순은 군사 방어기지, 다롄은 무역항 으로 개발되었다(Zatsepine, 2013). 러일전쟁으로 1905 년 뤼순과 다롄은 일본이 점령하지만 하얼빈은 제정 러시아가 무너진 뒤에도 10년 이상 중국에서 러시아 및 소련의 영향, 교역과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이어갔다.
하얼빈은 1898-1903년 시기에 러시아인에 의해 건 설된 東淸鐵道의 건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20 세기초동북아시아의경제적및전략적중심이되었 다. 청일전쟁 이후 중국 철도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는 제국주의가 중국을 침략하는 보편적인 수단이 되었 다. 특히 1896년의 청러 밀약을 통해 러시아는 시베리 아철도의 중국 통과 노선인 東淸鐵道의 부설권과 함 께,철도연변의30리이내에서광산및기타권리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획득하였다(김지환, 2014). 그 뒤 30년 기간 동안 러시아 인들은 하얼빈의 도시의 형성 과 문화 경관에 매우 뚜렷한 흔적을 남겼으며, 하얼빈 은 당시 ‘동방의 작은 파리(Little Paris of the Orient)’ 또는 ‘동방의 세인트 페테르스부르크(Oriental St. Petersburg)’라고 하였던 곳이다.
본 연구는 일본이 만주지역에 만주국을 세우기 전까지 하얼빈의 도시형성과 변화가 이 도시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도시의 형성과 역사적 변화에 관한 연구(김종범, 1999;남영우·곽수 정, 2011)와 유산으로서 도시 경관(최재헌·이혜은, 2012; 정주연·이혜은, 2014)에 관한 연구가 발표되었 다.본연구의도시인하얼빈의도시형성과도시경관 은 지난 20세기 국제 정치 환경에서 형성되었으며, 급 격한국제질서의변화에크게영향을받아이질적요 소들이 도시에 수용된 곳이기도 하다. 하얼빈은 중국의 현대 변화와 관련된 모든 스트레스와 긴장관계를 다른 어떤 중국의 도시보다 더 겪었던 곳이다.특히 20 세기초 서구의 중국 진출은 하얼빈의 도시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 하얼빈의 도시 형성과 변화는 1898년부터 1931년까지로 국한하였다. 그러한 이유로는 1932년부터 만주국의 성립으로 하얼빈은 일본의 점령지로서 그 이전의 다국적인 활동이 전개되든 도시와는 다르게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하얼빈의 형성과 발달 과정은 동아시아의 다른 중국 도시의 근대화와 유사한 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지명으로서 하얼빈의 발달은 19세기 말에 형성되어 불과 20~30년 만에 어떻게 국제 도시로 제국주의 시대에 형성되었는가를 본 연구에서 살펴본다. 기존 연구는 만주 지방 전체를 다룬 연구물 이 다수 있지만 하얼빈만을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아울러 하얼빈의 발달은 러시아의 동아 시아에대한영향력강화및식민지구상에서비롯된 것이어서 철도 건설에 따른 인구와 산업의 발달, 도시의 구조 등이 상호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주제에 집중하기 보다는 상호관련성에서 초기 하얼빈 도시를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