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SMR 분류법에 의한 암반 분류를 수행할 때 RMR 분류법을 근거로 하여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사면에 대한 보정 요소는? (4)
15. Barton이 제시한 공식을 이용하는 문제. 슈미트해머측정치가 신선한 절리면의 슈미트 해머 반발값은 48, 풍화된 절리면의 슈미트 해머 반발값은 24, 기본 마찰각은 34°일 때 잔류마찰각은
첫댓글 14.문제 아직도 이해가 안가는데요...님들이 보시기엔 RMR에 근거를 둔다는 것이...SMR에 추가된 RMR요소를 말하는 걸까요?? RMR요소에없는 SMR요소를 말하는 걸까요?
그죠~ 전 처음에 RMR분류요소 신나게 적었다가... 아닌것 같드라구요.. 토질공학 뒤져야하나.. 아... 머지 ㅡ ㅡa
15번 문제 해결하신 분은 없나요??
흑흑..저두 못썼지만...검색해보니 SMR은 RMR에다 F1~F4 네가지를 보정해서 이용하는 것임. F1;절리와 사면주향사이의 차이각, F2; 절리의 경사각, F3; 사면과 절리의 경사각의 차이, F4; 사면 절취방법
윗 분말씀맞구여 조금 보충하자면 SMR=RMR+(F1F2F3)=F4 라는 공식이 있습니다. F1은 절리와 사면 주향 사이의 평행성 F2는 불연속면의 전단강도와 관계되는 불연속면의 경사각 F3는 사면과 불연속면의 경사각 사이의 관계 F4는 굴착방법에 따른 경험적인 조정변수 라고 나와 있네요 제 생각에는 F2에서 단순히 절리(불연속면)의 경사각만 써도 오답처리 될 것 같네요,,,T T 하나 맞았네요...저는....
18번 문제는 암석역학(윤지건 저) 책에 공식이 나와 있습니다. 물론 저는 틀렸지만여...ㅋ 숫자 20 들어가는 공식인데 정확히 기억이 안나구요 아까 계산 해보니 답이 30 나왔던 걸로기억합니다.^^*
15번 잔류각도=(기본마찰각-20)+20*(풍화되고 포화된 절리면의 반발지수/풍화되지 않은 건조한 시료에 대한 반발지수) 식은 21c암반역학이란 책에서 찾았습니다.
14번 문제는 광해방지기사 단골출제문제임... 광해방지공학(동화기술)이나 광해방지기사 까페에 가믄 자료 있어요.
첫댓글 14.문제 아직도 이해가 안가는데요...님들이 보시기엔 RMR에 근거를 둔다는 것이...SMR에 추가된 RMR요소를 말하는 걸까요?? RMR요소에없는 SMR요소를 말하는 걸까요?
그죠~ 전 처음에 RMR분류요소 신나게 적었다가... 아닌것 같드라구요.. 토질공학 뒤져야하나.. 아... 머지 ㅡ ㅡa
15번 문제 해결하신 분은 없나요??
흑흑..저두 못썼지만...검색해보니 SMR은 RMR에다 F1~F4 네가지를 보정해서 이용하는 것임. F1;절리와 사면주향사이의 차이각, F2; 절리의 경사각, F3; 사면과 절리의 경사각의 차이, F4; 사면 절취방법
윗 분말씀맞구여 조금 보충하자면 SMR=RMR+(F1F2F3)=F4 라는 공식이 있습니다. F1은 절리와 사면 주향 사이의 평행성 F2는 불연속면의 전단강도와 관계되는 불연속면의 경사각 F3는 사면과 불연속면의 경사각 사이의 관계 F4는 굴착방법에 따른 경험적인 조정변수 라고 나와 있네요 제 생각에는 F2에서 단순히 절리(불연속면)의 경사각만 써도 오답처리 될 것 같네요,,,T T 하나 맞았네요...저는....
18번 문제는 암석역학(윤지건 저) 책에 공식이 나와 있습니다. 물론 저는 틀렸지만여...ㅋ 숫자 20 들어가는 공식인데 정확히 기억이 안나구요 아까 계산 해보니 답이 30 나왔던 걸로기억합니다.^^*
15번 잔류각도=(기본마찰각-20)+20*(풍화되고 포화된 절리면의 반발지수/풍화되지 않은 건조한 시료에 대한 반발지수) 식은 21c암반역학이란 책에서 찾았습니다.
14번 문제는 광해방지기사 단골출제문제임... 광해방지공학(동화기술)이나 광해방지기사 까페에 가믄 자료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