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를 제외한 모든 채권을 보통사채 또는 보통채권(SB;straight bond)이라고 한다.
2. 이자지급방법에 따른 분류
가. 고정금리채 (Fixed Rate Bond)
지급하여야 할 이자를 고정시켜 고정금리를 지급하고 만기에 원금을 지급하는 채권을 가리킨다. 고정금리채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채권만기까지의 금리를 알고 있기 때문에 계획과 예산수립에 확실성을
기할 수 있다.
. 단점 : 채권발행후 금리가 하락하는 경우 기회손실이 발생한다.
(2) 투자자
. 장점 : 금리가 하락하는 경우 채권의 가격이 상승하므로 자본이익(capital
gain)을 얻을 수 있다.
.단점 : 그러나 금리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채권가격이 하락하여 자본손실이 발
생한다.
나. 변동금리채 (FRN;Floating Rate Note)
고정된 금리를 지급하지 않고 지급시마다 현행이자율(prevailing interest rate)을 적용하여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을 가리킨다. 이자율은 6개월 LIBOR가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여기에 일정한 스프레드를 가산한다. FRN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여기서는 개요만 살펴보고 상론은 제7장 FRN and FRCD를 참고하기 바란다. FRN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신디케이트 론보다 낮은 이자율로 자금조성이 가능하다.
. 단점 : FRN발행후 금리가 상승하는 경우 비용이 높아진다.
(2) 투자자
. 장점 : 쿠폰이 6개월마다 조정되므로 금리의 일반적인 변동이 반영되며 단기
금리가 높을 경우 이익이 있다.
. 단점 : 고정금리에 비하여 자본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적고 단기금리가
낮은 경우 손실을 보게 된다. 자본이익(capital gain)이란 채권가격
이 매입시보다 상승하여 얻는 이익을 가리킨다.
FRN이 소개된 후 여러가지 변형 상품이 개발되었는데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즉 capped FRN, convertible FRN, drop-lock FRN, extendible FRN, inverse FRN, mini-max FRN, mismatch FRN, perpetual FRN, serial FRN, step-down FRN 등이 있다.
3. 표시통화에 따른 분류
유로 통화(Euro currency)로 표시되는 채권을 유로채(Euro bond), 기타 외국통화로 표시되는 채권을 외채(foreign bond)라고 한다.
가. 유로채 (Euro Bond)
지역에 관계없이 유로 통화로 표시되면 유로채가 된다. 그러나 주요 유로 통화는 유로.달러, 유로.디엠, 유로.엔이며 복합통화(multiple currency)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유로채가 1개국의 유로 통화로 표시되는 것을 전통적인 유로채라고 하며, 복합통화표시의 채권을 복합통화표시채권(multiple currency bond, composite currency bond)이라고 한다. 복합통화표시채권은 1개국 통화로 표시되나 채권소유자가 다른 나라의 통화로 상환을 받을 수 있는 경우와 유럽 계정단위(EUA ; European Unit of Account)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 채권은 2개국 이상의 인수업자로 구성된 국제인수단(international or multinational syndicate)을 통하여 매각되고 특정의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기 보다는 over-the-counter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시장으로는 Euro DM과 Euro Yen 시장이 있으나 런던을 중심으로 한 Euro Dollar Bond 시장이 가장 중요하다.
나. 외국채 (Foreign Bond)
외국채란 발행인이 자국이 아닌 특정외국에서 발행지 국가의 통화로 발행되어 발행지 국가의 법규에 따라서 인수, 매각되고 유통되는 국제채를 말하며, 미국에서 미화표시로 발행되는 Yankee Bond, 일본에서 엔화로 발행되는 Samurai Bond, DM Bond, Swiss Franc Bond, Dutch Guilder Bond, Canadian Dollar Bond, Kuwait Dinar Bond등이 있다.
4. 발행방법에 따른 분류
발행의 방법을 공모(public offering, public placement)에 의할 때를 공모채, 사모(private placement)에 의하는 경우를 사모채라고 한다.
5. 만기에 따른 분류
만기가 장기인 것을 장기채(long-term bond)라 하고 단기인 것을 단기채
(short-term bond)라고 한다. 근래에는 중기채(medium term notes ; MTN)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CP, Euronotes와 Eurobonds의 혼성채이다. 만기는 보통 1- 5년이다.
6. 기명 여부에 따른 분류
채권표면에 투자가의 성명을 기재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서 기명채권(registered bond)과 무기명채권(bearer bond)으로 분류된다. 기명채권의 경우에도 양도가 가능하나 채권면의 양도란에 배서하고 등록부에 양도절차를 필하여야 한다. 또 원금만을 기명채권으로 하고 이표(coupon)는 인도만으로 이전, 양도되는 예도 있는데 이를 이표부등록채권(registered coupon bond)이라고 한다. 무기명채권은 교부로서 양도가 가능하며 이표를 첨부하여야 한다.
7. 상환방법에 따른 분류
만기시 한번에 상환되는 채권을 만기상환채(bullet bond or non callable bond)라고 하며, 중도상환이 가능한 채권을 중도상환채(callable bond)라고 한다. 1회에 발행하는 채권을 만기가 다르게 수개조로 나누어 발행하는 것을 연속상환채권(serial bond)이라고 한다.
8. 주식연관채권
주식연관채권(equity-linked bonds)이란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warrant와 DR(deposit receipt)을 가리킨다. 전환사채는 고정금리채의 일종으로 소지인이 발행인의 증권(주로 보통주)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을 말하며 표면금리가 통상의 고정금리채보다 1% - 2%가 낮다. 이에 대응하여 이러한 전환권리가 없는 채권을 일반채권(straight debt)이라고 한다. 1950년대까지는 일반채권이 주로 발행되었으나 1963년 이후에는 전환채권의 발행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발행되는 채권에 보유채권은 그대로 만기까지 보유하면서 이와는 별도로 발행인의 보통주 또는 신규발행채권을 추가로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warrant라고 한다.
DR은 기업의 주식을 근거로 하여 외국인 투자가에게 발행, 교부하는 국제유통증권을 말한다. 주식을 외국시장에서 유통시키게 되면 양국간의 언어, 법률 및 증권거래관습이 달라 유통이 곤란하며 주권수송에 위험과 시간이 수반되고 배당금 등의 수취와 송금, 신주인수권의 처리 등 주주로서의 권리행사에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외국의 투자가에게 소액의 수수료를 징수하고 국내의 주주와 똑같은 권리를 향유하게 하고 외국에서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 예탁증권(DR)제도이다.
주식연관증권의 발행은 상당한 성장을 보여 전체 국제채발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져가고 있다. 1985년 하반기부터 전세계적으로 국제금리가 하락하여 주식발행이 크게 증가하여 주식관련증권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한편 리스크관리기법 특히 swap기법이 발달하여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일본BW의 발행이 급증하고 있는데 일본증시의 활황이 BW쿠폰을 하락시켰고 전통적으로 낮은 쿠폰을 선호하는 일본기업들을 만족시켰던 것이다. 스왑시장에서 미달러가 엔화에 대하여 3%이상 디스카운트를 시현하므로서 만기까지 부의 이자를 지급하는 사례도 있었다.
9. 쿠폰의 유무에 따른 분류
가. 이부채 (Coupon-bearing Bonds)
쿠폰(이자표)이 있어 고정 또는 변동금리로 이자를 지급하도록 되어 있는 채권을 利附債라고 한다.
나. ZCB (Zero-coupon Bonds)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지 않고 할인되어 유통되는 할인채를 가리킨다. 예컨대 액면금액이 US$1,000,000이고 금리가 10%이면 US$1,000,000(1-10%)로 유통된다. 발행인은 이자지급이 없어 부담이 적으며,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이자소득대신에 자본소득을 얻게 되므로 자본소득에 대한 과세율이 낮은 영국, 독일, 일본, 벨기에 등에서는 세금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만기가 보통 채권보다는 장기이므로 발행비용이 낮다. 유사채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Biennial Bond : 발행 2년후에 이자가 지급된다.
(2) Coupon Interest Bond(Municipal Multiplier) : 미국의 지방정부 등에 의하여 발행된 채권으로 액면가격(par) 또는 그와 유사하게 발행되나 이자는 만기까지 지급되지 않는다. 발행자는 발행시 만기까지의 수익율로 미지급이자를 재투자하는 약정을 하게 된다.
(3) Deep Discount Stepped Interest Loan Socks : 저율의 쿠폰이 지급되나 매 5년마다 단계적으로 증가된다.
(4) Deferred Coupon Bond : 앞의 수년간(보통 4년)은 이자가 지급되지 않으며 미지급이자는 5년째에 일괄총액으로 지급된다. 자본이익에 대하여 과세되지 않는 경우에 투자자에게 유리하다.
(5) Bullet Deposit
이자가 일정기간, 보통 2년초과후 말기에 지급되는 은행예금을 가리킨다.
10. 혼성채 (Hybrid Bond)
위의 채권외에도 여러가지 신상품이 개발되었는 바 주요한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Bunny Bonds
투자자에게 이자소득을 원채권과 같은 조건으로 다시 투자하도록 허용하는 채권을 가리킨다. 발행자와 투자자로서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투자자가 이 채권을 선호하는 경우 낮은 쿠폰을 지급하며 투자자가 이
자소득을 재투자하는 경우 현금유입이 발생하는 점이 장점이다.
. 단점 : 금리가 하락하는 경우 손실이 발생한다. 왜냐하면 금리가 하락하면 높
은 가격으로 채권발행이 가능하나(즉, 낮은 금리로 발행가능하나) 원
채권의 조건으로 발행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2) 투자자
. 장점 : 원채권의 수익율로 재투자할 수 있고 선택권도 있으므로 연금기금
(pension fund)와 같이 장기투자가 필요한 투자자에게 유리하다.
. 단점 : 금리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낮은 가격으로 채권을 매입할 수 있으나 원
채권의 조건대로 재투자하여야 하므로 기회손실이 발생한다.
나. Debt with Forward Commitment
고정금리채를 발행하고 동시에 발행된 채권과 만기와 금리가 동등한 저위험 장기채(예컨대 미재무증권)를 구입할 수 있는 단기 선물약정(forward commitment)을 체결하는 채권을 가리킨다. 이와 유사한 채권에는 debt with deferred interest rate setting이 있는데 발행자가 투자은행과 장래 일정기간내에 현행 시장금리로 채권에 대한 금리가 고정된다는 약정을 체결한 고정금리채를 가리킨다.
다. Dutch Auction Notes
쿠폰이 매 35일마다 네델란드식 경매(Dutch auction)로 재결정되는 채권으로 만기는 7년이다. 네델란드식 경매란 투자자의 채권이 모두 판매되는데 필요한, 가장 낮은 수익율로 채권이 입찰되는 경매를 말한다. 경매절차는 다음과 같다. 투자자는 브로커/딜러를 통하여 매 35일마다 채권입찰을 신청하며 브로커/딜러는 이 입찰신청을 경매대리인인 은행 또는 신탁회사로 이관한다. 경매대리인은 새로운 금리를 계산하고 브로커/딜러와 함께 채권을 교환제도를 통하여 매매되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이 경매절차는 현재 미국에서만 시행되고 있는데 투자자들이 많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 채권은 Salomon Brothers에 의해서는 Dutch Auction Rate Transferable Notes, Shearson Lehman Brothers에 의해서는 Money Market Notes라고 불리우고 있다. 이 채권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발행자는 경쟁입찰에 의하기 때문에 낮은 금리로 자금조성이 가능하며
단기금리를 지급하므로써 장기금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단점 : 경매가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서 금융비용이 절감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높은 경우에는 이자지급이 증가된다.
(2) 투자자
.장점 : 금리가 자주 재조정되므로 채권이 par에 유사하게 유통되며 경매에 의
하기 때문에 채권 유동성이 강하다.
. 단점 : 경매에 실패하면 시장금리보다 낮은 금리를 받게 되는 경우가 있다.
라. Flip Flop Notes
발행자가 투자자에게 다른 형태의 채권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후일에 원채권으로 재전환할 수 있는 옵션이 부여된 채권을 가리킨다. 예컨대 FRN을 발행하면서 투자자가 단기채, 중기채 또는 永久債로 전환하고 다시 FRN으로 재전환할 수 있는 옵션을 부여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이 채권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발행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투자자에게 저금리를 제공하더라도 옵션
의 장점을 들어 채권매입을 설득할 수 있다.
. 단점 : 만기와 금리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2) 투자자
. 장점 : 금리가 변동하는 경우 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 단점 : 낮은 금리를 받기로 약정된 경우 옵션을 행사하더라도 손실이 발생하
는 예가 있다.
마. Increasing Rate Debt
당초에는 90일 등 단기로 발행되나 최종만기전에 발행자가 옵션을 행사하여 만기를 연장할 수 있는 채권을 가리킨다. 채권이 연장되는 경우 채권의 쿠폰이 일정금액만큼 증액된다. 이 증권에는 extendible bonds와 stepped-up coupon puttable bonds가 있다. 전자는 고정상환일이 있으나 그 날짜에 투자자가 채권을 상환받거나 일정기간동안 더 보유할 수 있는 채권을 가리킨다. 추가보유기간동안은 높은 쿠폰 레이트가 적용된다. 후자는 워런트와 extendible bonds가 혼합된 혼성채로서 특정기간후 투자자는 발행자에게 채권을 반환하거나 고율(stepped-up)의 쿠폰으로 채권을 일정기간 더 보유할 수 있다. Increasing rate debt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발행자는 상환일에 옵션을 행사하여 만기를 연장함으로써 자금을 확보
할 수 있고 만기의 단기적 성질로 실제적으로는 장기금융에 대하여 저
율의 이자를 지급하게 된다.
. 단점 : 일반적인 금리가 상승하지 않거나 단기금리가 고율일 경우 금리상의
절약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2) 투자자
. 장점 : 정상적인 단기채권보다 고율의 쿠폰을 받을 수 있으며 만기를 연장하
는 경우 더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다.
. 단점 : 금리가 예정된 것보다 상승하면 기회손실이 발생한다.
바. High Yield Bonds
금리가 높고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 또는 신용등급이 없는 회사가 발행한 채권을 가리키며 junk bonds라고도 한다. 이 채권은 LBO(leveraged buy out)에서 회사의 인수비용을 확보하기 위하여 발행된다. 이 채권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쿠폰이 고율이나 간접금융비용보다 낮은 경우가 있다.
. 단점 : 인수된 회사의 cash flow가 예상대로 유입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2) 투자자
. 장점 : 고율의 쿠폰을 얻을 수 있다.
. 단점 : 채권이 상환불능상태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사. Bonds with Put Options
발행자가 투자자에게 장래의 일정일자에 일정가격으로 발행자에게 상환을 청구할 수 있는 put option을 인정하는 채권을 가리킨다. 이 채권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put option을 인정하므로써 금리를 낮출 수 있다.
. 단점 : 금리 상승기에 투자자가 풋옵션을 행사하는 경우 높은 금리의 새로운
채권을 발행하여야 하므로 금리부담이 증가된다.
(2) 투자자
. 장점 : 금리가 투자자에게 불리하게 움직이는 경우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 단점 : 풋옵션의 행사가 비경제적이면 수익율의 일부를 포기하는 셈이 된다. 아. Partly Paid Bonds
발행시 채권대금의 일부만 납입되고 나머지는 한번 또는 그 이상 나누어 납입하는 채권을 가리킨다. 이와 유사한 채권에는 deferred payment bond가 있는데 투자자는 채권대금을 한번에 지급하지만 채권 발행시 지급하지 않고 지급일을 연기시킬 수 있다. 이 채권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쿠폰 레이트를 낮게 하므로써 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단점 : 발행비용이 발행시 수취하는 대금보다 큰 명목금액에 근거하여 산출되
므로 비용이 커지며 금리가 하락하는 경우 추후 입금되는 대금분에 대
한 조달비용이 커지는 예가 있다.
(2) 투자자
. 장점 : 최초 투자시 대금일부만 지급하므로 쿠폰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 단점 : 금리가 상승하는 경우 차후 대금지급에 이자부담이 커지는 예가 있다.
자. Dual Currency Bonds
채권상의 표시통화가 2개이고 이자는 A통화로, 원금은 B통화로 지급되는 채권을 가리킨다. 상환시 적용될 환율은 발행시 결정된다. 이자는 스위스 프랑이나 엔과 같은 저금리통화로 지급되고 상환은 미달러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쿠폰지급액은 선물환시장에서 헤지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채권에는 heaven and hell bond 또는 indexed currency option notes(ICONS)가 있는데 양자 모두 채권 통화표시와 지급이자는 A통화로 표시되고 상환가액은 B통화로 표시되어 있는 채권을 가리킨다. 이 채권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양 통화시장에서 금리재정을 함으로써 금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단점 : 통화의 cash inflow에 따른 헤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리스크가 존
재하며 교환비율이 미리 정하여 지는 경우 예상과 다르게 환율이 움직
이면 기회비용이 발행한다.
(2) 투자자
. 장점 : 투자자에게 환투기의 기회를 제공하여 쿠폰 표시통화가 강세가 되면
이익이 발생한다.
. 단점 : 상환환율이 발행자에게 유리하게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만기전에
매도하기가 어렵다.
차. Reverse Dual Currency Bonds
Dual currency bonds는 이자표시가 미달러이외의 통화이고 상환표시통화가 미달러이나 reverse dual currency bonds는 이자표시가 미달러이고 상환표시통화가 미달러이외의 통화인 경우의 채권을 가리킨다. 유사 채권에는 foreign interest payment security(FIPS) 또는 dual currency floating rate perpetuals가 있는데 양자 모두 상환일은 없으나 매 10년마다 투자자의 풋옵션과 발행자의 콜옵션이 인정되는 dual currency bonds를 가리킨다.
카. Covered Option Securities (COPS)
미달러표시 단기증권이나 발행자가 미달러 또는 발행시 결정된 교환율에 의한 외국통화로 원금과 이자를 지급할 수 있는 채권을 가리킨다. 발행자가 이러한 옵션을 보유하므로 투자자에게 기타 단기증권보다 좀 높은 금리를 지급한다. 이 채권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단기외국통화지급을 유리한 환율로 헤지할 수 있다.
. 단점 : 기타 단기채권보다 높은 이자를 지급하여야 한다.
(2) 투자자
. 장점 : 기타 단기채권보다 높은 이자를 수취할 수 있다.
. 단점 : 환율이 불리하게 움직이면 기회손실이 발생하고 채권유동성이 적다.
타. Duet Bonds
원금상환과 이자지급이 각 지급시마다 당시의 환율이 적용되므로 이들 금액이 달라지는 채권을 말한다. 이 채권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발행자
. 장점 : 양시장에 있어서의 금리차를 이용하여 금융비용을 줄일 수 있다.
. 단점 : 그러나 금리가 불리하게 움직이면 금융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2) 투자자
. 장점 : 환리스크를 커버할 수 있다.
. 단점 : 투자자가 환리스크를 커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유동성이
적은 것이 일반적이다.
파. Mixed Dual Currency Bond
채권의 원금이 2개 통화로 지급되는 채권으로 엔과 뉴질랜드 통화로 이루어지는 것이 전형적이다. 원금의 비율은 예컨대 엔 20%, 뉴질랜드 통화 80%로 정하여지며 이자지급도 위의 비율로 지급된다.
하. Bull and Bear Bonds
원금지급이 주가지수에 연계되어 있는 채권을 가리킨다. 상환액이 주가지수 또는 상품가격에 연계된다. 채권은 강세분(bull tranche)과 약세분(bear trache)으로 발행되며, 강세분(bull bond)의 경우 만기시 주가지수가 일정수준을 돌파하면 100%가 상환되며 일정수준에 달하지 않으면 일정액이 감액된다. 한편 약세채권(bear bond)의 경우 만기에 주가지수가 일정수준이하로 하락하면 100%를 상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일정액이 감액된다. 이 채권은 Nikkei Dow Index, NYSE종합지수, FAZ(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지수와 Standard and Poors 500지수와 연계되어 있다. 특히 Standard and Poors 500지수와 연계되어 있는 채권을 SPINS(Standard and Poors Indexed Notes)라고 한다.
거. Commodity Linked Bonds
상환금액이 상품 또는 상품지수에 연계되어 있는 채권을 가리킨다. 유사채권에는 Oil Indexed Bond가 있는데 이는 상환금액이 석유가와 연계되어 있는 제로쿠폰채를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