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Ⅲ(국어, 도덕, 사회) , 교육과학기술부.
【3-문법-(1)】국어사전에서 낱말 찾는 방법을 안다.
【내용 요소의 예】
◦ 국어 품사의 기초 개념 이해하기
◦ 용언의 기본형 알기
◦ 국어사전 찾는 방법 알기
◦ 국어사전의 효용성과 가치 이해하기
이 성취 기준은 국어사전에서 낱말 찾는 방법을 학습하여 국어사전의 효용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궁극적으로는 국어사전을 즐겨 이용하는 태도를 기르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하였다. 국어사전에서 낱말을 제대로 찾으려면 국어 품사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용언의 기본형을 알아야 하는 등 관련 지식에 대한 설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식은 최소한의 수준에서 다루도록 하고 - 즉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초점을 두지 말고 - 국어사전이 갖고 있는 효용성과 가치를 학습자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명사, 대명사, 수사 등 그 형태가 변하지 않는 낱말과 동사나 형용사처럼 그 형태가 변하는 낱말로 나누어 국어사전 찾는 방법을 지도한다. 또한 동음이의어와 다의어는 사전 등재 방식이 다르므로 이들을 구분하여 지도하도록 한다. 국어사전의 체제와 이용 방법 등을 알고 국어사전의 효용성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수 학습을 계획한다. 더 나아가 다양한 종류의 사전, 예컨대 유의어․반의어 사전이나 도해 사전, 전자 사전, 백과 사전 등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성취 기준은 3학년 문법 영역의 성취 기준 ‘(2) 소리가 동일한 낱말들이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 현상을 분석한다.’와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다. 특히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사전 등재 방식에 대한 학습을 바탕으로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다.
【언어 자료의 수준과 범위】국어사전
종이 사전의 경우, 대사전보다는 소사전을 언어 자료로 사용한다. 국립국어원(www.korean.go.kr)의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전자사전도 소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