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옛날에..보릿고개란 말이 있었다.
쑥이 돋아날 때면 보리가 피기 시작하는데...양식이 다 떨어지고 먹을 게 제대로 없었단다.
아직 보리는 덜 여물었고, 그러자면 쑥이라도 얼른 돋아나기만 학수고대하는데...
겨우내 굶기를 밥먹듯해서 부은(부황끼)얼굴에 붓기도 가시게 하는 좋은 식품이 바로 쑥이었다는 구나.
쑥이야 지천에 널렸으니...봄날 허기진 배를 움켜쥐고 산에 올라가서....참꽃(진달래) 따 먹어가며
쑥을 한 자루씩 캐 와서 먹거리 부족한 봄날 쑥으로 끼니를 연명했다는 이야기다.
조금 늦은 철에...산철쭉 꽃을 진달래로 잘못알고 배고픔에 따먹고는 독성에 정신이 혼미해져서
의식을 잃었다가 깨어나곤 했단다.
쑥은 그렇게 우리 선조들에게 목숨을 부지시켜준 구황식물 이었다.
(옛날에는 흉년이 들거나 전쟁, 사변 등으로 기근이 닥쳤을 때 일반식량에 대용되는 야생식물을
구황식물로 이용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국민소득 향상과 식생활의 변천으로 이들 야생식물은
구황의 의미보다 건강식품이나 별미식품 등으로 취급되고 있는 경향이다.)
그러니..쑥을 삶아 약간의 곡분으로 엉기기만하도록 만들었을 뿐, 거의 쑥으로 빚어진 음식이었다.
손으로 아무렇게나 주물럭거려서 만든..쑥개떡, 보리개떡~
왜 사람들은 폄하할 때 꼭 "개" 字를 붙이는지,,(ㅎㅎ)그러나 요즘들어 향수어린 맛까지 보태어져서
사람들은 더욱 그리워하게 되었다.
떡을 제대로 하려면 불린 쌀과 삶은 쑥을 가지고 떡방아간에 가서 함께 갈아서 가루로 내어오면 된다.
쑥이 들어있는 푸른 쌀가루를 냉동실에 두고 조금씩 꺼내어 반죽해서 쪄내면 일년 내내 간식으로 빛깔
고운 '쑥개떡'을 즐겨 쪄 먹을 수 있다.
봄이면 쑥을 뜯어서 쑥찰인절미를 해서 이고 딸네집으로 오시던 나의 외할머니~~
쫄깃쫄깃 쯘득쫀득하던 그 맛을 못잊어 나는 봄이면 쑥떡을 빗는다.
방앗간에 가자니 양이 그렇고 온 식구가 다 먹기에도 충분할 만큼 만들기 쉬우니 그저 집에서 손수
조물딱 거려 만들어도 별 무리가 없는 게 쑥떡이지 싶다.
쌀을 조금만 불린다.
쌀가루는 남아도 국이나 찌개에 넣을 수 있으므로...양에 대해선 넉넉한 게 좋다.
.
.
이제 떡이 다 만들어졌다.
밥을 찧을 때...소금간을 하여 짭짜름했었는데...막상 고물이 들어가니 약간 싱겁구나
찧을 때 간을 조금 짭짤하다 싶게 하여라~~
20분간 쪄낸다.
다 쪄지면 이렇게 그냥 먹으면 쑥버무리(쑥털털이)가 된다.
쑥경단 만들기
완성된 쑥버무리가 많다면 일부분을 절구에 꽁꽁 찧어, 동글동글 빚어둔다.
대추,잦, 호두를 갈아둔다. 흑임자를 깜빡 잊고 나중에 합세~
TIP 봄소풍갈 때도 좋지 싶다. 여러번 쑥떡을 만들어봤는데....간하기가 조금 어려웠다.
워낙 간이 배이지 않은 식물이라...간이 약하면 아무런 맛도 없었다. 단 것은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데 쑥떡은 반드시 간이 맞아야 했다. 처음에는 필히 간간하게 만들 것!
쑥개떡만들기
시중에서 파는 개떡같지가 않지만(쑥을 곱게 갈지않아)....맛이야 뒤지지 않는다.
꺼내어 채반에 담고 식기 전에 참기름을 발라낸다. 식고나면 더 쫄깃거리고 맛있다.
익반죽하고....
쪄내고...(반죽이 좀 되었는지 정말 개떡같이 되었다)
막 피기 시작하면서 향이 나는 수수꽃다리꽃을 따서 꿀 차에 동동 띄워 함께~
첫댓글 울동넨 쑥이마니나와요 내가 제일좋아하는 떡이넹~~~~고맙습니다 예쁜 사진올려주셔서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