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정보는 "위키피디아 영문판"의 해당 항목을 "크메르의 세계"가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
크메르어 : 언어학적 개론
Khmer language
크메르어 Khmer |
피어싸 크마에 |
사용지역
|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미국, 프랑스, 호주 |
사용인구
|
총 1,570만~2,160만 명 (2004)
- 원어민: 1,470만~2,060만
- 캄보디아: 1,210만
- 베트남: 105만 (주1)
- 태 국: 120만
- 미 국: 19만
- 프랑스: 약 5만
- 호 주: 22,000
- 캐나다: 16,500
- 제2외국어로 사용하는 인구: 캄보디아 내 약 100만
|
사용인구
순위 |
세계 89위
|
어족분류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표기체계
|
크메르 문자 [악서 크마에]
(아부기더형) |
공식적 지위 |
공용어 |
캄보디아 |
사용규정 |
규정 없음 |
언어부호 Language codes |
ISO 639-1 |
km |
ISO 639-2 |
khm |
ISO 639-3 |
either: khm – 중부 크메르어 kxm – 북부 크메르어 |
| |
"크메르어"(ភាសាខ្ែមរ) 혹은 "캄보디아어"(Cambodian)로 불리는 이 언어는 크메르 민족의 언어이자 캄보디아의 공용어이다. 크메르어는 천만 명 이상의 사용인구를 가지고 있어,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들 가운데 두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특히 힌두교와 불교를 통해 궁정 및 종교적 언어사용영역(registers)에서, 산스끄리뜨어(Sanskrit)와 빨리어(Pali)의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또한 크메르어는 몬어(Mon) 및 중요한 이웃언어인 베트남어보다 앞서서, 몬크메르어군 언어들 중 가장 먼저 문자로 기록된 언어이기도 하다. 그리고 지리적 근접성 때문에 태국어, 라오어(라오스어), 베트남어, 참어(Cham)와 상호영향을 주고받았는데, 이들 언어들이 바로 대륙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언어군을 구성한다. 이 언어들은 대부분 상당한 수준에서 산스끄리뜨어와 빨리어의 영향을 받은 언어들이다.(주2) 크메르어는 "악서 크마에"(Aksar Khmer)란 명칭의 고유한 표기문자를 지니고 있는데, 그 특징은 "아부기더형"(abugida: 자모음일체형)이라는 데 있다.
크메르어는 성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이웃한 태국어, 라오어, 베트남어와 같은 성조언어들(tonal language)과 차이를 갖고 있다. 크메르어의 주요 방언들(사투리)은 상호간에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 밧덤벙(Battambang) 방언: 캄보디아 서북부 지방.
- 프놈펜(Phnom Penh) 방언: 수도 및 그 주변 지역.
- 북부 크메르어(Northern Khmer): "크메르 수린"(Khmer Surin)이라고도 불리며, 태국 북동부 지방에 거주하는 크메르어 원어민들의 방언.
- 크메르 끄롬(Khmer Krom): "남부 크메르어"(Southern Khmer)라고도 불리며, 베트남 남부의 메콩 삼각주(Mekong Delta)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 크메르인들의 방언.
- 카르다몸 크메르어(Cardamom Khmer): 캄보디아 서부 끄러완 산맥(=카르다몸 산맥, Cardamom Mountains)에 거주하는 소수민족들이 사용하는 고대적 형태의 방언.(주3)
|
1. 역 사
언어학의 연구성과는 크메르어를 네 개의 시기로 나누고 있다.(주4)
(1) 전-앙코르 크메르어 (Pre-Angkorian Khmer)
"원형 몬크메르어"(Proto-Mon-Khmer)에서 분화된 후, 9세기경까지 사용된 언어. 당시의 산스끄리뜨어로 된 문헌을 통해 단어와 문구들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
(2) 고대 크메르어(Old Khmer) 혹은 앙코르 크메르어(Angkorian Khmer)
크메르제국(앙코르제국)이 시작된 9세기부터 제국이 쇠퇴하던 13세기 경까지 사용된 언어. 고대 크메르어는 여러 원전들이 연구되었고, 몇몇 학자들은 심도있게 연구했다. 사베로 포우(Saveros Pou)나 필립 제너(Phillip Jenner), 하인츠-위르겐 피노우(Heinz-Jürgen Pinnow) 같은 학자들의 연구가 두드러진다. 크메르제국 말기에 이르면 국가 공용어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고, 시형론, 음운론, 어휘 면에서 변화를 겪는 격동기로 들어간다.
(3) 과도기의 크메르어 혹은 중기 크메르어(Middle Khmer)
태국와어 라오스어, 그리고 소수긴 하지만 베트남어로부터도 어휘들을 차용한다. 이 시기에 발생한 변화는 대단히 근본적인 것이어서, 더 이상 오늘날의 크메르어로는 과거의 고대 크메르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만들어주었다.(주4)
(4) 현대 크메르어(Modern Khmer)
"현대 크메르어"로 불리는 언어는 19세기부터 사용되었다. 크메르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Austro-Asiatic language group)의 소분류인 몬크메르어군(Mon-Khmer language family)의 동부분파 중 하나이다. 몬크메르어군은 인도 북동부에서 동남아시아를 거쳐, 말레이반도 및 그 주변도서들에 이르는 거대한 언어적 흐름에서, 가장 대표적 위상을 가진 어족이다. 따라서 크메르어는 이 지역의 산악 소수민족들의 언어인 페아(Pearic) 어족, 바나릭(Bahnaric) 어족, 카투(Katuic) 어족과도 밀접한 친연성을 갖고 있다.(주5)
(주4) Mon-Khmer Studies Paul Sidwell.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7-2-23 접속.
(주5) Shorto, Harry L. edited by Sidwell, Paul, Cooper, Doug and Bauer, Christian (2006). A Mon-Khmer comparative dictionary. Canberr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acific Linguistics. |
2. 음운론
여기서 설명할 음운론 체계는 회화에 사용되는 소리들(음소)의 목록으로, 크메르 문자로 어떻게 표기하는가에 관한 내용이 아니다.(주6)
2.1. 성조와 발음 Tone and phonation
대부분의 크메르어 방언들은 성조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회화체의 프놈펜 방언은 /r/ 발음 생략현상(elision)을 보충하기 위해, 발음 레벨과 발음 성조 사이의 극단적의 극단적인 성조 대비를 발전시켰다.(주7) 일단 그 모음에 성조를 갖게 되자 표기법 상에서 성조에 관한 역사적 원전들에 준거하여, 두 그룹의 문자들 중 선행하는 자음을 선택하게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캄보디아 내 방언들은 성조변화를 상실했다.(주4) 예를 들어 "고대 크메르"어는 *kaa와 *ɡaa 사이의 유성음 쌍과 무성음 쌍을 구분했다. 유성 자음에 이어지는 모음은 기음(氣音, breathy voiced: 격음)으로 변화하면서 이중모음(diphthong)이 되었기 때문에, *kaa와 *ɡaa는 각각 *kaa와 *ke̤a로 변화했다. 그리고 유성음들이 사라지자 그 부분은 모음에만 남게 되었다. 따라서 앞의 예는 각각 *kaa와 *ke̤a로 변화했고, 후대에는 성조조차 사라져 각각 "까"(kaː)와 "끼어"(kiə)로 발음되게 되었다. (주7)
(주7) Minegishi, M (2006). "Khmer". in Keith Brown.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 ed.). Elsevier. pp.4981–4984. |
2.2. 자 음 Consonants
|
순음
Labial |
설음
Coronal |
구개음
Palatal |
연구개음
Velar |
성문음
Glottal |
파열음
Plosive |
p (pʰ) |
t (tʰ) |
tɕ (tɕʰ) |
k (kʰ) |
ʔ |
내파열음
Implosive |
ɓ ~ b |
ɗ ~ d |
|
|
|
비음
Nasal |
m |
n |
ɲ |
ŋ |
|
류음
Liquid |
|
r l |
|
|
|
마찰음
Fricative |
|
s |
|
|
h |
접근음
Approximant |
ʋ |
|
j |
|
|
크메르어는 종종 "기식음의 휴지"(aspirated stops)를 사용해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은 /ph, th, tɕh, kh/ 같은 자음조합쌍(consonant clusters)을 삽입사(infixes)로 사용하거나, 휴지와 호흡 사이(예: phem, p<an>hem), 혹은 예를 들어 "크마에"(Khmer)의 "khm"와 같이 다른 자음조합쌍 안에 있는 "비-구별적 성조요소"(non-distinctive phonetic detail)로 구분될 때 볼 수 있다.(주7)(주8) 자음 [b]와 [d]는 일시적인 내파열음적 "동음소 이음"(allophones)이 된다.
프랑스어나 여타 언어들에 친숙한 캄보디아인들의 경우, /f/, /ʃ/, /z/ 및 /ɡ/를 최근에 전래된 외래어들에 사용하곤 한다. 필요할 경우 이런 어휘들을 위해 문자들을 특정한 조합쌍으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지만, 원칙적으로 크메르어 고유의 방식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중언어(bilingual) 사용자들의 경우, 이러한 언어들을 자신의 모국어 음소들(phonemes: 소리의 최소단위)과 유사하게 발음하곤 한다.
(주8) Jacob, JM (2002). "The Structure of the Word in Old Khmer". in VI Braginskiĭ. Classical Civilizations of South-East Asia: Key Papers from SOAS. Routledge. |
외래발음
(IPA 표기) |
크메르 문자 표기 |
크메르어 사용자의 해당발음
실제사용 (IPA 표기) |
/ɡ/ |
ហ្គ |
/k/ |
/ʃ/ |
ហ្ស |
/s/ |
/f/ |
ហ្វ |
/h/ 또는 /pʰ/ |
/z/ |
ហ្ស |
/s/ |
2.3. 모음의 기본음가 Vowel nuclei
크메르어 모음의 기본적인 음가에 관한 이론은 아직도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보면, 이러한 현상은 크메르어 표준어를 캄보디아 전체에 보급할 정도의 정치적 중앙집권화가 미진했던 데서도 기인한다. 그렇다 보니, 심지어는 동일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끼리도 서로 다른 음운학적 모음군을 사용하기도 한다.(주9) 그러므로 기존에 제안된 모음의 음가에 관한 이론들 가운데 2종의 목록을 소개해두고자 한다.
크메르어 모음 음가 목록 1 (주4)
장모음 |
iː eː ɛː ɨː əː aː uː oː ɔː |
단모음 |
i e ɨ ə ɐ a u o |
이중모음 (장음) |
iə ei̯ ɐe ɨə əɨ ɐə ao uə ou̯ ɔə |
이중모음 (단음) |
eə uə̯̆ oə̯̆ |
크메르어 모음 음가 목록 2 (주7)
장모음 |
iː e̝ː eː ɛː ɯː ə̝ː əː aː uː o̝ː oː ɔː |
단모음 |
i e ɛ ɯ ə a u o ɔ |
이중모음 (장음) |
iə̯ aɛ̯ aə o̞u ao̯ |
이중모음 (단음) |
ɛə ʷɔ |
모음의 기본음가에 대한 소리 및 갯수의 엄밀한 내용은 방언마다도 차이가 난다. 동일한 모음의 장음과 단음은 오직 그 소리의 지속시간에 의해서만 차이가 날 뿐이다.
2.4. 음절의 구조 Syllable structure
크메르어 낱말들은 주로 마지막 음절에 강세를 둔다는 특징과 더불어, 단음절(monosyllabic) 혹은 혼합음절(sesquisyllabic) 형태가 지배적이다.(주10)(역주*) 혼합음절 낱말들은 음성학적(phonetics) 측면에서는 2음절로 구분 할 수 있지만, 그 첫번째 음절 모음이 철저하게 삽입모음적(epenthetic) 성격을 갖는 동시에 예측가능한(predictable) 특성을 지니고 있다.(주11) 2음절 낱말들의 경우는 모두 외래어를 통해 차용했거나 "비-생산적 어형론적 과정"(non-productive morphological processes)(역주**)을 통한 접사첨가(affixation)의 결과로 탄생한 것이다.(주10) 크메르어의 음절 첫부분에서는 자음 2개로 구성된 85종의 조합이 가능하며, 자음 3개로 구성된 음성학적 조합 역시 2종이 가능하다. 아래의 표는 바로 그러한 조합들을 표시한 것이다.
|
p |
ɓ |
t |
ɗ |
c |
k |
ʔ |
m |
n |
ɲ |
ŋ |
j |
l |
r |
s |
h |
ʋ |
p |
|
|
pʰt- |
pɗ- |
pʰc |
pʰk- |
pʔ- |
|
pʰn- |
pʰɲ- |
pʰŋ- |
pʰj- |
pʰl- |
pr- |
ps- |
|
|
t |
tʰp- |
tɓ |
|
|
|
tʰk- |
tʔ- |
tʰm- |
tʰn- |
|
tʰŋ- |
tʰj- |
tʰl- |
tr- |
|
|
tʰʋ |
c |
cʰp- |
cɓ |
|
|
|
cʰk- |
cʔ- |
cʰm- |
cʰn- |
|
cʰŋ- |
|
cʰl- |
cr- |
|
|
cʰʋ- |
k |
kʰp- |
kɓ |
kʰt- |
kɗ- |
kʰc |
|
kʔ- |
kʰm- |
kʰn- |
kʰɲ- |
kŋ- |
kʰj- |
kʰl- |
kr- |
ks- |
|
kʰʋ- |
s |
sp- |
sɓ |
st- |
sɗ- |
|
sk- |
sʔ- |
sm- |
sn- |
sɲ- |
sŋ- |
|
sl- |
sr- |
|
|
sʋ |
ʔ |
|
|
|
|
|
|
|
|
|
|
|
|
|
|
|
|
ʔʋ- |
m |
|
|
mt- |
mɗ- |
mc |
|
mʔ- |
|
mʰn- |
mʰɲ- |
|
|
ml- |
mr- |
ms- |
mh- |
|
l |
lp- |
lɓ |
|
|
|
lk- |
lʔ- |
lm- |
|
|
lŋ- |
|
|
|
|
lh- |
lʋ- |
이러한 자음들, 보다 정확하게는 자음 조합들 바로 뒤에 1개의 모음 핵심음가(nuclei)가 결합하여 하나의 음절을 구성한다. 어떤 조합쌍에서는 기식음(aspiration)이 "동음소 이음"(allophonic)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주8) 모음 핵심음가가 단모음일 경우, 반드시 마지막 자음이 존재해야만 한다. /h/와 /ʋ/가 각각 [ç]와 [w]로 변화할 때는 /p, t, c, k, ʔ, m, n, ɲ, ŋ, l, h, j, ʋ/ 같은 자음들이 음절종지부(syllable coda)로 올 수 있다.
크메르어에서 가장 일반적인 낱말의 구조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강세가 없는 선행음절에 온음절(full syllable)이 이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CV-, CrV-, CVN- 혹은 CrVN- (여기서 N은 크메르어 음가표의 모든 비음[nasal: 콧소리]을 가리킴)의 자-모음 구조를 지닌 "비주류적"(minor) 음절들도 존재한다. 여기서 선행음절은 회화체의 경우 대부분은 "어"[ə]로 변하지만, 주의깊게 발음한다든지 TV나 라디오 연설의 형태로 발음할 때는 항상 명료하게 발음된다.
크메르어에는 3개의 음절 혹은 그 이상의 음절로 구성된 낱말들도 존재하는데, 특히 과학과 예술, 그리고 종교와 관련된 어휘들이 많다. 하지만 이러한 어휘들 대부분은 외래어로, 빨리어나 산스끄리뜨어, 그리고 최근 들어서는 프랑스어로부터 차용한 것들이 많다.
3. 문 법
일반적으로 크메르는 전치사를 사용하여 주어-동사-목적어(S-V-O) 순으로 문장을 구성하는 언어이다.(주12) 비록 크메르어의 주된 특징이 고립어(isolating language)(역주*)이긴 하지만, 파생어를 만들 때는 접두사(prefixes)나 삽입사(infixes)를 사용해 어휘를 확장시킨다.(주13) 형용사(Adjectives), 지시어(demonstratives), 수량사(numerals)는 수식받는 명사의 뒤쪽에 위치한다.
ស្រីស្អាតនោះ /srəj sʔaːt nuh/ (스러이+싸앗+누 : 소녀+예쁜+저) = 저 예쁜 소녀 |
크메르어 명사는 성(남/여/중성), 수(단수/복수), 격(주격/목적격 등) 등의 구분을 갖지 않는다. 복수는 명사접미사(postnominal particles)나 수량사, 혹은 형용사의 중복사용을 통해 표현한다. 이 경우 형용사의 중복사용은 그 형용사 자체의 의미를 강화하거나 강조하는 기능도 한다.
ឆ្កែធំ /cʰkae tʰom/ (츠까에+톰 : 개+큰) = 큰 개
ឆ្កែធំណាស់ /cʰkae tʰom nah/ (츠까에+톰+나 : 개+큰+매우) = 매우 큰 개
ឆ្កែពីរ /cʰkae piː/ (츠까에+삐 : 개+둘[2]) = 두 마리의 개 |
수량사(numerals)와 명사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계량사(Classifying particles)(역주**)는 예를 들어 태국어만큼 엄격하게 사용하지는 않는다. 또한 대부분 동남아시아 언어들이 전형적으로 그러한 것처럼, 크메르어 동사들도 곡용을 전혀 하지 않는다(not inflect at all).(주14) 시제(tense)와 양상(aspect)(역주***)은 문장첨가요소(particles: 접사)나 부사를 사용해 표현하거나, 문장의 맥락을 고려해 이해하기도 한다. 부정문의 경우 [영어의 "no"나 "not"과 마찬가지로] 동사 앞에 "믄"/min/, "뿜"/pum/, "엇"/ʔɐt/과 같은 부정접두사를 첨가하고, 문장이나 구절의 마지막에 "떼이"/teː/를 붙이면 된다.
ខ្ញុំជឿ /kʰɲom cɨə/ (크뇸+쯔어 : 나+믿다) = 나는 믿는다.
ខ្ញុំមិនជឿទេ /kʰɲom min cɨə teː/ (크뇸+믄+쯔어+떼이 : 나+안+믿다+안) = 나는 안 믿는다. |
(주12) Huffman, Franklin. 1967. An outline of Cambodian Grammar. PhD thesis, Cornell University.
(역주*) 고립어: 일반 전문사전들은 "언어유형학적 용어. 개별 어휘들이 자립적이고 고립적인 언어. 거의 대부분의 형태소가 단어가 되고, 의존 형태소가 극히 적은 언어를 말함"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간단히 설명하면, 하나의 단어내에서 어미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언어를 말한다. 이와 대비되는 것으로는, 가령 독일어처럼 주격, 목적격, 소유격 등의 격에 따라 어미가 변화하는 거은 "굴절어"라고 부른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단어 내적 변화는 없지만, 접두어나 접미사 삽입사를 사용해 변화하는 언어를 "교착어"라고 하는데, 한국어와 같은 알타이어족 언어들이 대표적이다. 역자의 생각으로는 크메르어가 기본적으로 고립어이긴 하지만 교착어적 특성도 일부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주13) David Smyth (1995). Colloquial Cambodian: A Complete Language Course. Routledge (UK).
(역주**) "마리", "그루", "kg"과 같은 단위들.
(주14) East and Southeast Asian Languages: A First Lookat Oxford University Press Online.
(역주***) 가령 영어의 "can~"(~할 수), "may~"(~일 수도), "think that~"(~라고 생각하다), "suppose that"(~라고 상상하다)와 같이 동사 혹은 서술부에 어감의 차이를 주는 말들이 들어가 의미를 세밀하게 변화시켜 줄 경우, 언어학이나 언어철학에서는 "문법적 양상이 변화했다"고 표현한다. |
4. 방 언
크메르어에는 분명하게 구분되는 방언들(사투리)이 존재한다. 주요한 방언들로는 수도인 프놈펜(Phnom Penh) 방언, 농촌지역인 밧덤벙(Battambang) 방언, 태국 북동부 지방에 거주하는 크메르어 원어민들의 방언인 "크메르 수린"(Khmer Surin), 베트남 남부의 메콩 삼각주(Mekong Delta)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 크메르인들의 방언인 크메르 끄롬(Khmer Krom), 캄보디아 서부 끄러완 산맥(=카르다몸 산맥, Cardamom Mountains)에 거주하는 소수민족들이 사용하는 고대적 형태의 방언인 "카르다몸 크메르어"(Cardamom Khmer)가 있다.(주4) 이러한 방언들의 지역적 스펙트럼은 대충 북에서 남으로 내려가면서 이어지는데, 프놈펜 방언을 표준어로 하고 있긴 하지만 대체로 방언들 상호간에 의사소통은 이뤄지는 편이다. 하지만 간혹 베트남 남부에서온 크메르끄롬 방언 사용자가 태국의 시사껫(Sisaket, 시사켓) 도에 거주하는 크메르 원어민과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다.
(크메르의 세계 추가사진) 최근에 무료로 보급 중인 "쭈언 낫 크메르어 사전"의 전자판 보급용 사이트의 배너 사진. 표지의 인물은 현대 크메르어 사전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쭈언 낫 스님의 모습이다.
태국에서 사용되는 "북부 크메르어"는 "크메르 수린"이라고도 불린다. 표준어에서 분화된 것은 약 200년 정도로 그리 오래되진 않았지만, 일부 언어학자들이 이 방언을 독립적인 언어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이러한 오해는 부분적으로는 거주지역인 태국의 성조언어에 영향을 받은 독특한 액센트와, 어휘나 자모음 배열의 음소론적 차이가 너무도 현격했기 때문이다. 가령 다른 방언들에서는 묵음으로 변하는 마지막 자음 "r"이 북부 크메르어에서는 발음을 한다.
"서부 크메르어"는 "카르다몸 크메르어"라고도 불린다. 캄보디아에서 태국으로 이어지는 "끄러완 산맥"에 사는 소수의 고립된 인구가 사용한다. 아직 많이 연구되진 않았지만, 현대의 다른 지방들에서는 사라진 독특한 높낮이차이-발음체계(vocal register)를 갖고 있다.(주4)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프놈펜 방언"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다른 지방 사람들이 보기에는 다소 느슨한 느김을 박게 되는 음절의 통합(merging) 혹은 완전한 생략(complete elision) 현상이다. 예를 들면 "프놈 뻰"(Phnom Penh)이란 표현이 종종 "음 뻰"(m'Penh)이라 발음되기도 한다.
프놈펜 방언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마치 영어의 "bread"처럼] 자음 "r"이 자음조합에서 최초 자음이 되거나 둘째 구성원이 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다른 지방에서는 떨림음이나 펄럭이는 음으로 변하는 자음 "r"이, 프놈펜 방언에서는 마치 프랑스어처럼 연구개[목젖]-떨림음(uvular trill)으로 변하거나 아예 발음되지 않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선행하는 자음을 보다 강도가 센 경음으로 만들어주거나 발음 자체를 강화시켜 음가를 변하게 만드는 작용도 한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마치 베트남어의 "hỏi" 발음을 할 때와 유사한데] 어떤 음을 저상승(low-rising) 혹은 내려보낸(dipping) 음으로 발음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어떤 이들은 "뜨러이"/trəj/(물고기)를 "떠이"/təj/로 발음하는데, 자음 "r"은 탈락시키고 모음은 그 표준음가보다 저음의 상태로 발음하며, 동시에 발음의 길이는 길게 만드는 방식이다. 그 외의 사례로는 단어 "리언"/riən/(공부하다)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이 연구개음(목젖음)으로 변하면서 인토네이션(높낮이)은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변한다.(주15)
(주15) William Allen A. Smalley (1994). Linguistic Diversity and National Unity: Language Ecology in Thailand. University of Chicago. |
5. 언어의 사회적 층위
크메르어는 "언어사용-층위"(registers) 체계를 갖고 있어, 대화시 항상 상대방의 지위나 신분을 고려해야만 한다. 즉 일반적인 대화와 예의를 갖춰야 할 때의 대화, 왕족과 대화할 때나 스님과 대화할 때 등, 상황과 상대에 따라 신체부위의 명칭이나 대명사 등을 바꿔가며 표현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을 외국인 입장에서 보면 그러한 층위들의 차이가 상호간 거의 외국어 수준으로 보일 정도인데, 실제로 고립마을 주민들의 경우 왕족을 만났을 시 어떻게 말해야 할지 당황하는 경우도 있고, 왕족들 또한 궁중에서 일상화법을 들으면 심기를 불편해 하기도 한다.
이러한 언어적 층위로 인해 수많은 존대말과 복잡한 대명사 체계가 탄생하였다. 예를 등러 "먹다"(to eat)라는 동사의 경우, 동물 혹은 절친한 친구 사이에선 "씨"/siː/라고 하고, 대충 예의만 차릴 경우엔 "냠"/ɲam/이라 한다. 이보다 좀 더 격을 높여 사회적 지위가 있는 사람에겐 "삐싸"/pisa/나 "떠뚜얼 띠언"/tɔtuəl tiən/이라 하고, 스님에게는 "찬"/cʰan/, 그리고 왕족에게는 "싸오이"/saoj/라고 한다.(주2)
6. 표기체계
크메르어는 크메르 문자(악서 크마에)로 표기한다. 이 문자는 아부기더형(abugida: 자모음 일체형) 문자로 7세기 이전에 인도의 빨라와 문자(Pallava script)를 개량해 만든 것이다.(주16) 크메르 문자는 그 형태 면에서 태국 문자나 라오스 문자와도 유사한데, 그 이유는 이 두 문자들이 모두 크메르 문자에 토대를 두고 개량해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크메르 문자는 친연성이 다소 멀긴 하지만, 버어마 문자와도 약간의 관련이 있다.(주16) 크메르 문자는 또한 문자를 갖지 못한 산악부족들의 언어를 기록하는 데도 사용되었다.(주6)
한편 크메르 숫자는 원래 인도의 숫자를 물려받은 것인데, 이 숫자 체계는 원래 힌두-아라비아 숫자(Hindu-Arabic numerals) 체계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던 것이다.
7. 숫 자(주13)
0 |
០ |
សូន្យ |
(son) |
쑤운 /soːu̯n/ |
1 |
១ |
មួយ |
(muŏy) |
무어이 /muːə̯j/ |
2 |
២ |
ពីរ |
(pi) |
삐 /piː/ |
3 |
៣ |
បី |
(bei) |
버이 /ɓəːj/ |
4 |
៤ |
បួន |
(buŏn) |
부언 /ɓuːə̯n/ |
5 |
៥ |
ប្រាំ |
(prăm) |
쁘람 /pram/ |
6 |
៦ |
ប្រាំមូយ |
(prăm muŏy) |
쁘람 무어이 /pram muːə̯j/ |
7 |
៧ |
ប្រាំពីរ |
(prăm pi) |
쁘람 삐 /pram piː/ (혹은 /pram pɨl/) |
8 |
៨ |
ប្រាំបី |
(prăm bei) |
쁘람 버이 /pram ɓəːj/ |
9 |
៩ |
ប្រាំបួន |
(prăm buŏn) |
쁘람 부언 /pram ɓuːə̯n/ |
10 |
១០ |
ដប់ |
(dâp) |
덥 /ɗɑp/ |
100 |
១០០ |
មួយរយ |
(muŏy rôy) |
무어이 러이 /muːə̯j rɔj/ |
1,000 |
១០០០ |
មួយពាន់ |
(muŏy péan) |
무어이 뻐언 /muːə̯j pɔə̯n/ |
10,000 |
១០០០០ |
មួយម៉ឺន |
(muŏy mein) |
무어이 머은 /muːə̯j məɨn/ |
100,000 |
១០០០០០ |
មួយសែន |
(muŏy sên) |
무어이 싸엔 /muːə̯j saːe̯n/ |
1,000,000 |
១០០០០០០ |
មួយលាន |
(muŏy léan) |
무어일 리언 /muːə̯j liːə̯n/ |
더 읽어 볼만한 자료들
- Ferlus, Michel. 1992. Essai de phonétique historique du khmer (Du milieu du premier millénaire de notre ère à l'époque actuelle)", Mon-Khmer Studies XXI: 57-89)
- Headley, Robert et al. 1977. Cambodian-English Dictionary. Washington, Catholic University Press. ISBN 0813205093
- Huffman, F. E., Promchan, C., & Lambert, C.-R. T. (1970). Modern spoken Cambodia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ISBN 0300013159
- Huffman, F. E., Lambert, C.-R. T., & Im Proum. (1970). Cambodian system of writing and beginning reader with drills and glossary. Yale linguistic serie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ISBN 0300011997
- Jacob, Judith. 1974. A Concise Cambodian-English Dictionar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7135749
- Jacob, J. M. (1996). The traditional literature of Cambodia: a preliminary guide. London oriental series, v. 4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7136125
- Jacob, J. M., & Smyth, D. (1993). Cambodian linguistics, literature and history: collected articles. London: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ISBN 0728602180
- Keesee, A. P. K. (1996). An English-spoken Khmer dictionary: with romanized writing system, usage, and indioms, and notes on Khmer speech and grammar. London: Kegan Paul International. ISBN 0710305141
- Meechan, M. (1992). Register in Khmer the laryngeal specification of pharyngeal expansion. Ottawa: National Library of Canada = Bibliothèque nationale du Canada. ISBN 0315750162
- Sak-Humphry, C. (2002). Communicating in Khmer: an interactive intermediate level Khmer course. Manoa, Hawai'i: Center for Southeast Asian Studies, School of Hawaiian, Asian and Pacific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OCLC: 56840636
- Smyth, D. (1995). Colloquial Cambodian: a complete language course. London: Routledge. ISBN 0415100062
- Stewart, F., & May, S. (2004). In the shadow of Angkor: contemporary writing from Cambodi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0824828496
- Tonkin, D. (1991). The Cambodian alphabet: how to write the Khmer language. Bangkok: Trasvin Publications. ISBN 9748867021
|
|
첫댓글 시간을 갖이고 천천히 살펴 보겠습니다. 최소한 10번은 보고 공부할 게시판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