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당에서 용산역으로 가는 열차 시간표입니다.
지금은 운길산 역에서 출발합니다.

팔당역에서 좌측으로 200 여미터 나가면 서있는 들머리의 산행도 입니다

예봉산의 정상으로 향하는 된비알을 바로 오르다가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팔당대교입니다.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에서 나오는 강건너 검단산도 보입니다.
여기까지는 작년 12월의 산행이었습니다.

지난 새해 1월19일 가볍게 근교산을 다녀오자는 후배의 제의에 예봉,적갑,운길산 산행을 하였드랬습니다.
12월 중순에도 짝과 함께 다녀와서는 예봉산 정상에서 파는 감로주 생각에
용산역에서 후배를 만나서는 팔당역에 내려 율리봉 방향으로 올라갔지요.

능안마을(현재 천주교 공동묘지방향)에서 출발하면 예빈산을 거쳐 도착하는 율리봉에서
잠시 숨을 고르고 율리봉에 대한 설명을 읽어봅니다.
하여간 옛날의 이름있는 선조들은 안 다녀본 산이 없는것 같습니다.
여기도 율곡 이이 선생과 관련이 있더군요

새벽에 눈이 제법 내리던 날 아침이라 산길은 설국으로 변해 있었습니다.

정상에 도착하여 인증샷을 찍고는 감로주 한잔을 나눕니다.
이 후배와는 오랜동안 각종 비박산행과 지리,설악,덕유등 종주산행과 해외여행,
15차에 걸친 남도기행과 연말 송년산행을 함께하고
암벽을 가르쳐 함께 인수봉을 오르락 거렸기에 각별한 후배입니다.

철문봉을 지나면서 나타나는 적갑산의 정상입니다.
도곡리에서 오르면 왼쪽으로 적갑산이 아닌 갑산이 있습니다.

산길은 아주 부드러운 흙길로 이루어져 있어 살방살방 다니기에 아주 좋습니다.

적갑산과 도곡리 갈림길 사이에서 후배가 사진을 찍어줍니다.

도곡리로 탈출하는 갈림길입니다.
도곡리는 거북선 천문대가 있는 동네이기도 합니다.

운길산 방향으로 접어들며 한적한 곳에서 라면을 끓여서 점심 겸 요기를 합니다.

운길산의 그림자에 눈은 녹지를 않고 쌓여 있었습니다.

여기서도 운길산 정상까지는 조금 더 가야합니다

운길산 정상 부근의 군부대 훈련용 표식입니다.
오랜만에 이 표식을 보니 반갑기도 하고 현역시절이 생각나기도 합니다.

운길산의 정상석입니다.
오후의 밝은 햇살에 정상 부근의 운은 녹아 질척거리고 있네요

운길산 정상의 삼각점입니다.

이쯤에서 한 장 더 찍어봅니다

석양이 지는 운길산 수종사에서 주홍색 햇살을 받으며 차를 한 잔 하면 운치가 그만인 곳이지요
수종사는 멋스러움과 옛스러움이 더해진 절이라 한번쯤은 들러 볼 만 하다는 생각입니다.
동문 여러분,
이번주 일요일 예봉,적갑,운길산 산행에 많이들 참석하세요.
첫댓글 좋은산행기 감사드립니다. 형님이 가이드해주시는거죠?
이번에 초장가져 가세요! 운길산 두룹 유명합니다~~~!(오래된예기지남) 맛있는산행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