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
학명 |
Freesia hybrida |
영명 |
freesia |
한명 |
香雪蘭 |
원산지와 내력 |
|
원산지 |
남아프리카 케이프다운 희망봉 근처에 대부분의 원종이 자생하며 F. alba, F. refracta 등 몇 종의 야생종에 의해 현재 품종군이 성립되었다. |
내력 |
200여 년전 남아프리카에서 처음 야생종이 발견되었고 Dr. F.H.Freese의 이름을 따서 Freesia로 명명하였다. 1873년에 처음 상업적 재배가 시작되었지만 1945년 이전에 이미 중요한 화훼작물로 자리잡았다. 현재는 유럽에만 약 600ha 정도가 재배되고 있다. |
국내외 생산현황 |
|
국내 생산 |
주요 재배지역 : 전북, 경기, 충남, 인천, 전남, 경남 순으로 재배하며 전주, 완주, 익산, 김제 등 전북지역의 프리지아 절화 품질이 우수해 절화 수출과 내수 출하량이 많다. 경기지역은 이천을 중심으로 프리지아 연구회를 결성, 고품질의 절화 수출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재배작형이 무난방 수막보온재배작형 형태여서 충분히 햇빛을 받지 못하고 절화하는 것이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충남은 부여, 예산, 서천 지역을 중심으로 충남 프리지아 재배연구회를 만들고 매년 세미나를 개최하고 종묘 증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프리지아 재배농가의 평균 규모는 0.3ha/호(900평) 규모로 매년 농가 수는 줄고 재배규모가 확대되는 추세이다. 2006년부터 국내 육성품종을 중심으로 절화 수출을 시작, 2008년에는 백만 본 이상 일본으로 절화를 수출했으며 아직 절화 규격, 품질, 유통 등 좋은 가격을 받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 부분은 많이 남아 있다. |
1) 프리지아 '08 국내 생산 통계 | ||||||||||||||||||||||||||||||
| ||||||||||||||||||||||||||||||
2) 프리지아 연도별 국내 생산 통계 | ||||||||||||||||||||||||||||||
| ||||||||||||||||||||||||||||||
3) 연도별 구근 수입 | ||||||||||||||||||||||||||||||
| ||||||||||||||||||||||||||||||
4) 프리지아 국내 절화품종 | ||||||||||||||||||||||||||||||
|
국외 생산 |
1) 프리지아 일본 생산통계 | |||||||||||||||||||||||||||||
| |||||||||||||||||||||||||||||
2) 네덜란드의 프리지아 재배면적 | |||||||||||||||||||||||||||||
그림 2. 네덜란드의 프리지아 재배면적 변화 |
주요품종 특성 |
|
품종명 |
화색 |
화형 |
생장속도 |
Thumbing정도 |
육종회사 |
알라딘 |
황색 |
홀꽃 |
늦음 |
다소 |
Wulfinghoff |
형태적 특성 |
|
구경 |
원추형으로 줄기가 비대하여, 몇 개의 마디를 지닌 알뿌리가 되는 Corm(구경)에 속하며 글라디올러스와 유사하다. 처음 싹이 나기 전까지의 물과 양분 흡수는 심은 구경의 기저부에 나오는 흡수근이 담당하지만 맹아 후 굵고 다즙질의 견인근(수축근)이 나와 신구를 아래로 끌어내리고 급격한 생장의 결과 얻어지는 동화산물을 임시로 저장했다 생육 후기에 신구로 되돌려 주는 역할을 한다. |
화서 |
수상화서로 10개 내외의 소화가 달리며, 각 소화는 6갈래로 나눠진 통꽃으로 3개의 수술과 3갈래로 갈라진 주두로 이루어져 있다. |
생리 생태적 특성 |
|
온도 |
비내한성 추식구근으로 생육적온 범위는 13∼16℃이고, 25℃이상에서는 휴면에 들어가며, -3℃ 이하 온도에서 얼어 죽는다. |
휴면 생리 |
개화 60일 후에는 지상부가 황변하고 구근이 성숙되며 자발적 휴면에 돌입한다. 휴면은 반드시 고온 기간을 거쳐야 타파되며 30℃ 전후가 효과적이다. |
개화생리 |
1) 온도 | ||||||||||||||||||||||||||||||||||||||||||||||||||||||||||||||||||||||||||||||||||||||||||||||||||||||||
정식직후 20℃ 이상의 고온은 잎의 분화를 촉진하고 정식직후 10℃ 이하의 저온은 꽃눈 분화를 촉진한다. 저온처리된 구근을 고온에 두면(20℃/3일, 30℃/1l일) 저온처리의 효과가 상실되어 개화가 늦어지고 꽃수가 감소하며 잎수가 증가한다. | ||||||||||||||||||||||||||||||||||||||||||||||||||||||||||||||||||||||||||||||||||||||||||||||||||||||||
2) 일장 | ||||||||||||||||||||||||||||||||||||||||||||||||||||||||||||||||||||||||||||||||||||||||||||||||||||||||
단일조건에서 화아분화가 촉진되고 장일조건에서 화아발달이 촉진된다. 표 1 . 온도와 일장이 프리지아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Mansour. '68)
|
재배 기술 |
|
실생(實生) 절화재배 |
1) 교배 및 채종 |
개화 품질이 우수한 우량 모주를 선발하여 기온이 낮은 오전에 교배한다. 교배방법은 암술이 세 갈래로 갈라진 후 수술의 약이 터지고 나서 화분을 암술머리에 발라 주면 된다. 1일 간격으로 2회 이상 수분시키도록 한다. 교배 후 90일 전후하여 꼬투리 색이 연하게 변하면 따내어 양파망에 넣어 말리고 완전히 건조한 후 종자를 조제한다. |
2) 파종 |
조제, 또는 구입한 종자를 상온에 저장했다가 8월 하순경 기온이 떨어질 때 벤레이트티 200배액에 30분간 소독하고 5×5cm 간격으로 직파한다. 너무 간격이 좁으면 절화 품질이 나빠지므로 주의한다. |
3) 파종후 관리 |
구근재배보다는 고온에 강한 편이나 발아초기에는 시원하게 관리하도록 하고 개화가 시작되면서부터는 약간 고온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만일 너무 밀식한 것 같으면 전조시설을 1일 4시간 정도 전조해야 개화율을 높일 수 있다.절화 출하 후 잔여구근은 수확하여 건조한 상태로 관리하면 일반구근과 동일하게 촉성 및 절화재배가 가능하다. |
촉성재배 |
1) 구근 및 포장준비 |
가) 구근의 준비 |
2) 정식 및 정식후 관리 |
가) 정식시기 : 9월 상,중순 |
3) 생육초기관리방법 |
가) 환경관리 |
4) 생육중기관리방법 |
가) 환경관리 |
5) 발뢰후 관리방법 |
* 관수 : 꽃대가 신장할 수 있게 충분히 관수 |
6) 수확 및 출하(절화) |
절화수확적기 : 1번 소화가 착색되고 개화전, 만일 1번 소화가 Thumbing일 때에는 1번 소화를 제거 후 2번 소화를 기준으로 한다. |
보통재배 |
1) 구근 및 포장 준비 |
가) 구근의 준비 |
2) 밤 온도관리 |
고온에서 관리하면 잎 신장은 촉진되나 품질저하가 우려되므로 생육중, 특히 생육초기에는 저온관리(근부온도 5℃ 내외)한다. |
3) 정식 및 정식후 관리 |
가) 정식시기 : 9월 상,중순 |
4) 생육초기관리방법(9중∼10하) |
가) 환경관리 |
5) 생육중기관리방법(11초∼1하) |
가) 환경관리 |
6) 발뢰후 관리방법(1하∼3상) |
* 관수 : 표토가 건조해질 때 충분히 관수 |
이용분야 |
|
꽃꽂이, 꽃바구니, 꽃다발용 절화, 포프리(향), 향료원료 |
|
|
F. caryophyllacea |
Freesia refracta |
|
|
이본느(Yvonne) |
스트립쥬웰(Strip Jewel) |
|
|
퍼플레인(Purple Rain) |
허니문(Honeymoon) |
|
|
샤이니골드(Shiny Gold) |
프리티우먼(Pretty Woman) |
|
|
레인보우(Rainbow) |
퍼피러브(Puppy Love) |
|
|
송오브헤븐(Song of Heaven) |
레드레이스(Red Lace) |
국립원예특작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