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귀납적 성경연구 방법
A. 본문 선정. B. 배경 이해. C. 관찰. D. 해석. E. 적용
F. 목적 설정. G. 조직화. H. 메시지 개요. I. 살붙이기. J. 최종 점검
A. 본문 선정
강의참조: [프리셉트, pp.10-19 "I.성경을 개관하라"]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본문 선택이 결정될 것이다. 성경 단 권 을 택하여 연구할 것인가,
또는 본문을 특정 주제에 맞추어 택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동일한 주제에 따라, 여러 성경에서 본문들을 선택할 때는, 각 본문 내용들의 특징을 기록한다. 성경 단권을 가지고 할 경우에는, 선택한 본문을 사상적 단락 구분을 지어 개관도표를 만들어 보라. (젠센 성경 핸드북과 주석류등의 개관도표를 참고하라).
만들어진 개관도표를 근거로 해서 IBS하기 적절한 분량으로 나눈다. 보통 바울 서신과 같은 강화체
(Discourse)의 경우에는 10절 내외가 좋고,
복음서와 같은 사건기록체(Narrative)의 경우에는 사건 하나 정도를 기록한 분량이 적당하다.
이렇게 하여 모두 몇 회분에 걸쳐 IBS를 할 것인지 계획을 세워두는 것이 좋다.
보충: 개관도표 작성하기의 예 제시
B. 배경 이해
강의참조: [방법론, pp.24-27; pp.59-62; pp.88-91; p.191; pp.271-280]
만일 "에베소서"를 택했다면, 에베소서에 대한 종합적인 배경 이해를 먼저 시도한 후에 해당 본문 연구로 들어가는 것이 이해에 많은 도움을 준다. 여기에서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라. 저자, 수신인, 본문에 언급되어 있는 사람들, 기록한 시기, 기록한 이유, 문화와 사회적 배경, 지리적 배경, 주요 사상등을
살펴야 한다. (핸드북류와 주석류를 참조하라.)
보충: 배경연구가 어떤 점에서 본문 이해를 돕는가?
C. 관찰(Observation)
본문이 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묻고 찾는 작업이다. 문법적 특징들을 찾는 것과 육하원칙적 관찰 작업을 함께 하는 것이 좋다.
1. 문법적 특징들
1.1 문체-
강의참조: [귀납 연구, pp.57-60], [방법론, pp.92-94; 신약부분에서 쟝르차이에 대한 내용], [카이저, pp.119-125]
강화체, 설화체, 시, 역사서, 철학서인지 알아야 한다. 문체에 따라, 관찰과 해석법이 달라야 할 때가 있다. (Fee는 주해를 할 때, 1-8단계를 공통 단계로 하고 9-11단계는 나누었다. (E)pislte, (G)ospel, (A)cts, (R)evelation. 그리고, 12-14단계는 공통, 15단계는 다시 구분했다.)
보충: 각각의 문체에 따른 관찰, 해석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
1.2 단락구분-
강의참조: [창조성경연구, p.5, A-1-(2) "구조를 보라"]
우선 본문을 사상적인 연결에 따라 2-4단락으로 구분해 본다. 이 단락 나누기는 대략적인 것이다. 나중 세밀한 관찰, 해석 작업이 마친 후 더 온전한 단락 구분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단락 구분을 하는 이유는, 본문을 대략적으로라도 나누었을 때, 그 내용을 더 잘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철저한 구문도표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은 이 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1.3 문맥-
강의참조: [창조성경연구, p.5, A-1-(3) "문맥을 보라"], [cf. 프리셔트,
p.34-35, 여기서는 관찰때 보다도 해석때 필요한 것]
본문의 앞, 뒤 부분의 내용적 연결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살펴 본다. 특히 본문이 전체적인 맥락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본문의 주제가 어떤 맥락에서 흘러 나왔으며, 전체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다.
보충: 문맥의 중요성을 말해줄 수 있는 예 재시.
1.4 구문 도표-
강의참조: [방법론, pp.189-190(개론적 내용); pp.227-248(비교적 자세한 구문 도표 작성법임- 구단위 구문도표)], [카이저, pp.216-240(구문론 분석의 실예- 절단위 구문도표]
구문론(Syntax)에 근거해서 본문에 대한 문장 구조와 단어 수식 여부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구문 도표를 작성해 본다. 원어, 영어, 국어 등 자신의 편리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나, 구미 언어(영어등)가 구문론적인 분석에는 유리한게 사실이다.
그러나, 구문 도표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본문을 각 행간을 띠운 상태로 기록해 본다. 관찰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구문도표에 유일한 방식은 없다. 다만, 기본적인 문장 유형이 잘 드러나서, 주절과 종속절 관계, 그리고 기본구(어)와 수식구(어)의 관계등을 분간하기 좋은 것이면 된다.
보충: 구문도표의 예 한,두가지의 예를 들어 설명.
1.5 주어 술어 찾기-
강의참조: [방법론, pp.228-229(도표를 만드는 측면에서)], [카이저,
pp.125-137(문단나누기가 잘되어 있음)]
구문 도표에 따라 문장을 구별해 본다. 그리고 나서 각 문장의 기본이 되는 주어, 술어, 목적어, 보어를 찾는다. 주어와 술어는 기본적인 내용을 뽑아내고, 목적어와 보어는 수식된 것들을 단순화해야 한다. (예, "모든 성도중에 지극히 작은 자보다 더 작은 나에게 이 은혜를 주신 것은 측량할 수 없는 그리스도의 풍성
을 이방인에게 전하게 하시고" --> "나에게 이 은혜를 주신 것은 그리스도의 풍성을 이방인에게 전하게 하기 위함")
이 때, 개역성경과 영어성경, 원어 Interlinear 성경을 비교해 보라. 문장이 어디까지 연결되어 있고 어디서 끝나는지 보라. 기본 문장은 주어와 본동사(직설법동사)로 되어 있을 것이다. 종속절과 수식어구를 구별해 내라. 원어와 개역성경 또는 영어성경의 문장구분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발견해 보라.
그리고 원어성경의 입장에서 문장구분을 다시 해보자. 이렇게, 형태적인(syntactic) 측면에서의 문장구분을 한 다음에는 의미론적인(semantic) 점에서도 문장의 의미를 살펴본다. 그리고 유사한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여 한 문단으로 구분한다. 때로 형태적인 면에서 한 문장인 것이 의리론적인 면에서 두 내용으로 갈라지거나, 서로 다른 문단에 연결되기도 한다. 형태적인 것과 의미론적인 것이 항상 일치하는 것이
아니다. 보충: 개역, 영어 성경, Interlinear 성경을 비교하기. 어떻게 주어와 술어, 그리고 기본적인 보어와 목적어를 찾을 수 있는가? "형태적"이라는 용어와 "의 미론적"이라는 용어를 비교.
1.6 임시 번역-
강의참조: [방법론, pp.188-189, p.307], [강해설교, pp.35-50(한 문장, 한 문장씩을 엮어 전체적인 임시번역을 시도하게 하는 것은 아니나, 전체 문단의 내용을 간단한 Idea로 정리하는 점에서 이 부분과 비슷하다.]
기본적인 주어와 술부를 중심으로 작성된 단순화된 문장을 모두 엮어서 말을 만들어 본다. 그렇게 해서 전체적인 내용이 나오게 해 보자. (혹은 본문의 내용을 자기 자신의 말로 바꾸어 보라. 원어 Interlinear 성경과 영어성경을 참조해서 해 보면 더욱 좋을 것이다.)
보충: 단순화시킨 문장을 서로 엮어 사상적인 흐름을 발견하기. "자기 자신의 말 로 문장을 바꾼다"는 말의 뜻과 그 예 제시.
1.7 구문 절별 분석-
강의참조: [방법론, pp.249-260], [창조성경연구, pp.5-6, A-1-(4)]
구문 도표에 따라 각 절별로 관찰한 내용을 분석해 낸다. 도표에 따른 문법적인 특징들(시제, 태, 복수단수, 수식어(단어,구,절), 강조어등)을 찾아 열거 해 나간다. 이 부분이 절 별 이해의 핵심이 된다. 발견된 사실들에 대한 간단한 해석은 덧붙여도 좋을 것이다.
보충: 간단한 예 제시.
1.8 본문의 문법관계-
강의참조: [귀납 연구, pp.30-33], [창조성경연구, p.6 (5)], [방법론, p.255 (3)], [카이저, p.127-129]
본문 전체의 문법적 상관관계를 조사해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문장 내의 문법 관계보다는 문장과 문장, 단락과 단락간의 큰 관계를 잡아 본다. 이를 위해서 접속사를 주의깊게 관찰해야 할 것이다. (접속사의 종류를 이해할 것)
보충: 접속사의 종류 열거. 접속사가 문장과 문장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1.9 강조점-
강의참조: [창조 연구, pp.9-10], [귀납 연구, pp.40-45]
본문의 내용가운데 반복, 비교, 대조, 비례되는 점들을 다시 살펴 본다. 또한 저자가 많은 비중을 두고 이야기하고 있는 사상(지면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말)을 찾아본다.
어느정도는 절별 구문 분석에서 이미 나온 것일 것이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는 전체적인 측면에서 강조하는 것들을 찾아 본다.
보충: 각각의 예 제시.
1.10 사상배열-
강의참조: [창조 연구, pp.10-11]
전체의 문법적인 특징들 가운데 인과 관계, 사상의 진행 내용등을 찾아 본다.
이제까지 관찰된 사실들을 엮어서 전체적인 흐름을 잡는 것이다. (그리고 이제까지 관찰한 내용을 중심으로 본문을 다시 번역해 보자.)
보충: 각각의 예 제시. 본문에 대한 전체적인 시각을 갖도록 함.
2. 육하원칙적 관찰
강의참조: [창조 연구, pp.6-8], [효과적인, pp.16-18]
누가, 어디서, 언제, 무엇을, 어떻게, 왜, 그래서(그 결과) 등의 순서를 따라 본문을 재관찰해 보는 것이다. 이 관찰법은 설화체의 경우에 유리하다. 그렇지만, 강화체의 경우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문법적인 특징들"들을 먼저 관찰한 후에 다시 "육하원칙적 관찰"을 했을 때, 또 다른 새로운 진리들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보충: 구체적인 예 제시. 육하원칙과 신문기자의 보고서
D. 해석(Interpretation)
강의참조: [방법론, pp.104-171; pp.327-349(각각 구약, 신약과 관련된 서적이다. 목회자와 신학자들을 위한 해석 도구이다.)], [성경을 아는 지식, pp.135-149(평신도를 위한 가이드이다.)], [강해설교, pp.62-72(실제적인 자료들이 제시되었음)].
* 해석법을 위한 책들-[카이저, pp.173-194 "신학적 분석"], [성경을 아는 지식, pp.75-115 "성경해석을 위한 실제적 원칙들"], [창조
연구, pp.12-16], 기타 해석학 책들
해석 작업에 필요한 도구(성경번역본, 주석류, 성구사전, 성경사전, 성경원어사전, 성경지도, 총론류등)가 선정되어야 한다.
역사적 정황과 문학적 배경 조사는 여러 문헌들의 자료를 참고해야 한다.
"B. 배경 이해"에서 배경조사를 이미 했다면, 여기서는 본문의 내용에 따른 해석에 집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좋은 방법은 구절별 관찰거리에 따라 해석을 해나가는 것이다. 각 구절중에 어려운 단어나 표현은 참고 서적을 통해 도움을 받고 문법적, 논리적인 연구를 통해 본문 해석의 결과를 도출해내는 작업이다. 이 부분에서 필요하다면 믿을만한 주석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여러 권의 참고 도서가 필요한 시점이 이 때다.
성경 해석법의 원리는 위의 책들 참조.
보충: 성경 해석 작업에 필요한 책들을 소개 확인. 어떤 책이 어떻게 활용되는가? 성경 해석법의 중요 원리 또는 일반적인 원리 소개. 문법적-역사적-신학적 해석.
E. 적용(Application)
강의참조: [창조 연구, pp.16-18], [프리셔트, pp.38-42], [방법론, pp.41-46;
pp.97-99; p.322], [강해설교, pp.99-108].
두 가지 방법을 권유하고 싶다. 초보자에게는 "Something to Believe, Praise God for, Confess, Ask God for, Plan"등의 순서로 해 나가는 방법을, 어느 정도 IBS에 익숙한 사람은 절별 관찰, 해석에 따른 적용을 하는 방법을 권한다. 또 적용은 대상을 자신으로 부터 시작하여 보다 범위를 넓혀가는 점층적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
(예, 나 --> 가족 --> 내 교회 --> 다른 교회들 --> 우리 사회 --> 우리 나라 --> 아시아 --> 세계).
적용은 철저히 본문의 관찰, 해석의 결과로 나와야 한다. 해석에 문제가 있을 때, 잘못된 적용이 나오는 경우가 흔하다. 정확한 관찰, 올바른 해석, 구체적인 적용 이렇게 세가지가 IBS의 핵심이다.
적용에 구체적인 면이 결여될 때, 그리고 적용에 개인적인 결단이 결여될 때, 적용의 부분은 피상적이고 관념적인 내용으로 되버릴 수 밖에 없다.
보충: 적용의 예를 구체적으로 예시. 구체적인 적용과 피상적인 적용을 비교.
F. 목적 설정
강의참조: [강해설교, pp.120-126], [방법론, pp.324-325]
이 작업은 IBS이후 실제적인 활용에 대한 것이다. IBS를 한 개인은 본문을 깊게 이해하고 있을 것이지만, 이 내용들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야 하는 목회자등의 경우에는 이후의 작업이 더 필요하다. 강해 설교를 하려는 분들에게 권하고 싶은 점은 IBS한 내용을 목적 설정화하라는 것이다. 목적 설정은 세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내용 목적"으로 본문의 내용이 가르치고자 하는 핵심적인 것들이 무엇인지 점검하는 것이다.
둘째는 "적용 목적"으로 본문의 교훈을 사람들에게 어떻게 적용해야 하며, 어느 부분에 적용해야 하는 것인지를 살피는 작업이다.
다음으로 "반응 목적"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본문의 전달을 통해 어떤 결과를 기대할 것인지를 찾는 것이다. 말씀 전파의 결과는 성령님께 달려 있지만, 우리는 "반응 목적"을 통해 본래 저자가 어떤 기대를 가지고 이 말씀을 전하려 했으며, 우리는 또 어떤 결과를 소망하고 말씀을 전해야 하는지 분명하게 된다.
보충: 내용 목적, 적용 목적, 반응 목적의 실예들을 든다. 목적 설정을 분명히 했을 때의 장점들은 어떤 것인가?
G. 조직화
강의참조: [강해설교, pp.141-145], [프리셔트, pp47-48]. 기타 설교학 책들 참조요.
이제까지 연구한 결과를 논리적인 구조로 엮어내는 것을 말한다. 본문에 대한 IBS를 밀도있게 해왔다면, 조직화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성령님께 지혜를 구하는 일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다. 구조는 일반적으로 세 단락 정도로 짠다. 이것은 청중의 논리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이다.
각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의 개요가 나올 수 있는 것은 본문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적용과 강조의 차이에서 나온 것이라 볼 수 있다.
보충: 조직화할 때의 주의점. 잘 된 조직화의 예들 제시.
H. 메시지 개요
강의참조: [강해설교, pp.178-196], 기타 설교학 책들 참조요.
"조직화" 작업과 크게 다른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인 전달 대상이 결정된 후에는 좀 더 구체적인 개요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서론은 어떻게 이끌고, 본론에서 예화는 어떤 것들을 들고, 결론 부분에서는 어떤 강조를 할까 하는 작업이다.
제자 훈련용 GBS나 구역용 성경 공부 교재를 만들 때도 이 부분에서 대략적인 질문 들을 만들어야 한다.
보충: 서론, 결론, 예화의 역할과 중요성.
I. 살붙이기
강의참조: [강해설교, pp.219-241]. 기타 설교학 책들 참조요.
실제 전해야 하는 메시지를 그대로 써보는 것이다. 개인에 따라서는 "메시지 개요화" 작업까지 하고 "살붙이기" 작업은 생략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인 분들에게는 이 작업을 꼭 권하고 싶다. 이 작업을 통해서 여러가지 잇점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보충: 메시지를 문장화시켰을 때의 장점과 주의점.
J. 최종 점검
강의참조: 설교학 책들 참조요.
문장 다듬기를 하고, 메시지 내용을 반복해서 연습해보고, 기술적인 측면(손짓 등)을 점검해 볼 뿐만 아니라, 다시 한번 IBS한 것이 메시지 내용에 잘 살려 있는지의 여부와 말씀이 청중에게 적절한가를 평가해 본다.
그리고 이제 남은 작업은 기도로 준비하는 것이다. 진정한 영성이 뒷받침되지 않고는, 진리의 성령의 사역이 없이는 어떤 열매도 맺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보충: 기도의 중요성. 성령의 역할.
* Abbre.
[창조 연구] - [창조적인 성경연구, IVP간]
[방법론] - [성경해석 방법론, CLC간]
[프리셔트] - [귀납적 성경연구 방법, 프리셔트간]
[귀납 연구] - [귀납적 성경연구, 감리교신학대학아나가이온]
[카이저] - [새로운 주경신학 연구, 양서각간]
[효과적인] - [효과적인 성경연구, IVP간]
[성경을 아는 지식] - [성경을 아는 지식, 성경읽기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