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부 증상 한여름에 빨갛게 말라죽으며, 죽은 나무와 주변의 나무줄기(특히 줄기 아래 부분)에 매개충이 침입한 구멍(직경 1㎜ 정도)이 많이 있고, 침입한 구멍 주위 및 뿌리와 접한 땅 위에는 목재 배출물이 많이 나와 있다.
■ 내부 증상 죽은 나무의 피해부위를 잘라보면 변재부에 매개충이 침입한 갱도를 따라 불규칙한 암갈색의 변색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변색부는 병원균에 의하여 변색된 것이고 알콜 냄새가 약간 나는 것이 특징이다. |
2) 피해수종 및 발생 특징
■ 피해수종 주로 신갈나무가 피해를 받지만 졸참나무갈참나무도 피해를 받으며, 굴참나무, 상수리나무에서도 간혹 발견된다.
■ 발생 특징 해발 100~600m 범위의 활엽수림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며, 대부분 가슴높이 지름이 20㎝이상의 큰나무가 피해를 받는다. |
3) 감염목 고사원인
■ 병원균을 지닌 매개충이 생입목에 침입하여 변재부에서 곰팡이를 감염시키면 곰팡이가 침입갱도를
따라 많이 퍼진다.
■ 퍼진 곰팡이가 도관을 막아 수분과 양분의 상승이 차단됨으로써 빠르게 시들면서 죽는다.
5. 매개충의 생활사 및 습성
1) 분포지역 ■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은 한국대만과 러시아의 극동지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935년에 발견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2) 형태 ■ 성충의 체색은 암갈색이며 평균 체장은 암컷이 4.4㎜, 수컷이 4.2㎜ 정도이고 암컷의 등판에는 5~11개의 균낭(mycangia)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사진 : 광릉긴나무좀 성충
3) 생태 ■ 암컷이 터널 속으로 들어 와서 균낭 속에 있는 곰팡이를 퍼뜨리고, 터널 끝에 산란하는데(평균 8마리 정도),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유충)는 변재부의 갱도 주위에 퍼져있는 곰팡이를 먹고 자란다.
■ 대부분 5령의 노숙유충으로 월동하고 성충이 차지하는 비율은 12~13% 정도이며 번데기 방은 주갱도의 직각방향으로 만들어 용화한다.
■ 이듬해 5월 초순부터 성충으로 우화하기 시작하여 6월 중순이 되면 최성기에 달한다.
■ 사진 - 목질부의 유충
4) 성충의 습성 ■ 우화가 시작되면 수컷이 먼저 탈출하여 대상목에 천공을 시작하고 페르몬을 분비하여 암수컷을 대량으로 유인한다. ■ 천공내로 들어간 암컷은 침입공 입구에서 교미한 후 변재부를 따라 주로 갱도를 수평으로 만들면서 들어간다. ■ 성충은 침입공 갱도 내에서 유충의 생육과 보호를 위해 유충의 배설물과 갱도 확장 시 발생되는 목재가루를 갱도 밖으로 밀어 내어 곰팡이의 번식과 유충의 생장을 돕는다. |
6. 주요 방제 방법
1) 벌채훈증
■ 대 상 목 : 고사목과 피해도「심중」인 감염목
■ 작업시기 : 매개충 성충 탈출 이전(9월~ 이듬해 4월말까지)
■ 벌채방법 : 그루터기 단면이 지면에 최대한 가깝게 벌채
■ 훈증처리 부위
- 매개충의 침입을 받은 피해부위의 줄기와 가지를 잘라 훈증
- 하단부의 줄기에 침입공이 많으니 상단부 쪽으로 7~8m까지도 침입공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세밀
하게 관찰하여 누락되지 않도록 한다.
■ 준비자재
- 메탐소듐액제 25%(훈증약제, 이하 메탐소듐), 페니트로티온유제 50%(그루터기 처리약제, 이하
페니트로티온), 비닐(0.05㎜이상), 노끈, 갈퀴, 괭이, 삽, 낫, 기계톱, 경고문 표찰(동력천공기,
약제주입기 : 그루터기 훈증주사)
■ 훈증방법
- 피해부위의 줄기가지를 1m 이내로 잘라 가급적 1㎥정도로 규격화하여 쌓은 후,
메탐소듐을 1㎥당 소정 양을 골고루 살포하고 비닐로 완전히 밀봉하여 훈증되도록 한다.
- 1㎥이 안 될 경우에는 재적을 환산(1ℓ/㎥)한 훈증제의 양을 살포하고 밀봉한다.
- 그루터기는 침입공이 남지 않도록 주변 흙을 긁어내고 최대한 낮게 베고 페니트로티온 100배액을
충분히 살포하거나,
훈증제를 재적 환산(1ℓ/㎥)한 약량(보통 50㎖, 1ℓ 1통의 20분의 1)을 처리한 후 비닐을 씌우고 흙으로
덮어서 완전히 밀폐되도록 처리한다.
(※ 경우에 따라 그루터기는 동력천공기로 아래위, 옆으로 10㎝간격의 구멍(45° 정도 하향, 깊이 10㎝)
을 뚫고, 메탐소듐을 1개 구멍당 3㎖ 주사한다.)
- 훈증용 비닐의 두께는 반드시 0.05㎜이상을 사용하고 훼손되지 않도록 관리한다.(타포린 사용은
가급적 지양)
■ 훈증처리 사진
2) 벌채소각방법
■ 대상목 : 고사목과 피해도「심중」인 감염목
■ 작업시기 : 매개충 성충 탈출 이전(9월~ 이듬해 4월말까지)
■ 소각처리 : 매개충 침입을 받은 피해부위의 줄기가지를 잘라 소각
■ 준비자재 : 괭이, 삽, 낫, 기계톱, 연료화기물, 옹기가마, 산불진화용 등짐펌프 등
■ 소각방법
- 침입공이 있는 피해부위의 줄기가지만을 0.5m 내외로 잘라 미리 파놓은 웅덩이 또는 옹기가마에
넣고 안전하게 소각한다.
(※ 벌근부위는 「벌채훈증」방법과 같이 조치, 산불조심기간 등 산불위험 시기에는 소각을 일체 금지)
■ 임내정리 : 「벌채훈증」방법과 같이 조치
3) 훈증약제주사
■ 대상목 : 고사목과 피해도「심중」인 감염목
■ 작업시기 : 10월 ~ 이듬해 4월
■ 작업방법
■ 준비자재 : 약제(메탐소듐), 동력천공기, 약제주입기, 방제복, 마스크 등
■ 참고사항 : 작업조는 기계톱 2인, 천공기 2인, 약제주입 1인으로 편성하는 것이 효율적임
4) 지상약제살포
■ 대 상 목 : 피해도「경」인 감염목 및 발생구역내 전체 참나무류
■ 작업시기 : 우화 최성기인 6월 중순 전후
■ 준비자재
- 페니트로티온유제 50%(살포약제, 이하 페니트로티온), 전착제, 산불진화용 등짐펌프
또는 배부식 분무기 등 살포장비, 물운반 자재, 마스크, 흰색페인트(또는 흰색테이프 : 경계표시용),
노랑테이프(유인목 표시용) 등
■ 작업방법
- 성충 우화 최성기인 6월 중순을 전후하여 10일 간격으로 3회 정도를 페니트로티온 500배액을 나무
줄기에 흠뻑 뿌려 준다. ( 우화시기 5월 초순~10월 상순, 우화 최성기 6월 중순)
- 대상목의 줄기에 약성분이 오래 잔류하도록 전착제를 적당히 첨가하여 살포한다.
- 공원민가 주변의 경우에는 사전에 충분한 설명과 이해를 구하고 안내문 또는 경고문을 설치하여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7.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 방제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