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19민주혁명 역사관 콘텐츠 구성안
21016. 09. 22
◈ 건립 목적
4ㆍ19역사를 바로 세워 민주성지 광주역사성과 정체성을 바르게 정립, 광주위 상 및 시민의 자부심을 드높이고 숭과한 4ㆍ19 민주화 정신을 후배ㆍ후손들에게 계승 발전케 하여 애국 애족의식을 고양 하는데 목적이 있다.
◈ 4ㆍ19발상지 역사교육관 건립 배경
1) 광주는 헌법 전문에 명기된 4ㆍ19 민주화 혁명의 시원지.
2) 광주는 4ㆍ19 역사를 알리고 기릴 수 있는 역사관이 없음.
3) 망각의 4ㆍ19 민주화 역사를 바로 세워 나라사랑하는 마음과 광주위상 및 시민 의 자부심 업그 레이드.
◈ 사업 개요
1) 사업 기간
- 건축공사 : 2016. 01. 22 ~ 2016. 09. 21.
- 콘텐츠 공사 : 2017. ~ 2019.
2) 사업비 : 32억 3천만 원.
- 건축 공사비 : 19억 원.(4억 원 미확보.)
- 콘텐츠 공사비 : 13억 3천만 원.
◈ 건축공사 개요
- 위치 :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302.(계림동 239-1.) 광주고등학교
- 광주고 부지 면적 : 42,414㎡(약 12,852평)
- 건축 연면적 : 830.55㎡(약 251평)
- 구조 : 철근 콩크리트조.
- 층수 : 지상 3층.
- 각 층별 구성
* 1층(132.51㎡, 약 40평) : 관리실, 전기실, 기계식.
* 2층(337.92㎡, 약 102평) : 공용 부분 다목적실.
* 3층(360.12㎡, 약 109평) : 공공 부분 다목적실, 사무실, 운영실, 연구실.
- 건물과 주변 환경은 역사성과 상징성이 있어야 한다.
1) 건축물 입구 외벽 건축물 명칭
- 명칭(세로쓰기) : 4ㆍ19민주혁명 역사관
2) 역사관 진입로 입구 : 석물 도는 부조물 환경 조성.
- 3ㆍ15의거(금남로‘곡’민주주의 장송 데모)와 4ㆍ19민주혁명(4ㆍ19 서막, 광주고 교문 무너진 장면 등.
- 석물 : 학생 3명(시위 액션)
* 석물 받침대 각인 : 正義가 살아 숨 쉬는 민주성지 or 텃밭.
◈ 콘텐츠 공사 개요
1) 4ㆍ19발상지 역사교육관 콘텐츠 심의 위원회 구성 운영(4ㆍ19주역, 역사학자,관객, 미래세움 전문자, 관계기관 전문 가 등.)
- 역사관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
- 역사관 주변 환경 조성은 어떻게?
- 4ㆍ19발상지 역사 교육관은 광주의 역사와 문화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 넣도록 조성하여 광주역사의 산 교육장이 되어 야한다.
- 4ㆍ19역사는 자랑스러운 광주의 역사로 광주를 찾는 외지인에게 광주를 알리 는 관광코스가 되 어 전 국민에게 전 달되어야한다.
2) 사료 수집(공고, 사료 수집 안내문발송, 관리자 선정.)
- 관람객이 흥미를 갖는 주제를 발굴,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조성.
3) 전시시설 벤치마킹(수유리 4ㆍ19역사관, 마산 3ㆍ15회관, 대구 2ㆍ28공원, 부산 민주공원, 광주 5ㆍ18기록관, 학생
독립운동 기념관, 광주 민속박물관 등.)
- IT 기술을 활용 관람객기 타임머신을 타고 당시 시대에 온 듯한 가상체함 부 스를 만들어 흥미 유발.
4) 광주는 세계 속의 민주성지 : 의향과 민주화 역사.
- 콘텐츠는 광주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담아야한다.
- 의병, 동학운동, 학생독립운동, 4ㆍ19민주혁명, 5ㆍ18광주민중항쟁.
(사진, 개념 간략기술, 역사관 및 기념관 소재지 기록 들.)
5) 완공 후 역사교육관 운영 조직, 관리요원 및 발전계획
- 4ㆍ19민주혁명기념사업회, 광주광역시교육청, 광주고총동문회.
6) 전시 구획도 작성(2층, 3층.)
7)‘전시, 교육, 애국의식 고양’이라는 역사관의 기능을 넘어 4ㆍ19발상지 역사 교육관이 광주의 관광자원이요 시민이 소통하는 문화놀이터요 역사체험장으로 활용 되어야한다.
◈ 콘텐츠
1) 전시 콘텐츠 선정과 체계화(주역과 용역회사 협의 및 토론 결정.)
- 콘텐츠별 역할 분담.
2) 역사교육관 입구 앞 :3ㆍ15와 4ㆍ19발상지 역사 상징물(석물 & 부조 등.)
- 역사교육관에 들어서는 순간 민주화 도시 광주의 정체성을 느낄 수 있는 공간 을 만들어야한다.
* 자연석 세움 : ‘정의가 살아 숨 쉬는 (광주, 고장, 민주성지, 텃밭 등 ? )
* 3ㆍ15의거 상징물 : 금남로 哭 민주주의 장송데모,
- 사료 : 사진조각
* 4ㆍ19민주혁명 상징물 : 최초 광주4ㆍ19 서막장면(광주고 교문 무너짐)
- 사료 : 사진, 조각
* 역사교육관 내 첫 벽면 : 광주 3ㆍ15 역사와 4ㆍ19 역사 사진 및 해설
- 4ㆍ19혁명 발상 : 광주3ㆍ15의거, 마산3ㆍ15의거
- 4ㆍ19혁명 전개과정 : 날짜별로 (전국, 광주)
3) 광주의 도시 변천 역사 : 참고자료 ⇒ 광주광역시청 & 도서관.
* 광주의 과거와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광주 정체성 응축 주지.
- 광주는 통일신라 때 무진주라는 광역자치단체 중심지.
- 1896년 전라남도 탄생, 전남의 중심지.
- 현재는 호남의 중심도시이자 한국 정치의 심장부로 역할.
- 국제 스포츠대회 개최와 국제회의 개최, 아시아문화전당 개관, 무등산 절리 대, 5ㆍ18광주민중항쟁 유네스코 등재 등을 통해 국제도시로 부상.
4) 광구 救國의 역사와 전통 : 상징적 사진과 해설(자료수집 및 정리)
* 호남정신 : 이순신 장군 “若無湖南 是無國家”(호남이 없었다면 국가도 없었 을 것이다.) 임진, 정유, 1,396,
병자 452 의병.
* 의병 및 동학운동(임진왜란:1592~15986, 정유재란:1597~1598,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 & 동학혁명:1894.) - 김천일, 김덕령, 고경명, 전봉준.
* 학생독립운동(광주학생독립운동:1929,)
* 4ㆍ19민주혁명(1960.04.19)
* 5ㆍ18광주민중항쟁(1980.05.18. 당시 전남대 학생회장 김광열.)
- 위 사항이 담긴 콘텐츠 개발.
※ 4ㆍ19 역사 관련 자료 수집
1) 사료수집 안내문 발송, 소유자 기증 종용 등.(제보: 총무이사.)
2) 참고서적 : 4월혁명 청사, 호남4ㆍ19혁명 자료사, 광주3ㆍ15 哭 민주주의 장송 시위 등.
* 유물(당시 학교종 : 정원체)
* 유품(모자, 교복, 모표, 뺏지, 명포, 단추 등)
* 사진
* 신문, 문, 잡지, 교지, 영상, 기타 자료 등.(조선, 동아, 한국, 부산, 전남일 보, 광고교지, 및 10,11,12회 졸업자 명단 or 1960년 당시 1,2,3학년 재학생 명단 등.)
* 4ㆍ19 당시 시위에 참가했던 시내 각고등학교 교복, 모자, 기타 마네킹 등.
- 광주고, 공고, 농고, 부고, 상고, 숭일고, 사범, 일고, 광주여고, 전남여고, 수피아여고, 부여고 등.
- 해당고교 4ㆍ19주역 교복, 모자, 뱃지 등 수집 역할분담.
* 4ㆍ19민주혁명 참가자 명단 시김(범위: 광주고, 타교 ?)
※ 4ㆍ19 당시 영상물
1) 수집 : 서울 4ㆍ19중앙회, TV방송국, 기타.
2) 현장체험 : 영상물 제작사,(3D, 4D, VR 등.)
◈ 역사교육관 운영 및 활용
1) 전시, 교육, 연구, 학습의 장으로 유치원생 ~ 성인에 이르기까지 광주의 역사와 정체성을 일깨우는 프로그램 운영으 로 자부심과 나라사랑하는 마음 고양.
2) 민주성지 광주만의 자신으로 광고 역사문화 탐방과 관광자원으로 활용, 광주 및 호남 위상 업그 레이드.
3) 초ㆍ중ㆍ고 학생 역사문화 제험학습 프로그램 운영으로 역사교육의 장으로 자리 매김.
4) 시민의 역사문화 놀이터로 활용.
5) 역사교육관 운영관리 조직 및 인력.
◈ 콘텐츠 검토 후
1) 자료수집, 벤치마킹.(회장, 손성곤)
2) 미래세움 회사 의뢰, 계획서 작성(27회, 최석준 대표.)
3) 콘텐츠 심의회 구성.
4) 4ㆍ19주역, 광주고총동문회, 광주시교육청, 광주고교장, 역사학자, 미래세움과 총괄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