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9조 타자의 플레이와 권리
제1항 타자의 입장과 퇴출 1. 타자란 타격의 통고를 받은 경기자로서 코트에 입장하여 플레이하는 자를 말한다. 2. 타자의 권리는 타격 종료 후 자구가 인사드라인 안에 정지한 때 또는 아웃볼이나 완료가 된 때, 또는 타자가 반칙을 하였을 때에 종료 된다. 3. 타자의 권리가 종료된 경기자는 재빨리 코트에서 퇴출한다. |
|
제2항 타임오버 1. 타자는 10초 이내에 타격(제12조 제1항 참조) 또는 스파크타격(제16조 제1항 1 참조)을 하여야 한다. 2. 10초 계측의 기점은 다음과 같다. (1) 타격의 통고를 받았을 때 (2) 계속 플레이(제12조 제3항 참조)의 권리가 발생 한 때 3. 10초 이내에 타격 또는 스파크타격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반칙이 되며 타임오버로 한다. 4. 타임오버가 된 경우에는 타자의 권리를 잃는다. 단, 스파크타격에 관련된 행위 중에 타임오버가 되었을 경우에는 그 상황에 따라 제16조 제4항 스파크타격위반 2 및 3의 조처를 적용한다. |
해설 : | 반칙선고 이후에 이동한 모든 볼은 이동전의 위치에 되돌린다. |
|
|
제3항 타자의 확인 1. 타자는 다음 것에 관하여 확인 할 수 있다. 또 확인에 요하는 시간은 레퍼리타임(제21조 제1항 참조)이 되지 않는다. (1) 게이트 통과의 성립에 관련되는 것 (2) 완료성립에 관련되는 것 (3) 터치의 성립에 관련되는 것 (4) 터치의 성립 후 자구와 복수의 타구와의 접촉에 관련 되는것 |
해설 : |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게이트선에 걸려있는 볼이 정방향에서 이동한 것인지 역방향에서 이동한 것인지에 대해서 ② 스파크타격에서의 세트한 타구가 게이트 선에 걸려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③ 제3게이트를 통과 성립한 볼이 골폴에 접촉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④ 자구와 타구의 접촉상태에서 자구를 타격하므로 터치가 성립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⑤ 몇 번의 볼에 터치가 성립하였는지에 대해서 ⑥ 복수의 타구에 터치 후 자구가 복수의 타구와 접촉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⑦ 터치후 터치한 타구와 다른 타구가 접촉상태에 있는지 |
|
|
제10조 유효플레이와 무효플레이 |
|
제1항 유효플레이 1. 유효플레이란 경기규칙에 정해져 있는 타자의 정당 플레이 및 반칙 플레이를 말한다. (1) 정당플레이란 타자의 정당한 타격과 정당한 스파크타격 및 또는 그것을 하기 위한 행위를 말한다. (2) 반칙플레이란 타자의 반칙이 따른 플레이를 말한다. |
|
제2항 무효플레이 1. 무효플레이란 레퍼리 타임중의 타자의 플레이 및 타자 이외의 경기자의 행위를 말한다. |
|
제11조 볼의 이동 |
|
제1항 유효한 이동 1. 타자의 정당플레이에 의한 볼의 이동은 무효한 이동을 제하고 모두 유효로 한다. |
|
제2항 무효한 이동 1. 다음의 경우는 무효한 이동으로 하고 이동한 볼은 모두 이동전의 위치에 되돌린다. |
|
(1) 반칙플레이에 의한 볼의 이동 (2) 무효플레이에 의한 볼의 이동 (3) 제1게이트의 통과가 성립되지 않은 볼에 의한 타구의 이동 (4) 아웃볼의 타격에 의한 게이트 또는 골폴에 접촉하고 있는 볼의 이동 (5) 인사이드라인 라인 안에 들어가지 못한 아웃볼의 이동 (6) 완료가 성립한 볼의 이동 및 그 볼에 의한 볼의 이동 (7) 타자의 신체가 게이트 또는 골폴에 닿은 것으로 인한 볼의 이동 (8) 스파크 타격에 관련되는 행위로 정당 플레이라고 인정된 행위중의 자구 및 타구의 이동 |
해설 : | 제 2항 1. (8)의 예 ⓐ 터치후 자구와 타구가 접촉하여 정지하였을 때에 스파크타격에 관련된 행위로 터치한 타구를 주으면서 자구를 이동시켰을 경우 ⓑ 터치한 타구가 다른 타구에 접촉하여 정지하였을 때에 스파크타격에 관련 행위로 터치한 타구를 주으면서 다른 타구를 이동시켰을 경우 ⓒ 터치후 자구와 복수의 타구가 접촉하여 정지하였을 때에 타자가 일시 이동시키기 위해 타구를 주으면서 자구와 타구를 이동시켰을 경우 ⓓ 다른 타구가 게이트(또는 골폴)에 접촉하여 있을 때에 스파크타격에 관련되는 행위로 주운 타구를 떨어뜨려 게이트(또는 골폴)에 맞음으로 인하여 접촉하고 있는 다른 타구를 간접적으로 이동시켰을 경우 ⓔ 터치후 자구가 게이트(또는 골폴)에 접촉하여 있을 때에 스파크타격에 관련되는 행위로서 주운 타구를 떨어뜨려 게이트(또는 골폴)에 맞음으로 접촉하고 있는 자구를 간접적으로 이동시켰을 경우 ⓕ 터치후 타구가 게이트(또는 골폴)에 접촉하여 정지하였을 때에 스파크타격에 관련되는 행위로서 터치한 타구를 떨어뜨려 게이트(또는 골폴)에 맞음으로 접촉 하고 있는 자구를 간접적으로 이동시켰을 경우 ⓖ 자구와 터치한 타구가 게이트(또는 골폴)에 접촉하여 정지하였을 때에 스파크 타격에 관련된 행위로서 터치한 타구를 주으면서 자구를 간접적으로 이동 시켰을 경우 ⓗ 다른 타구가 접촉하고 있는 게이트(또는 골폴)에 터치한 타구가 접촉하여 정지하였을 경우 스파크타격에 관련된 행위로써 타자가 그 터치한 타구에 닿으므로 접촉하고 있는 다른 타구를 간접적으로 이동시켰을 경우 ⓘ 자구가 게이트(또는 골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스파크 타격한 충격에 의해 게이트(또는 골폴)에 접촉하고 있던 다른 타구를 이동시켰을 경우 |
|
|
(9) (1)∼(8)이외로 심판원이 판정한 무효한 볼의 이동 |
해설 : | 제2항 1. (9)의 예 ⓐ 인사이드라인 밖으로 나간 볼이 이미 조치되어 있는 아웃볼을 맞춰 이동시켰을 경우 ⓑ 기상 상황 등에 의하여 정지하고 있는 볼이 이동하였을 경우 ⓒ 유니폼의 옷자락 소매 등이 볼에 닿아서 이동시켰을 때 및 모자 등 몸에 지니고 있던 물건이 몸에서 떨어져 볼에 닿아 이동 시켰을 경우 |
|
|
제12조 타격 |
|
제1항 타격 1. 타격이란 타자가 정지하고 있는 자구를 스틱의 페이스로 치는 것을 말한다. 2. 타자는 타격을 포기 할 수 없다. |
해설 : | 자구를 흙, 잔디 등과 함께 쳤을 경우는 정당 플레이로 한다. |
|
|
제2항 스타트 타격 1. 스타트 타격은 자구를 스타트에어리어에 놓고 타격 하여야 한다.(그림-5참조) |
|
|
2. 타자는 제1게이트의 통과에 지장을 준다고 판단한 볼을 심판원에게 일시요청 할 수 있다. |
|
![]()
|
|
제3항 계속플레이의 권리의 발생 |
|
1. 계속플레이의 권리의 발생이란 다음의 경우이며 인사이드라인 안의 모든 볼이 정지한 때를 말한다. (1) 자구의 게이트 통과가 성립한 경우 (2) 스파크타격의 권리가 발생한 경우 (3) 스파크타격이 성립하고 스파크타격에 관련되는 행위가 종료된 경우 2. 자구를 타격하여 게이트를 통과한 후 자구가 인사이드라인 안에 정지하였을 때에는 타자는 다시 한번 타격을 할 수 있다. 3. 자구를 타격하여 터치가 성립한 후 자구와 터치한 타구가 인사이드라인 안에 정지한 때는 타자는 그 터치한 타구를 스파크 타격하여야 한다. 4. 스파크 타격을 성립시켰을 때는 타자는 다시 성립시킨 수만큼 타격할 수 있다. |
|
제4항 타격위반 1. 타자가 다음과 같이 타격을 하였을 경우는 반칙이 되며 타격위반으로 한다. (1) 밀어치기, 두 번 치기 또는 스틱의 페이스 이외로 쳤을 경우 |
해설 : | ⓐ 밀어치기란 자구에 페이스가 닿은 그대로 밀어내는 것을 말한다. ⓑ 두 번 치기란 동일 스윙 중에 페이스가 자구에 두 번 닿는 것을 말하며 볼, 게이트의 다리 등에 자구가 맞아 튕겨와 페이스에 닿았을 경우 등을 말한다. |
|
|
(2) 간접적으로 볼을 이동시켰을 경우 |
해설 : | 간접적으로 볼을 이동시켰을 경우란 다음의 경우를 말한다. ① 게이트, 골폴, 흙, 잔디 등을 페이스로 두드려 볼을 이동시켰을 경우 ② 볼이 게이트 또는 골폴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 페이스가 그 게이트 또는 골폴에 닿은 경우 |
|
|
(3) 스파크 타격의 권리가 발생하기 전에 타격했을 경우 (4) 스파크 타격의 권리가 발생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스파크 타격을 하지 않고 타격한 경우 (5) 스파크 타격이 성립하여 계속 플레이의 권리가 발생하기 전에 타격한 경우 (6) 스타트 타격을 할 때 자구를 스타트 에어리어에 놓지 않고 타격한 경우 (7) 타구를 치는 경우 (8) 이동중의 자구를 치는 경우
2. 타격위반을 하였을 경우에는 타자의 권리를 잃으며 다음과 같이 조치한다. (1) 이항의 1. ⑴,⑵,⑶,⑷,⑸의 경우 ① 타격 위반한 볼은, 타격시의 위치로 되돌린다. (2) 이항의 1.(6)의 경우 ① 타격 위반한 볼은 그 경기자에게 되돌린다. (3) 이항의 1.(7)의 경우 ① 타격위반으로 이동한 타구는 타격시 위치로 되돌린다. (4) 이항의 1. (8)의 경우 ① 자구는 타격시의 직근 밖으로 한다. (5) 스파크타격에 관련되는 행위 중에 타격위반이 된 경우에는 그 상황에 의거 제16조 제4항 스파크타격 위반 2 및 3의 조치를 적용한다. 3. 이항의 2.(4),①의 『직근밖』이란, 반칙플레이의 발생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인사이드라인에대한 연장선상에서 인사이드라인의 바깥쪽 10cm의 지점을 말한다. |
|
제13조 게이트통과
|
|
제1항 게이트통과의 성립과 권리 1. 게이트통과는 인사이드라인 안의 볼이 규정된 프론트사이드에서 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게이트선 (그림-6 참조)을 완전히 통과하였을 때에 성립한다. |
해설 : | 게이트 선이란 게이트다리의 백사이드 쪽을 맺은 직선을 말한다. |
|
|
2. 게이트통과의 성립이란 제1게이트, 제2게이트, 제3게이트의 순으로 통과한 최초의 1회째를 말한다.또, 제1 게이트의 통과성립에 대해서는 제13조 제2항의 규정에도 적합하여야 한다. 3. 백사이드에서 프론트사이드로의 이동에 의해 게이트 선에 걸려 정지한 볼은 다음의 플레이로 정 방향으로 이동 하여도 게이트 통과는 성립되지 않는다. |
해설 : | 볼의 바깥둘레가 게이트 선에 걸리지 않도록 프론트사이드로 되돌려 다음의 플레이로 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게이트를 빠져나가면 게이트 통과는 성립한다 |
|
|
4. 스파크타격에 의해 타구를 게이트 통과시킬 때에는 그 타구가 게이트 선에 걸리지 않도록 세트 (제16조 제1항2 참조)하면 게이트 통과는 성립한다. 5. 아웃 볼을 타격하여 게이트를 빠져나가도 게이트 통과는 성립되지 않는다. 6. 아웃 볼을 타격하여 프론트사이드에서 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게이트 선에 걸려 정지했을 때에는 다음의 플레이로 게이트 통과는 성립되지만 백사이드에서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게이트 선에 걸려 정지했을 때에는 이항의 3.을 적용한다. |
|
![]()
|
|
제2항 제1게이트 통과의 성립 1. 스타트 에어리어에서 1타로 제1게이트를 통과하여, 자구가 인사이드라인 안에 정지한 때는 제1게이트의 통과는 성립한다. |
해설 : | 제1게이트의 통과가 성립한 볼은 인 볼이 된다. (제17조 제1항 참조) |
|
|
제14조 완료
제1항 완료의 성립 1. 제3게이트의 통과가 성립한 볼이 골폴에 맞았을 때는 완료가 성립한다. 2. 타자가 스파크타격에 의해 타구를 완료시키고자 세트할 때 그 타구를 골폴에 접촉시키고 타격하였을 경우는 완료가 성립되지 않는다. 3. 제3게이트 통과가 성립한 볼이 골폴에 접촉하고 있을 경우는 다음의 플레이로 완료가 성립한다. 4. 타자가 제3게이트를 통과한 아웃 불을 타격하여 골폴에 맞춰도 완료는 성립되지 않는다. 5. 완료가 성립된 볼은 코트 안에서 제거한다.
제15조 터치
제1항 터치의 성립 1. 터치란 타격에 의해 이동한 자구가 타구에 맞는 것을 말한다. 자구와 타구가 접촉되어 있을 때에는 타격하면 터치가 성립한다. 2. 제1게이트의 통과가 성립되어 있지 않은 자구가 타구에 맞아도 터치는 성립되지 않는다.
제2항 스파크타격의 권리의 발생 1. 터치가 성립하여 자구 및 터치한 타구가 인사이드라인 안에 정지하였을 때에는 타자는 스파크타격을 하여야 한다. 2. 타자에 복수의 스파크타격의 권리가 발생 하였을 때에는 터치의 순서에 관계없이 순차 터치한 타구를 스파크 타격을 하여야 한다.
제3항 스파크 타격의 우선 1. 한번의 타격으로 게이트 통과의 성립과 스파크타격의 권리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스파크 타격을 먼저 하여야 한다. 2. 타자에게 스파크타격의 권리와 타격의 권리가 있을 때에는 스파크타격을 먼저 하여야 한다.
제4항 두 번 터치 1. 계속플레이 중에 스파크 타격한 타구에 다시 타격하여 터치한 경우는 반칙이 되며 두 번 터치로 한다. 두 번 터치한 때에는 타자의 권리를 잃으며 다음과 같이 조치한다. ① 자구는 두 번 터치한 위치의 직근 밖으로 한다. ② 두 번 터치된 타구는 두 번 터치된 위치에 되돌린다.
제16조 스파크타격
제1항 스파크타격 1. 스파크 타격이란 세트 후 자구를 친 충격으로 타구를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2. 세트란 자구의 정지한 위치에서 자구를 밟고 터치한 타구를 자구에 접촉시키는 것을 말한다. 3. 타구는 인사이드라인 안에서 세트한다. 4. 타자는 스파크 타격을 포기할 수 없다. |
해설 : | 타구를 아웃 볼 시키려고 할 때에는 쳐내는 방향을 심판원에게 가리켜야 한다. |
|
|
5. 스파크 타격한 타구에 의해 발생한 볼의 이동은 유효하다.
제2항 스파크 타격에 관련되는 행위 1. 스파크 타격에 관련되는 행위란 터치 후 모든 볼이 정지한 시점에서 스파크 타격 성립 후 자구로부터 발을 뗄 때까지의 행위를 말한다. |
해설 : | 스파크 타격에 관련되는 행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터치한 타구를 줍는다. ② 자구를 밟고 고정한다. ③ 인사이드라인 안에서 자구에 타구를 접촉시킨다. ④ 세트한 타구에서 손을 뗀다. ⑤ 자구를 쳐서 타구를 이동시킨다. ⑥ 자구에서 발을 뗀다. 자구와 터치한 타구가 근접하여 있을 때에는 자구를 밟고 나서 타구를 주울 수 있다 자구와 터치한 타구를 함께 밟았을 때에는 밟은 시점에서 세트가 된다. |
|
|
2. 스파크타격에 관련되는 다음의 행위는 정당플레이이다. (1) 자구와 타구를 함께 밟는 것 (2) 자구를 밟은 후에 되밟거나 뒤틀어 밟고 트는 것 (3) 세트할 때 자구에 손이 닿는 것 (4) 세트를 고쳐하기 (5) 밟은 발과 자구를 동시에 치는 것 (6) 자구가 발밑에서 이동하는 것 |
해설 : | 발밑에서 이동했을 때에는 게이트 통과나 완료 · 터치의 플레이등에 유리하게 된다고 심판원이 판정한 경우는 심판원이 이동전의 위치로 되돌린 후 타격하게 한다.
|
|
|
3. 복수의 타구에 터치 후 자구가 터치한 복수의 타구와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2구째 이후에 스파크 타격할 타구를 타자가 일시이동 시킨다.(P66 · 부록 1 참조) |
해설 : | 타자가 행하는 일시이동의 절차 ① 2개의 타구와 접촉하고 있을 경우 2구째에 스파크 타격할 볼을 주워서 일시이동 시킨다. ② 3개의 타구와 접촉하고 있을 경우 2구째 이후에 스파크 타격할 볼을 1구씩 주워서 일시이동 시키지만 2구를 함께 주워도 좋다. 타자는 일시이동 시킬 볼을 경기에 지장이 없는 곳에 놓는다. 터치한 타구가 다른 타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정지했을 때에는 타자는 터치한 타구를 주울 수 있다. |
|
|
제3항 스파크 타격의 성립 1. 스파크 타격의 성립이란 다음의 경우를 말한다. (1) 자구와 스파크 타격한 타구가 10cm이상 떨어진 때 (2) 스파크 타격한 타구의 완료가 되었을 때 (3) 스파크 타격한 타구가 아웃볼(제17조 2항 참조)이 된 때
제4항 스파크 타격 위반 1. 스파크 타격에 관련되는 다음의 행위는 반칙이 되며, 스파크 타격 위반으로 한다. (1) 터치한 타구를 주운 후부터 스파크타격 할 때까지에 그 타구에 의해 직접 자구나 다른 타구를 이동시켰을 경우 (2) 세트 전 자구를 밟을 때 또는 고쳐 밟을 때에 자구가 발밑에서 벗어난 경우 (3) 세트 후 자구를 되밟을 때에 자구가 발밑에서 벗어난 경우 (4) 밟은 발만 쳤을 경우 (5) 스파크 타격하여 자구와 스파크 타격한 타구가 10cm이상 떨어지지 않은 경우 |
해설 : | 10cm이상 떨어진 후 게이트 등에 맞아 10cm 미만에 정지했을 때에도 스파크 타격은 성립한다. |
|
|
(6) 스파크타격 성립 후 스파크 타격한 타구가 게이트 또는 골폴에 맞아 반전하여 자구와 접촉하여 정지 했을 경우 (7) 스파크 타격을 하였을 때 자구가 발밑에서부터 벗어났을 경우 (8) 스파크타격에 관련되는 행위를 복수의 타구에 동시에 하였을 경우 |
해설 : | 스파크타격에 관련되는 행위를 복수의 타구에 동시에 하였을 경우란 다음을 말한다. ① 1구째를 가진 다음에 스파크 타격의 순서를 변경하였을 경우 ② 터치한 복수의 타구를 함께 가졌을 경우, 단, 자구가 3개의 타구와 접촉하여 있을 경우에 2구째 이후 스파크 타격할 타구를 일시이동 시킬 때는 그렇지 않다. ③ 자구와 터치한 타구가 접촉하여 있을 때에 다른 터치한 타구에 닿는 경우 스파크타격에 관련되는 행위를 복수의 타구에 동시에 하였을 경우란 다음을 말한다. |
|
|
(9) 터치한 타구를 인사이드라인 밖에 세트하여 스파크 타격한 경우 (10) 스파크 타격 성립 후 발을 뗄 때 자구가 발밑에서부터 이동시켰을 경우 2. 스파크타격 위반을 했을 경우는, 타자의 권리를 잃으며 다음과 같이 조처한다. (1) 인사이드라인 안의 모든 볼이 정지한 후, 터치한 타구를 세트할 때까지에 발생한 경우 ① 자구 및 터치한 타구는 터치 후 정지한 위치에 되돌린다. ② 타구는 스파크 타격 후 자구와 접촉하여 정지한 위치에 둔다. (2) 세트 후 스파크 타격이 성립할 때까지에 발생한 경우 ① 자구는 터치 후 정지한 위치에 되돌린다. ② 타구는 세트시의 위치에 되돌린다. (3) 스파크 타격 성립 후 자구에서 발을 뗄 때까지에 발생한 경우 ① 자구는 터치 후 정지한 위치에 되돌린다. (4) 스파크 타격 성립 후 스파크 타격한 타구가 게이트 또는 골폴에 맞아 반전되어 자구와 접촉하여 정지하였을 경우 ①자구는 터치후 정지한 위치에 되돌린다. ② 타구 스파트타격후 자구와 접촉하여 정지한 위치에 둔다. (5) 인사이드라인 밖에 세트하여 스파크 타격한 경우 ① 자구 및 스파크 타격한 타구는, 터치 후 정지한 위치에 되돌린다. ② 타구는 스파크 타격 후 자구와 접촉하여 정지한 위치에 둔다. 3. 스파크 타격 위반의 조치결과 자구와 터치한 타구와의 간격이 10cm미만이 되었을 경우는 다음과 같이 조치한다. ① 자구는 조치한 위치의 직근 밖으로 한다. |
|
제17조 인 볼과 아웃 볼
제1항 인볼 1. 인 볼이란 제1게이트 통과 성립 후 인사이드라인 안에 있는 볼을 말한다. 2. 아웃 볼이 되어 있는 자구를 타격하여 인사이드라인 안에 들어갔을 때에는 인 볼이 된다.
제2항 아웃 볼 1. 아웃 볼이란 인사이드라인 밖으로 나간 볼 및 반칙플레이에 의해 직근 밖으로 조치한 볼을 말한다 2. 인사이드란 밖으로 나간 아웃 볼은 인사이드라인을 통과한 지점에서 직각으로 바깥쪽 10cm위치에 둔다 3. 타자는 플레이에 지장을 준다고 판단한 아웃 볼을 심판원에게 일시 이동시켜 주도록 요청 할 수 있다
제3항 아웃 볼의 타격 1. 아웃 볼을 타격할 때에는 조치된 위치에서 한다. 2. 아웃 볼을 타격하여 자구가 다시 인사이드라인 밖으로 나간 경우는 그 위치의 아웃 볼로 한다.
제4항 아웃 볼 타격위반 1. 아웃 볼을 타격하여 다른 볼에 맞았을 경우는 반칙이 되며 아웃 볼 타격위반으로 한다. |
해설 : | 타구가 게이트 골폴에 접촉하여 있을 때는 자구가 게이트 골폴에 닿아 간접적으로 그 타구가 이동했을 경우는 무효한 이동으로 한다. 자구의 이동은 유효로 한다. |
|
|
2. 아웃 볼 타격 위반을 했을 경우는 다음과 같이 조처한다. (1) 자구는 반칙 발생지점의 직근 밖으로 한다. (2) 아웃 볼 타격 위반에 의해 이동한 타구는 이동전 위치에 되돌린다.
제18조 촉구위반
제1항 촉구위반 1. 타자가 경기규칙에서 허용되어 있는 행위 이외로 코트안의 볼에 닿았을 경우는 반칙이 되며 촉구위반으로 한다. |
해설 : | 떨어뜨린 스틱이 볼에 닿은 경우도 반칙이 된다. 유니폼의 옷자락 소매 등이 볼에 닿을 경우 및 모자 등의 몸에 지닌 물건이 떨어져 볼에 닿아도 반칙은 아니다. |
|
|
2. 촉구위반을 했을 경우는 타자의 권리를 잃으며 다음과 같이 조처한다. (1) 타자가 정지구에 닿았을 경우 ① 촉구 위반한 볼은 촉구한 위치에 되돌린다. (2) 타자가 이동중의 자구에 닿았을 경우 ① 자구는 촉구한 위치의 직근 밖으로 한다. (3) 타자가 이동중의 타구에 닿았을 경우 ① 촉구 위반한 타구는 촉구한 위치에 되돌린다. ② 자구는 정지한 위치의 직근 밖으로 한다. (4) 타자의 스틱이 게이트나 골폴에 닿아 볼을 이동시켰을 경우 ① 촉구위반에 의해 이동한 볼은 이동전의 위치에 되돌린다. (5) 스파크 타격에 관련되는 행위 중에 촉구위반이 되었을 경우는 그 상황에 의해 제16조 제4항 스파크타격위반 2 및 3의 조치를 적용한다.
제19조 경기의 방해
제1항 경기의 방해 1. 감독 및 경기자가 경기를 방해했다고 심판원이 판정한 경우는 방해한 자가 소속한 팀이 유리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심이 다음과 같이 조처할 수가 있다. (1) 타자의 권리를 몰수 (2) 직근 밖의 조처 (3) 게이트통과 성립, 완료성립의 취소 (4) 감독 또는 경기자의 퇴장 ① 퇴장이 된 경기자의 볼은 코트 안에서 제거하고 그 경기자의 번호는 결번으로 하며, 그 때까지의 득점은 유효로 한다. (5) 경기의 몰수
제20조 타임아웃
제1항 타임아웃 1. 타임아웃이란 주심이 경기를 일시중단 시키는 것으로, 경기시간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 팀은 타임아웃을 요구할 수가 없다.
제21조 레퍼리타임
제1항 레퍼리타임 1. 레퍼리타임이란 경기중 심판원이 인정하여 행하는 행위에 요하는 시간을 말한다. 2. 반칙의 판정선고 후 다음 타순경기자를 통고할 때 까지는 레퍼리타임으로 한다. 3. 주장의 질문에 대하여 심판원이 응답하는 시간은 레퍼리타임으로 한다. 4. 레퍼리타임에 요하는 시간은 타임오버에서 제외되나 경기시간에는 포함된다. 5. 레퍼리타임 중의 타자의 행위는 무효플레이로 한다.
제22조 용구의 교환
제1항 스틱의 교환 1. 타자는 심판원에 말하여 스틱을 교환할 수가 있으나 코트 안에 가지고 들어갈 수 있는 것은 1개만으로 한다. 또 교환에 요하는 시간은 레퍼리타임이 되지 않는다. 2. 교환할 스틱은 점검을 받은 것에 한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