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북면
유적명칭】봉림사(鳳林寺)
【관리번호】770-820-080-216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찰(현존 고사찰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봉림사)
【유적내용】
봉림사(鳳林寺)는 원래 신라 선덕여왕 때 법화동에 창건된 사찰이었
으나 당시 그곳에 지네가 많아 조선조 영조 18년(1742)에 현재의 장
소로 이건하였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94.
【비 고】
【유적명칭】서암정사(西巖精舍)
【관리번호】770-820-240-217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서씨 문중)
【유적내용】
서암정사(西巖精舍)는 조선조 철종시대의 학자 서수석(徐壽錫)이 지
은 학당이다. 그는 부친인 서재신의 영향을 받아 더욱 두터운 학문
을 이루고 35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서집을 남겼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97.
【비 고】
【유적명칭】임강정(林岡亭)
【관리번호】770-820-261-218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이씨 문중)
【유적내용】
임강정(林岡亭)은 조선조 숙종시대 이정징(李貞徵)을 추모하여 후손
들이 지은 정자이다. 뒷날 증직으로 가선대부를 받았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98.
【비 고】
【유적명칭】보본당(普本堂)
【관리번호】770-820-274-219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오천 정씨 문중)
【유적내용】
보본당(普本堂)은 오천 정씨 정동형 댁의 가묘이다. 원래 일반적인
가묘에 4대조까지 위패가 봉안되므로 직손이 모시지 못할 경우 차
손으로 바꾸어 모시는 가묘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93.
【비 고】
【유적명칭】봉선서당(奉先書堂)
【관리번호】770-820-240-220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서씨 문중)
【유적내용】
봉선서당(奉先書堂)은 조선조 영조시대의 학자이며 사간원 사간을
역임한 서락순의 부친으로 면학독행으로 후진을 양성했던 서성제
(徐聖蹄)를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서당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95.
【비 고】
【유적명칭】봉양서당(鳳陽書堂)
【관리번호】770-820-240-221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서씨 문중)
【유적내용】
봉양서당(鳳陽書堂)은 조선조 헌종시대의 문인이며 교육자였으며 특
히 경학에 전력하여 문장이 탁월했던 서재신(徐載信)이 지은 학당이
다. 이곳에서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96.
【비 고】
【유적명칭】양우당(養愚堂)
【관리번호】770-820-240-222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옥계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김씨 문중)
【유적내용】
양우당(養愚堂)은 조선조 인조시대의 문인으로 박학다재하고 효우돈
후하였던 김복천(金馥天)을 추모하여 세운 서당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99.
【비 고】
【유적명칭】영천 상송리 고분군(永川上松里古墳群)
【관리번호】770-820-301-223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고분(삼국시대고분)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상송리
【시 대】삼국시대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영천 상송리 고분(永川上松里古墳)은 삼국시대 고분군으로 높이
2.7m, 직경 8m의 고분과 높이 1.8m, 직경 5.4m의 고분 10여기가 있
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6.
【비 고】
【유적명칭】연호재(蓮湖齋)
【관리번호】770-820-279-224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죽전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한씨 문중)
【유적내용】
연호재(蓮湖齋)는 조선조 영조시대 가선대부의 품위를 받은 한일순
(韓日順)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00.
【비 고】
【유적명칭】영천 죽전리 첨모재(永川竹田里瞻慕齋)
【관리번호】770-820-279-225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죽전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문씨 문중)
【유적내용】
첨모재(瞻慕齋)는 조선조 광해군 시대의 무인으로 일찍이 기상이 의
연하고 학문에 진력하여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이 되었으나 혼탁
한 세태를 혐오하고 영천으로 은둔한 문흥범(文興範 을 추모하여
후손이 지은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01.
【비 고】
유적명칭】영천 정각리 삼층석탑(永川正覺里三層石塔)
【관리번호】770-820-110-226
【지정사항】유형문화재 제269호
【유적종류】석탑(석탑 및 그 부재)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78-1
【시 대】<시대 미상>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영천 정각리 삼층석탑(永川正覺里三層石塔)은 화강암으로 만든 총
높이 2.5m의 석탑이다. 2층 옥신(屋身)까지만 남아있고 2층 옥개석
(屋蓋石)부터는 없으며 기단부(基壇部)도 불완전한 상태이다. 본래는
이 근처에 사찰이 있었는데 이 사찰의 스님이 밤에 자양면(紫陽面)
보현면(普賢里) 탑전부락에서 칡넝쿨로 매어 옮겼다고 전하며 이 절
은 임진왜란 전후에 소실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6.
【비 고】1992. 7. 18. 지정.
【유적명칭】니양재(尼陽齋)
【관리번호】770-820-261-227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구씨 문중)
【유적내용】
니양재(尼陽齋)는 조선 숙종시대의 문인으로 양수와 교우가 두터웠
으며 박식한 학문과 중후한 인품을 지닌 구규징(具規徵)을 추모하여
세운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02.
【비 고】
【유적명칭】모고헌(慕古軒)
【관리번호】770-820-261-228
【지정사항】유형문화재 제271호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횡계리 457-3
【시 대】조선시대(숙종 20년)
【관 리 자】개인(정극, 정철검)
【유적내용】
모고헌(慕古軒)은 조선 숙종(肅宗) 20년(1695)에 창건된 정자이다. 영
조(營造)때의 학자인 정규양(鄭葵陽)이 수학(修學)하던 곳이라고 한
다. 전면(前面)에 난간을 설치한 누각식 건물로 정면 2칸, 측면 1칸,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6.
【비 고】1992. 7. 18. 지정.
【유적명칭】옥간정(玉磵亭)
【관리번호】770-820-261-229
【지정사항】유형문화재 제270호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횡계리 439-3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개인(정극, 정철검)
【유적내용】
옥간정(玉磵亭)은 1716년 봄에 정만양(鄭萬陽)과 정규양(鄭葵陽)이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정자이다. 정만냥과 정규양은 영의정
조현명, 매산 정중기, 명고 정간 등 수 많은 명현달사를 배출하였으
며 조정에서 몇차례 관직을 제수하였으나 끝까지 사양하고 이곳에
서 은거하였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03.
【비 고】1992. 7. 18. 지정.
【유적명칭】태고와(太古窩)
【관리번호】770-820-261-230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횡계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정씨 문중)
【유적내용】
태고와(太古窩)는 훈수 정만양과 지수 정규양이 영천시 대전동에서
이곳으로 이사하면서 지은 정자이다. 이곳에서 호의 머리글자 훈지
로 우애를 상징하며 많은 저서집을 남겼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04.
【비 고】
【유적명칭】횡계서당(橫溪書堂)
【관리번호】770-820-240-231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횡계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정씨 문중)
【유적내용】
횡계서당(橫溪書堂)은 조선조 영조시대의 대학자인 정만양(鄭萬陽),
정규양(鄭葵陽)을 향사하는 곳으로 1764년에 건립하였다가 대원군의
서원 훼철령으로 서당으로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만양,
정규양을 함께 지칭하여 양수(兩○) 선생이라고 하는데 많은 후진을
양성하였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05.
【비 고】
【유적명칭】영천 공덕동 삼층석탑(永川公德洞三層石塔)
【관리번호】770-820-110-232
【지정사항】문화재자료 제103호
【유적종류】석탑(석탑 및 그 부재)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공덕리 173-1
【시 대】<시대 미상>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영천 공덕동 삼층석탑(永川公德洞三層石塔)은 공덕사내에 있던 총높
이 2.1m의 3층석탑으로 여러 가지 탑재로 이루어졌다. 사찰이 없어
진 후 서씨 문중의 송계정사로 옮겨졌는데 거리가 멀어 관리가 어
렵게 되자 1973년에 동리입구로 옮겼고 이 탑을 옮긴 후 흉사가 자
주 발생하자 동민들의 원성(怨聲)이 있어 1974년에 현 위치로 다시
옮긴 것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6-267.
【비 고】1985. 8. 5. 지정.
【유적명칭】송계정사(松溪精舍)
【관리번호】770-820-279-233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공덕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서씨 문중)
【유적내용】
송계정사(松溪精舍)는 조선조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출전한 아버지
서자이(徐自邇)가 병환으로 귀가하자 대신 어린 나이로 의병에 가담
한 서호(徐浩)를 추모하여 지은 정사이다. 서호는 훗날 선무원종 2
등공신에 책록되고 훈련원 봉사를 거쳐 판관이 되었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07.
【비 고】
【유적명칭】모의재(慕宜齋)
【관리번호】770-820-279-234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안씨 문중)
【유적내용】
모의재(慕宜齋)는 조선조 인조시대의 문인으로 경사에 밝아 많은 사
람으로 부터 추중을 받던 안진경(安振敬), 안진성(安振誠) 형제를 추
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08.
【비 고】
【유적명칭】제오헌(霽梧軒)
【관리번호】770-820-240-235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안씨문중)
【유적내용】
제오헌(霽梧軒)은 조선조 광해군시대의 선비로 어릴 때 총명다재하
여 한 때 동궁에서 시강까지 지낸 학자 안응의(安應義)를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강학소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09.
【비 고】
유적명칭】죽송 양화당(竹松揚花堂)
【관리번호】770-820-279-236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안씨 문중)
【유적내용】
죽송 양화당(竹松揚花堂)은 조선조 중종시대의 문신으로 높은 학문
과 청직한 성품으로 황해도 찰방을 역임한 안우곤(安遇坤)을 추모하
여 지은 정자이다. 그는 훌륭한 치적을 남겼으나 당시 일어난 기묘
투옥사건을 보고 혐오를 느껴 벼슬을 버리고 가족과 함께 영천으로
이거하였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10.
【비 고】
【유적명칭】운강정사(雲岡精舍)
【관리번호】770-820-279-237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이씨 문중)
【유적내용】
운강정사(雲岡精舍)는 조선조 순조시대의 효자로 일찍 편모를 지성
으로 섬겼으며 훗날 흉년에는 인근을 구휼한 이상업(李相業)을 추모
하여 이를 추앙하는 사람들이 지은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14.
【비 고】
【유적명칭】이호당(二皓堂)
【관리번호】770-820-261-238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조씨 문중)
【유적내용】
이호당(二皓堂)은 조선조 영조시대의 학자로 미신 타파를 주창한 <<
척사변(斥邪辨)>>, 음양을 풀이한 <<이기변(理氣辨)>>, 인정을 풀이한
삼재변<<(三才辨)>> 등 많은 저술을 남긴 조진옥(曺振玉), 조상옥(曺
相玉) 형제가 강학하던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15.
【비 고】
【유적명칭】자계정(慈溪亭)
【관리번호】770-820-261-239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조씨 문중)
【유적내용】
자계정(慈溪亭)은 조선조 영조시대의 학자이며 무신년 이인좌의 난
때 의병으로 출진한 조용한(曺龍漢)의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16.
【비 고】
【유적명칭】광사재(廣思齋)
【관리번호】770-820-279-240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광사재(廣思齋)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충의공 권응수 장군의 아버
지인 능라군(綾羅君) 권덕신(權德臣)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지은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11.
【비 고】
【유적명칭】영천 오산리 영사재(永川梧山里永思齋)
【관리번호】770-820-279-241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이씨 문중)
【유적내용】
영사재(永思齋)는 관직이 사과(司果)인 이옥삼(李玉三)을 비롯하여
임진왜란에 의병으로 출진하여 큰 공을 세운 이온수(李蘊秀)를 추모
하기 위해 후손들이 세운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12.
【비 고】
【유적명칭】우모재(寓慕齋)
【관리번호】770-820-279-242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조씨 문중)
【유적내용】
우모재(寓慕齋)는 조선조 선조시대 학문이 뛰어나고 행의가 중후하
였던 함평 훈도 조황(曺○) 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세운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213.
【비 고】
* 화산면
【유적명칭】화남정(華南亭)
【관리번호】770-850-279-180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유성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박씨 문중)
【유적내용】
화남정(華南亭)은 조선조 영조시대의 문인으로 사헌부 감찰을 역임
한 박순명(朴舜命)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92.
【비 고】
【유적명칭】사암정(四岩亭)
【관리번호】770-850-279-181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덕암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윤씨 문중)
【유적내용】
사암정(四岩亭)은 조선조 영조시대 통정대부를 지낸 윤세강(尹世岡)
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63.
【비 고】
【유적명칭】수강정(守岡亭)
【관리번호】770-850-279-182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덕암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김씨 문중)
【유적내용】
수강정(守岡亭)은 조선조 선조시대의 평구도 찰방을 봉직하였으며
항상 책을 가까이 하여 문사가 뛰어나고 효우가 두터웠던 김시흡
(金時翕)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세운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64.
【비 고】
【유적명칭】자돈정(紫暾亭)
【관리번호】770-850-240-183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대안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장씨 문중)
【유적내용】
자돈정(紫暾亭)은 조선조 말기의 문사로 성균관 진사였던 장진규(張
晋奎)가 학문을 연마하던 학당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65.
【비 고】
【유적명칭】영천 효정리 서당(永川孝亭里書堂)
【관리번호】770-850-240-184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효정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나주 정씨 문중)
【유적내용】
서당(書堂)은 나주(羅洲) 정씨(丁氏) 문중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기 위
해 고종시대 지은 서당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66.
【비 고】
【유적명칭】사화정(四?楫?)
【관리번호】770-850-279-185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효정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정씨 문중)
【유적내용】
사화정(四화亭)은 조선조 선조시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으로
출전하여 박연, 안천 전투에서 적을 쳐부수고 영천복성에 공이 큰
정응거(丁應居)와 형인 응기(應璣), 종제인 응호(應湖), 응방(應芳)의
우애를 기려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응기는 선무원종2등공신으로
책록되었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67.
【비 고】
【유적명칭】활천정(活川亭)
【관리번호】770-850-261-186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효정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정씨 문중)
【유적내용】
활천정(活川亭)은 조선조 철종시대의 학자로 성정이 강직하고 학문
에 뛰어나 그의 문인들과 함께 이 정자를 짓고 많은 후학을 배출한
정갑조(丁甲祖)의 소강처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68.
【비 고】
【유적명칭】활천정주 민가(活川亭主民家)
【관리번호】770-850-360-187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고가(민간의 고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효정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정씨문중)
【유적내용】
활천정주 민가(活川亭主民家)는 활청정주 정갑조(丁甲祖)가 생활하
던 가옥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69.
【비 고】
【유적명칭】영천 당지리 성문지(永川唐池里城門址)
【관리번호】770-850-019-188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성(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당지리
【시 대】<시대 미상>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영천 당지리 성문지(永川唐池里城門址)는 신적산(薪積山) 정상에 있
다. 60cm×90cm 정도의 치석(治石)으로 쌓은, 폭 3.6m, 길이가 5.4m인
성문지로 거의 붕괴되었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5.
【비 고】
【유적명칭】지암정(芝庵亭)
【관리번호】770-850-279-189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당지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정씨 문중)
【유적내용】
지암정(芝庵亭)은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여 영천복성 전투에
서 큰 공을 세운 정담의 손자이며 가선대부를 제수받은 정호현(鄭
好賢)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세운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70.
【비 고】
【유적명칭】덕강서원(德崗書院)
【관리번호】770-850-240-190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청주 양씨 문중)
【유적내용】
덕강서원(德崗書院)은 광해군 13년(1621) 정간공(靖簡公) 양효지(楊孝
智)를 봉양하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양효지는 세종때 참판을 지내
다 계유정란으로 영천에 낙향하여 서당을 세우고 후학을 가르쳤다.
그는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에 영월 땅을 향하여 단종의 애석한 죽
음을 원통히 여겨 망미대를 세웠다. 사당인 경절사는 정면 3칸 측
면 2칸의 팔각와가이며 강당이 있다. 입덕문(入德門) 앞 좌측에는 '
정간공 신도비'가 있다. 서원은 고종 2년(1865)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으로 훼철되었다가 1921년에 복설되었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71. ; <<양곡선생실기>>,
108.
【비 고】
【유적명칭】경절사(景節祠)
【관리번호】770-850-271-191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사)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양씨 문중)
【유적내용】
경절사(景節祠)는 조선조 세종시대 참판을 봉직하고 훗날 이곳 영천
으로 낙향하여 산간에서 은둔 생활을 하며 매월 초하루 보름에 영
월 땅에 향하여 단종의 애석한 죽음을 원통해 하며 망미대를 세웠
던 양효지(楊孝智)를 제향하는 덕강서원 내에 있는 사당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71.
【비 고】
【유적명칭】화계정(華溪亭)
【관리번호】770-850-279-192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이씨문중)
【유적내용】
화계정(華溪亭)은 조선조 인조시대 효자로 이름난 이막배(李莫培)를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78.
【비 고】
【유적명칭】화산재(花山齋)
【관리번호】770-850-279-193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전씨 문중)
【유적내용】
화산재(花山齋)는 조선조 성종시대 문과에 급제하여 봉상시 직장의
벼슬을 지낸 전영창(全永昌)의 배위(配位)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후
손들이 지은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79.
【비 고】
【유적명칭】농은재(農隱齋)
【관리번호】770-850-279-194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김씨 문중)
【유적내용】
농은재(農隱齋)는 조선조 세종 때의 문신으로 성균관 교리, 형조 정
랑, 상주판관의 벼슬을 두루 거치면서 많은 치적을 쌓았으며 특히
경서와 예학을 깊이 연구한 김함(金緘)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세운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74.
【비 고】
【유적명칭】양청재(養淸齋)
【관리번호】770-850-279-195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양씨 문중)
【유적내용】
양청재(養淸齋)는 조선조 세조 때의 학자로 천품이 순후하고 우애가
돈독한 성균관 교리 양자한(楊自漢)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
이다. 현재 재사로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76.
【비 고】
【유적명칭】교선재(敎渲齋)
【관리번호】770-850-240-196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창녕 조씨 문중)
【유적내용】
교선재(敎渲齋)는 창녕 조씨 문중에서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조선조
말기에 지은 서당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73.
【비 고】
【유적명칭】모산재(慕山齋)
【관리번호】770-850-279-197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양씨 문중)
【유적내용】
모산재(慕山齋)는 조선조 세종 때의 학자로 참판을 봉직하다가 영천
으로 이거하여 망배단을 세우고 단종을 추모한 절의를 보인 양효지
(楊孝智)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하여 후손들이 세운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75.
【비 고】
【유적명칭】영천 화산리 영모재(永川花山里永慕齋)
【관리번호】770-850-279-198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김씨 문중)
【유적내용】
영모재(永慕齋)는 조선조 선조 때의 문인으로 천자영민하고 효우돈
독하였으며 임진왜란때는 찬획으로 화산군 의진에 종사한 후 노령
의 부모를 모시기 위해 귀향한 김몽귀(金夢龜)의 묘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77.
【비 고】
【유적명칭】곡은정(谷隱亭)
【관리번호】770-850-279-199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추계 추씨 문중)
【유적내용】
곡은정(谷隱亭)은 추계(秋溪) 추씨 영천 입향조로서 통덕랑(通德郞)
을 지낸 추두석(秋斗錫)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72.
【비 고】
【유적명칭】효덕재(孝德齋)
【관리번호】770-850-279-200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이씨 문중)
【유적내용】
효덕재(孝德齋)는 조선조 선조시대 이정산(李井山)과 효행으로 이름
이 있는 그의 후손인 이막배(李莫培)의 묘소룰 수호하기 위해 세운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80.
【비 고】
【유적명칭】영천 가상리 성지(永川佳上里城址)
【관리번호】770-850-019-201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성(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신천리, 화산면 가상리 산 63
【시 대】<시대 미상>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동서의 깍아 지른 듯한 경사지를 이용하고 표고(標高) 100m 정도의
산등성을 따라 쌓은 주위 720m, 높이 1m 정도의 성이다. 현재 화남
면 신천리가 한사군시대 임둔(臨屯)의 국경으로 마한(馬韓)과 대항
하기 위하여 화동 성주(城主)가 축성하였다고 전하며, 고려시대에는
성 밑에 절이 있었다고 전한다. 부근에는 토기류 등이 출토되고 성
을 쌓았던 돌 등이 남아 있는데 토석혼축성(土石混築城)으로 성벽의
넓이는 2.5m-3m이고 높이 1m, 길이는 약 250m 정도 남아 있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6.
【비 고】
【유적명칭】영천 가상리 봉수대(永川佳上里烽燧臺)
【관리번호】770-850-022-202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봉수(봉수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산 63
【시 대】<시대 미상>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봉수대는 직경 3m, 높이 1m로 가상리 성지내에 위치하고 있는데 원
래의 형태를 많이 잃은 상태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6.
【비 고】
【유적명칭】경미정(景微亭)
【관리번호】770-850-279-203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경미정(景微亭)은 조선조 선조시대 통덕랑(通德郞)을 역임한 권응형
(權應衡)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81.
【비 고】
【유적명칭】입동재(卄洞齋)
【관리번호】770-850-279-204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문중)
【유적내용】
입동재(卄洞齋)는 조선시대 통사랑(通仕郞)을 지낸 권덕온(權德溫)을
추모하고 그 묘소를 수호하기 위하여 후손들이 지은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82.
【비 고】
【유적명칭】수강당(壽康堂)
【관리번호】770-850-279-205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수강당(壽康堂)은 조선 연산군시대의 학자로 광주목사인 아버지 권
열이 학정을 극간하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낙향하여 함께 이곳으로
과 학문에만 진력한 권처정(權處貞)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
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84.
【비 고】
【유적명칭】영천 가상리 원모재(永川佳上里遠慕齋)
【관리번호】770-850-279-206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원모재(遠慕齋)는 조선조 중종시대 학자로 덕성과 행의로 추중받던
권란(權鸞)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후손들이 지은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85.
【비 고】
【유적명칭】일성정(日省亭)
【관리번호】770-850-279-207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일성정(日省亭)은 충의공 권응수 장군의 재종제로 병조참판으로 추
증된 권응심(權應心) 장군을 추모하여 세운 정자이다. 그는 의병에
참전하여 항상 최선봉에서 격전하였으며 정유재란 때 도산 싸움에
서 장렬히 전사하여 훗날 선무원종1등공신에 책록되었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86.
【비 고】
【유적명칭】쾌우당(快憂堂)
【관리번호】770-850-279-208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이씨 문중)
【유적내용】
쾌우당(快憂堂)은 조선조 선조 때 임진왜란에 참전한 훈련원 첨정
이덕수(李德秀)를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87.
【비 고】
【유적명칭】풍영정(風詠亭)
【관리번호】770-850-261-209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풍영정(風詠亭)은 조선조 현종시대 사마시에 급제하고 천자순박하고
독학역행한 학자 권응도(權應道)가 초야에서 학문을 닦던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88.
【비 고】
【유적명칭】모선재(慕先齋)
【관리번호】770-850-279-210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28
【시 대】조선시대(세종 11년)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모선재(慕先齋) 조선 세종(世宗) 11년(1429)에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
부 지평(持平), 광주 목사(牧使) 등을 지낸 의헌(宜軒) 권팔(權捌)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이 건립한 것으로 수차의 중수 끝에 1972년에
개축되였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6.
【비 고】1930. 번와. ; 1972. 해체 보수
【유적명칭】영천 암기리 원모재(永川岩基里遠慕齋)
【관리번호】770-850-279-211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암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김씨 문중)
【유적내용】
원모재(遠慕齋)는 조선조 인조시대의 인물로 가선대부를 역임한 김
성렴(金聲廉)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89.
【비 고】
【유적명칭】춘영정(春映亭)
【관리번호】770-850-279-212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암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춘영정(春映亭)은 조선조 숙종시대 효자로 시묘 생활을 하던 중 어
사 박문수가 지나치다가 물어 효자로 출천되고 훗날 장사랑의 벼슬
을 받은 권태일(權泰一)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90.
【비 고】
【유적명칭】석계정(石溪亭)
【관리번호】770-850-279-213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석촌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김씨 문중)
【유적내용】
석계정(石溪亭)은 조선조 선조시대 무과에 급제하여 용양위 사과,
훈련원 첨정을 거친 김윤여(金潤礪)와 그의 동생으로 역시 동방 급
제하여 훈련원 봉사를 역임한 광려(光礪)를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두 형제는 함께 병자호란에 참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91.
【비 고】
【유적명칭】원관정(遠觀亭)
【관리번호】770-850-240-214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연계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김씨 문중)
【유적내용】
원관정(遠觀亭)은 조선조 고종시대의 학자로 이만인의 문인으로 천
자효우하고 지기 영매한 김재석(金在錫)이 강학하던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61.
【비 고】
【유적명칭】화서정(華棲亭)
【관리번호】770-850-261-215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연계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김씨 문중)
【유적내용】
화서정(華棲亭)은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학문이 출중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출진하여 공을 세우고 효성으로 참봉에 천거
된 김몽귀(金夢龜)를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62.
【비 고】
* 신녕면
【유적명칭】영천 화성리 성지(永川花城里城址)
【관리번호】770-810-019-143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성(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
【시 대】<시대 미상>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화성리 성지(花城里城址)는 신녕 구읍(舊邑)의 북쪽 100m 지점에 있
다. 토석혼축(土石混築)의 성지로 대부분 붕괴된 상태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5.
【비 고】
【유적명칭】신령향교(新寧鄕校)
【관리번호】770-810-250-144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향교(향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 517-1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신령향교)
【유적내용】
신령향교(新寧鄕校)는 창건 연대가 정확하지 않으나 조선 선조 25
년(1592)에 소실된 것을 광해군(光海君) 7년(1615)에 처음 건립했던 자
리에서 남쪽 500m 지점에 이건(移建)하였다고 한다. 다시 숙종(肅宗)
12년(1686)에 현재의 자리로 이축(移築)하여, 최치원(崔致遠), 안향(安
珦), 이이(李珥), 이황(李滉), 이언적(李彦迪) 등 공자(孔子)와 유현(儒
賢) 27위(位)를 배향(配享)하고 있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4.
【비 고】1970. 대성전 보수. ; 1974. 보수. ; 1976. 보수.
【유적명칭】신령향교 대성전(新寧鄕校大成殿)
【관리번호】770-810-250-145
【지정사항】문화재자료 제102호
【유적종류】향교(향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 525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신령향교)
【유적내용】
신령향교 대성전(新寧鄕校大成殿)은 정면 3칸, 측면 3칸, 겹처마, 맞
배지붕 기와집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4.
【비 고】1970. 대성전 보수. ; 1985. 8. 5. 지정.
【유적명칭】신령향교 명륜당(新寧鄕校明倫堂)
【관리번호】770-810-250-146
【지정사항】유형문화재 제168호
【유적종류】향교(향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 525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신령향교)
【유적내용】
신령향교(新寧鄕校)의 초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명종 6년
(1515년) 금계 황준감 현감이 재임시 중수하였다고 하며 화산 및 명
천 위에 있었다고 한다. 그 후 임진왜란때 소실되어 광해군 7년
(1615) 현 향교 뒷편에 다시 세웠다가 숙종 12년(1686년) 현재의 위
치로 옮겼다고 한다. 신령향교의 명륜당(明倫堂)은 비교적 규모가
크고 구조도 건실하며 지붕의 형태는 이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이 건물은 철종 3년(1852년) 5월에 중건하
였고 이때 다른 건물들도 중수되었다 한다.
【참고문헌】동해문화사, 1995, <<경상북도문화재도록>> 3, 359.
【비 고】1983. 6. 20. 지정.
【유적명칭】신령 현감 선정비군(新寧縣監善政碑群)
【관리번호】770-810-209-147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선정비(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 419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조선 숙종(肅宗)이후 신령면에 부임(赴任)하여 선정(善政)을 베푼 신
령 현감 선정비이다. 원래 여러곳에 흩어져 있던 것을 옮겨 세운
것으로 비문을 판독할 수 있는 것은 4기가 있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4.
【비 고】
【유적명칭】신령 현감 선정비①(新寧縣監善政碑①)
【관리번호】770-810-209-148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선정비(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 419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조선 숙종(肅宗)이후 신령면에 부임(赴任)하여 선정(善政)을 베푼 신
령 현감 선정비이다. 민영덕(閔泳悳)[휼민선정비恤民善政碑(갑오 3월
立)]는 높이 1.2m, 폭 35cm, 두께 18cm 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4.
【비 고】
【유적명칭】신령 현감 선정비②(新寧縣監善政碑②)
【관리번호】770-810-202-149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선정비(청덕비)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 419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조선시대 때 신령면에 부임(赴任)하여 선정(善政)을 베푼 신령 현감
선정비이다. 민영후(閔泳厚) 청덕선정비(淸德善政碑)는 고종 28년
(1891)에 세운 비로 높이 1.26m, 폭 40cm, 두께 20cm 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4.
【비 고】
【유적명칭】신령 현감 선정비③(新寧縣監善政碑③)
【관리번호】770-810-202-150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선정비(청덕비)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 419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조선시대 때 신령면에 부임(赴任)하여 선정(善政)을 베푼 신령 현감
선정비이다. 홍우룡(洪祐龍) 청덕선정비(淸德善政碑)는 고종 25년
(1888)에 세운 비로 높이 1.46m, 폭 39cm, 두께 23cm 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4.
【비 고】
【유적명칭】신령 현감 선정비④(新寧縣監善政碑④)
【관리번호】770-810-209-151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선정비(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 419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조선시대 때 신령면에 부임(赴任)하여 선정(善政)을 베푼 신령 현감
선정비이다. 이응인 선정비[李應仁 善政碑(갑신 2월 立)]는 높이
95cm, 폭 36cm, 두께 13cm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4.
【비 고】
【유적명칭】신령 전승비(新寧戰勝碑)
【관리번호】770-810-213-152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기념비(전적비)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 732-1
【시 대】근대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신령 전승비(新寧戰勝碑)는 6·25전란 때 현 신령면 북방에 있는
화산벌에서 2개월간을 일진일퇴(一進一退)를 계속하던 중 현재의
기념비의 자리에서 다시 반격을 개시하여 화산벌을 탈환하여 혁혁
한 불멸의 전공을 세우고 장렬히 전사한 용사들의 영령을 위로하기
위하여 영주지구 위술사령부(衛戌司令部)에서 세운 전승비이다. 비
의 높이는 7m, 폭은 62cm, 두께는 62cm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4.
【비 고】
【유적명칭】환벽정(環碧亭)
【관리번호】770-810-261-153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성리 732-1
【시 대】조선시대(인종 1년)
【관 리 자】개인(김무상)
【유적내용】
환벽정(環碧亭)은 조선 인종(仁宗) 1년(1545)에 처음 창건한 것으로
선조(宣祖) 17년(1584)과 광해군(光海君) 3년(1611)에 중수(重修)하는 등
전후 5차의 중수를 거쳤다. 현재 환벽정은 6각정으로 겹처마, 익공
집, 육모지붕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4.
【비 고】1969. 단청
【유적명칭】영천 부산리 봉수지(永川富山里烽燧址)
【관리번호】770-810-029-154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봉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부산리
【시 대】<시대 미상>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영천 부신리 봉수(永川富山里烽燧)는 둘레 234m, 폭이 3.6m, 높이가
2.7m의 토석혼축(土石混築)으로 현재 그 흔적만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5.
【비 고】
【유적명칭】한광사(閑光寺)
【관리번호】770-810-080-155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찰(현존 고사찰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한광사)
【유적내용】
한광사(閑光寺)의 창건 연대는 알 길이 없고 보물 제675호로 지정
된 3층석탑과 보물 제676호로 지정된 석불좌상을 음미할 때 그 규
모나 양식이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되고 있다. 사찰 건물은 1백여년
전에 개축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52.
【비 고】
【유적명칭】면천정사(勉川精舍)
【관리번호】770-810-240-156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한광사)
【유적내용】
면천정사(勉川精舍)는 조선 헌종시대의 학자로 도정(都正) 벼슬을
지낸 권치선(權致宣)이 만년에 학문을 연구하며 후진을 양성하던 학
당이다. 현재 한광사 내에 있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49.
【비 고】
【유적명칭】영천 화남동 삼층석탑(永川華南洞三層石塔)
【관리번호】770-810-110-157
【지정사항】보물 제675호
【유적종류】석탑(석탑 및 그 부재)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499
【시 대】통일신라시대
【관 리 자】기타(한광사)
【유적내용】
영천 화남동 삼층 석탑은 한광사(閑光寺) 경내에 있는 쌍탑 중의 하
나로 현재 제3층옥개석 윗부분이 남아 있지 않으나 석탑의 규모나
비례로 볼 때 3층탑으로 생각된다. 현재 탑은 2층기단에 3층탑신
으로 노반 윗부분을 제외하곤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우선 방형
의 넓직한 지대석 위에 몇 개의 장석(長石)으로 구성된 하층기단을
마련하였는데 하층기간은 그 중간 부분에서 단을 이룬 듯하며 우주
와 탱주를 새겨놓은 것 같다. 또 갑석은 경사를 가지고 흘러 내렸
고 그 위에 상층기단을 받치기 위한 괴임이 마련되어 있다. 상층기
단도 각 면 우주 2개, 탱주 1개를 모각하였고 갑석은 1석으로 이
루어져 있는데 밑에 부연이 있고 상면에는 약한 경사를 주어 흘러
내리게 하였는데 사우(四隅)에 우동(隅棟)을 새겨 전각에 이르러 반
전하게 하였다. 갑석 상면에는 탑신 괴임이 마련되어 있다. 각 옥신
각면에 우주를 모각하였으며 옥개석은 두꺼운 편으로 낙수면은 완
만한 경사를 이루었는데 전각에서 반전하였다. 옥개석 받침은 각
층 4단이다. 체감율은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일반적 형식을 따르고
있다. 석탑은 형식면에서나 기단 갑석의 우동(隅棟)을 처리한 모습
등을 볼 때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동해문화사, 1995, <<경상북도문화재도록>> 3, 356.
【비 고】1980. 9. 16. 지정.
【유적명칭】영천 화남동 석불좌상(永川華南洞石佛坐像)
【관리번호】770-810-101-158
【지정사항】보물 제676호
【유적종류】석불(석불)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499
【시 대】통일신라시대
【관 리 자】기타(한광사)
【유적내용】
영천 화남동 석불좌상은 원래 어디에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이 불
상과 관련된 광배 파편과 대좌가 남아 있어 광배, 대좌를 갖춘 불
상임을 알 수 있다. 광배는 파손의 정도가 심하여 그 양식을 파악
하기 어려우나 불상과 대좌는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편이라 양
식과 편년 설정이 가능하다. 불상의 두발형태는 나발로 육계는 비
교적 낮은 편이다. 상호는 마모가 심하여 뚜렷하진 않으나 윤곽은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착의는 통견의 방식을 하였고 옷주름은 평
판적으로 처리되어 평행선을 이루며 결가부좌한 하반신의 옷주름의
매우 다양한 변화감이나 다리 사이의 부채꼴모양의 옷주름의 표현
등은 매우 특징적인 것이다. 수인은 지권인(智拳印)으로 이 불상이
비로자나불임을 나타내고 있다. 대좌는 상대, 중대, 하대로 이루어
진 팔각연화대좌로 조각수법이 비교적 섬세하고 사실적으로 묘사되
어 있다. 상대는 단엽(單葉)의 앙련을 3중으로 새겼는데 연판 속에
보상화문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중대는 8각으로 각 면 측면에
우주를 모각하고 그 사이에 성격을 알 수 없는 인물상 3구를 배치
하였다. 하대는 아래층에 8각의 대석을 마련하고 그 위에 복련의
연화대석을 얹어 놓았는데 아래층에 8각의 각 면에는 안상을 새겨
놓았다. 불상의 양식이나 대좌의 형식들을 볼 때 통일신라시대 말
기인 9세기 중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동해문화사, 1995, <<경상북도문화재도록>> 3, 356.
【비 고】1980. 9. 16. 지정.
【유적명칭】면와
【관리번호】770-810-261-159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면와는 조선 철종시대의 문사로 참봉을 역임한 권상현(權象鉉)이 기
거하며 면학한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48.
【비 고】
【유적명칭】송화정(松華亭)
【관리번호】770-810-279-160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손씨 문중)
【유적내용】
송화정(松華亭)은 조선 철종시대의 문인으로 성균관 진사를 지낸 손
수준(孫秀俊)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50.
【비 고】
【유적명칭】청류당(聽流堂)
【관리번호】770-810-360-161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고가(민간의 고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문중)
【유적내용】
청류당(聽流堂)은 조선조 숙종시대 절충장군 부호군을 역임한 권산
보(權山甫) 장군의 사저이며 권오현씨의 종택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51.
【비 고】
【유적명칭】화포정(華圃亭)
【관리번호】770-810-261-162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정.각(정자)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화포정(華圃亭)은 조선 고종시대 천자탁월하고 행의가 지순하였으며
후진을 양성했던 권호현(權浩鉉)이 강학하던 정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54.
【비 고】
【유적명칭】화남재(華南齋)
【관리번호】770-810-360-163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고가(민간의 고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화남재(華南齋)는 조선 순조시대 무과로 공주진신도첨사(公州鎭薪島
僉使)를 역임한 권재병(權載秉) 장군의 사저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53.
【비 고】
【유적명칭】경충사(景忠祠)
【관리번호】770-810-271-164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사)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개인(권오현)
【유적내용】
경충사(景忠祠)는 조선 선조시대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 봉사를 거
쳐 경상좌수사에 근무중 임진왜란이 발발되어 고향으로 돌아와 의
병을 모집 각 곳에서 큰 전과를 올린 권응수(權應銖) 장군을 향사하
는 사원이다. 권응수는 이후 선무2등공신으로 책록되고 화산군에
봉해졌으며 충의공 시호를 받았다. 경내에는 보물 제668호로 지정
된 유물을 보관하는 전시관이 있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44.
【비 고】
【유적명칭】권응수 묘(權應銖墓)
【관리번호】770-810-310-165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묘(피장자가 알려진 묘)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개인(권오현)
【유적내용】
권응수(權應銖)는 조선 명종(明宗) 1년(1546)에 신령(新寧)에서 태어난
인물이며 자는 중평(仲平), 호는 백운재(白雲齋)이다. 그는 선조(宣
祖) 17년(1584)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訓練院) 봉사(奉事)를 봉직하
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남도 수군 절도사 박홍(朴泓)의 휘하에
있다가 고향에 돌아가 의병을 일으켜 영천성(永川城)을 탈환하였다.
다시 박보(朴普)의 군관으로 경주성(慶州城) 탈환의 선봉이 되었으
나 실패하고 문경(聞慶) 당교(唐橋) 싸움에서 적을 격파한 공으로
경상도 병마 절도사겸 방어사에 특진되었다. 1604년에는 선무공신
(宣武功臣) 2등으로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졌고 도총관(都摠管)을 겸
했다.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추증(追贈)되었다. 묘 앞에는 상석(上
席)과 망주석(望柱石) 및 문인상(文人像)이 있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5.
【비 고】
【유적명칭】권응수 장군 유물(權應銖將軍遺物)
【관리번호】770-810-370-166
【지정사항】보물 제668호
【유적종류】위인선현유적(위인선현순절지·생가·출생지 등)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652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개인(권오현)
【유적내용】
조선 선조때의 무신인 권응수 장군의 유물로는 영정과 용연, 병풍,
장검, 녹권, 교지 등이 있다. 영정은 임진왜란 떄 의병을 모집하여
영천성을 탈환한 의병대장 권응수 장군을 위해 선조대왕이 하사한
영정이다. 용연은 1592년 명나라 장군 이여송이 권응수장군에게 선
물한 것이다. 벼루의 표면에 용 모양이 조각되어 있다. 이 유물들은
경충사 유물전시관에 보관되어 있다.
【참고문헌】동해문화사, 1995, <<경상북도문화재도록>> 3, 356.
【비 고】1980. 9. 16. 지정.
【유적명칭】영천 화남리 고분(永川華南里古墳)
【관리번호】770-810-305-167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고분(고려·조선조의 실명묘)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58
【시 대】고려시대
【관 리 자】개인(이숙정)
【유적내용】
영천 화남리 고분(永川華南里古墳)은 고려 때 권씨 집안에서 만든
고려장(高麗葬)터로 전해지는 곳이다. 현재 남아 있는 고분은 봉분
(封墳)의 높이가 1.8m, 둘레 약 8m이며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5.
【비 고】
【유적명칭】영천 화남리 성지(永川華南里城址)
【관리번호】770-810-019-168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성(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화남리
【시 대】<시대 미상>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영천 화남리 성지(永川華南里城址)의 주위는 대략 670m이며 폭은
3.6m, 높이 90cm-1.8m 정도이다. 토석혼축(土石混築)이다. 현재는 성터
의 흔적만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5.
【비 고】
【유적명칭】영천 왕산리 봉수지(永川旺山里烽燧址)
【관리번호】770-810-029-169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봉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왕산리
【시 대】<시대 미상>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영천 왕산리 봉수지(永川旺山里烽燧址)는 토석혼축으로 주위가 대략
130m, 높이 1m 정도이다. 현재는 형태를 구별할 수 있는 약간의 석
축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5.
【비 고】
【유적명칭】무원서원(武原書院)
【관리번호】770-810-240-170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왕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무원서원)
【유적내용】
무원서원(武原書院)은 조선 세종때의 대신으로 예문관 대제학을 거
쳐 영의정에 이르렀으며 불교의 7종파를 조계, 선교 양종파로 개혁
하고 사찰의 토지를 양감한 개혁파이며 죽은 후에는 문종 사당에
배향된 하연(河演)을 향사하는 서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55.
【비 고】
【유적명칭】무원서원(武原書院)
【관리번호】770-810-240-170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왕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무원서원)
【유적내용】
무원서원(武原書院)은 조선 세종때의 대신으로 예문관 대제학을 거
쳐 영의정에 이르렀으며 불교의 7종파를 조계, 선교 양종파로 개혁
하고 사찰의 토지를 양감한 개혁파이며 죽은 후에는 문종 사당에
배향된 하연(河演)을 향사하는 서원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55.
【비 고】
【유적명칭】부귀사(浮龜寺)
【관리번호】770-810-080-171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찰(현존 고사찰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왕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부귀사)
【유적내용】
부귀사(浮龜寺)는 원래는 고찰로서 여러 차례 이건한 사찰이다. 법
당은 순조 5년(1805)에 중건하고 보화루는 영조 40년(1764)에 건립한
사찰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56.
【비 고】
유적명칭】영천 왕산리 선돌(永川旺山里立石)
【관리번호】770-810-333-172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선사유적(입석 등)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왕산리
【시 대】청동기시대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영천시 신령면 역 앞 농협창고 남향 100m 지점 국도변의 밭에 있다.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현재는 높이 2.6m, 폭 1m, 두께 24cm이며 선돌
로서는 큰 편에 속한다. 면(面)에는 아무런 명문(銘文)이 없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5.
【비 고】
【유적명칭】영천 연정리 성문지(永川蓮亭里城門址)
【관리번호】770-810-019-173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성(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연정리
【시 대】<시대 미상>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영천 연정리 성문지(永川蓮亭里城門址)는 신령(新寧) 북쪽 약 6km
지점에 있는 신적산(薪積山) 정상에 있다. 폭 60cm, 길이 90cm 정도
의 치석(治石)으로 쌓은 폭 3.6m, 길이 5.4m의 성문지인데 붕괴된 상
태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5.
【비 고】
【유적명칭】귀후재(歸厚齋)
【관리번호】770-810-279-174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묘(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연정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한씨 문중)
【유적내용】
귀후재(歸厚齋)는 조선 연산군시대 폭정에 비분을 느끼고 이곳으로
이거하여 은둔한 한동(韓棟) 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지은 재사이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57.
【비 고】
【유적명칭】어사영각(御賜影閣)
【관리번호】770-810-269-175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정·각(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치산리
【시 대】조선시대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어사영각(御賜影閣)은 원래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혁혁한 공
을 세우고 훗날 선무2등공신에 화산군으로 봉해진 권응수(權應銖)
장군을 향사하는 서원이었으나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
다가 다시 영정각(影幀閣)으로 사용하였으며 화남리에 경충사(敬忠
祠)를 세워 향사를 올리게 되므로 빈각으로 보존되고 있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59.
【비 고】
【유적명칭】귀천서원(龜川書院)
【관리번호】770-810-240-176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서원(서원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치산리 1294
【시 대】조선시대(선조 25년)
【관 리 자】기타(권씨 문중)
【유적내용】
귀천서원(龜川書院)은 조선 선조(宣祖) 25년(1592)에 임진왜란 때 의
병을 일으켜 활약한 백운재(白雲齋) 권응수(權應銖 ; 1546-1608)를 향
사(享祀)하는 곳으로 일명 경덕사(敬德寺)라고도 한다. 이 건물은 조
선 숙종(肅宗) 2년(1676)에 창건되었다가 고종(高宗) 5년(1868) 대원군
(大院君)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毁撤)되었는데 경내에는 강당(정면 4
칸, 측면 2칸), 영정각(影幀閣)(정면 3칸, 측면 2칸)을 비롯하여 4동
의 건물이 있고 권응주의 신도비(神道碑)가 남아 있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4-265.
【비 고】1969. 강당 보수.
【유적명칭】수도사(修道寺)
【관리번호】770-810-080-177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찰(현존 고사찰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치산리
【시 대】삼국시대(신라)
【관 리 자】기타(수도사)
【유적내용】
수도사(修道寺)는 신라 선덕왕 14년에 원효대사(元曉大師)와 자장대
사(慈藏大師)가 창건한 사찰로 고려 충열왕(1296)에 중창하고 순조때
이건하였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58.
【비 고】
【유적명칭】진불암(眞佛庵)
【관리번호】770-810-080-178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사찰(현존 고사찰 및 부속건물)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치산리
【시 대】고려시대
【관 리 자】기타(진불암)
【유적내용】
진불암(眞佛庵)은 고려 문종 떄 혼수국사(混修國師)가 창건한 암자
로 고려 인조 15년(1637)에 이응선(李應善)이 중수하고 다시 1813년
에 등월(燈月), 월장(月長) 스님 등이 수리하였다.
【참고문헌】영천시, 1988, <<문화유적대관>>, 160.
【비 고】
【유적명칭】영천 치산리 성지(永川雉山里城址)
【관리번호】770-810-019-179
【지정사항】<지정사항 없음>
【유적종류】성(기타)
【소 재 지】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치산리
【시 대】<시대 미상>
【관 리 자】시유
【유적내용】
치산리 성지는 팔공산(八公山) 산정에 있는 것으로 높이 1.7m 정도
의 성지가 모두 1.1km 정도 남아 있으나 붕괴가 심한 상태이다.
【참고문헌】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중, 265.
【비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