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4,[53]
 (엄) 집 |
자원 : {指事字} 언덕 위에다가 지붕을 의미하는 [`]를 더해 언덕 위에 서있는 '집'의 의미를 도출한 것으로, '건축물'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부수 명칭은 본래 '집 엄'자이지만 발음 '엄'과 부수의 위치 의미인 '호'를 합쳐 '엄호'로 불리기도 하나 역시 부적합한 명칭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9자 4) 序 (서) 차례 : 序論, 順序 4) 床 (상) 평상 : 同床異夢, 起床 5) 底 (저) 밑 : 井底之蛙, 基底 5) 店 (점) 전방 : 商店, 店員 5) 庚 (경) 일곱째천간 : 庚戌國恥 5) 府 (부) 마을,관청 : 政府, 學府 6) 度 (도) 법도 : 度外視, 程度 7) 座 (좌) 자리 : 座席, 座談, 星座 7) 庫 (고) 곳집 : 倉庫, 車庫 7) 庭 (정) 뜰 : 家庭, 庭園
|
8) 庶 (서) 여러 : 庶民, 庶子 8) 康 (강) 편안하다 : 康衢煙月, 健康 8) 庸 (용)떳떳하다,어리석다:中庸,庸劣 10) 廉 (렴) 청렴하다,값싸다 : 淸廉潔白, 廉價 10) 廊 (랑) 행랑 : 行廊, 畵廊 12) 廟 (묘) 사당 : 宗廟社稷, 廟堂 12) 廢 (폐) 폐하다 : 存廢, 改廢, 荒廢 12) 廣 (광) 넓다 : 廣場, 廣野, 廣義 22) 廳 (청) 관청 : 廳舍, 大廳
|
3-25,[54]
 (인) 발끌며 걷다 |
자원 : {指事字} 천천히 걷는다는 의미인 '두인변'에서 아래로 내려그은 획을 더 늘린 글자로 본 의미는 '발을 길게 끌면서 걷는다'는 의미를 지닌 '인'자임. 부수의 활용도 '가다', '발을 길게 떼어놓다' 등의 의미로 활용됨. 부수 명칭은 '책받침'과 대비하여 '민책받침'으로 불림.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4) 延 (연) 끌다 : 延長, 延着
|
4) 廷 (정) 조정 : 朝廷, 宮廷 6) 建 (건) 세우다 : 建國, 建設 |
3-26,[55]
 (공) 들다 |
자원 : {會意字} 왼손과 오른손의 결합으로 두 손을 모아 떠받들고 있는 형상으로 본래 '바친다'는 의미를 지닌 '공'자임. 부수 명칭은 열십[十]자를 둘 합친 모양으로 보아 '스물 입'와 유사하여 '밑스물'로 불림.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4) 弄 (롱) 희롱하다 : 弄璋之慶, 戱弄
|
12) 弊 (폐) 해지다 : 弊端, 弊習 |
3-27,[56]
 (익) 주살 |
자원(字源) : {象形字} 꺾은 나뭇가지에 옆으로 뽀족하게 나온 부분에 물건이 걸려있는 막뚝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이것을 오늬에 줄을 매어 쏘는 화살인 '주살'의 의미로 발전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3) 式 (식) 법,의식 : 格式, 格言
|
|
3-28,[57]
 (궁) 활 |
자원 : {象形字} 화살을 매기지 않은 활의 모양을 본뜬 글자. 부수의 활용은 활과 활의 부속물, 활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9자 0) 弓 (궁) 활 : 弓術, 石弓 1) 弔 (조) 조문하다 : 弔問, 慶弔事 1) 引 (인) 당기다 : 我田引水, 牽引 2) 弘 (홍) 넓다 : 弘益人間, 弘文 4) 弟 (제) 아우 : 兄弟, 弟嫂 7) 弱 (약) 약하다 : 弱肉强食, 弱冠
|
8) 張 (장) 베풀다 : 誇張,主張,張本人 8) 强(강)강하다,힘쓰다:自强不息,强硬 12) 彈 (탄) 탄알,튀기다 : 彈丸, 彈琴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2) 弗 (불) 아니다 : 弗豫 ▽5) 弦 (현) 시위,초승달 : 弓弦, 弦月 |
3-29,[58]
 (계) 돼지머리
 |
자원 : {象形字} 돼지머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 부수 명칭은 '가로왈[曰]'의 왼쪽 내려그은 획을 뺀 것과 유사하여 '터진가로왈' 혹은 '튼가로왈'로도 불림. 역시 부수의 활용은 실제 일정한 의미가 없이 자형(字形) 분류를 위한 부수로만 설정됨.
|
기초 한자 - 해당 한자 는 없고, 주로 사용되는 한자로 [彗(혜)살별(혜성:彗星), 彙(휘)무리(어휘:語彙)] 등이 있음.
|
3-30,[59]
 (삼) 터럭 |
자원 : {象形字} 터럭을 빗질해 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터럭'의 의미를 지니고 있음. 부수의 활용은 '모양', '무늬', '꾸미다' 등의 의미로 활용됨. 부수 명칭은 '석삼[三]'의 모양이 변형된 것으로 보아 '삐친석삼'으로도 불림.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4) 形 (형) 형상 : 象形, 形狀, 形體
|
8) 彩 (채) 무늬 : 色彩, 光彩, 文彩 12) 影 (영) 그림자 : 影響, 影幀 |
3-31,[60]
 (척) 천천히걷다 |
자원 : {象形字} 넓적다리와 정강이, 발 부분까지 표현하여 처음 걷기 시작함을 의미하는 '길을 걷는다' 는 '척'자임. 부수의 활용은 '움직이다', '일하다', '걷다' 등으로 활용됨. 부수 명칭은 '사람인변'에 삐침 한 획을 더한 모양이어서 '두인변' 또는 '중인변' 이라고도 불리지만 역시 부적절한 명칭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9자 4) 役 (역) 부리다 : 役割, 兵役, 使役 5) 彼 (피) 저,그: 知彼知己,彼此一般 5) 往 (왕) 가다 : 往來, 旣往之事 5) 征 (정) 가다,치다 : 征伐, 遠征 6) 待 (대) 기다리다,대접하다 : 待機, 盡人事待天命, 期待 6) 律 (률) 법 : 法律, 音律 6) 後 (후) 뒤 : 前後左右, 後生可畏 7) 徐 (서) 천천히하다,성 : 徐行, 徐徐 7) 徑 (경) 지름길 : 捷徑, 半徑, 直徑
|
7) 徒 (도) 무리,다만 : 信徒, 無爲徒食 8) 得 (득) 얻다 : 利害得失, 獲得 8) 從 (종) 따르다 : 從心所慾不踰矩 8) 御 (어) 어거하다 : 御前, 御命 9) 復 (복) 회복하다 : 回復, (부)다시: 復活 9) 循 (순) 돌다 : 循環, 循行 10) 微 (미) 작다 : 微力, 微細 11) 徹 (철)뚫다,통하다:徹頭徹尾,徹底 12) 徵 (징) 부르다,조짐 : 徵集, 徵兆 12) 德 (덕) 덕 : 德行, 恩德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