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끊기면 생활필수품 대란 수입 다변화땐 기업 원가 부담
국내 제조업 공급망은 핵심 원자재뿐 아니라 갑싼 중간산 범용 제품에도 크게 의존하고 있다.
요소수처럼 원가 부담 때문에 국내 생산을 기피하는 이른바 '로테크'제품이다.
정부도 중국산 범용 제품 수입 중단에 따른 '생활필수품 대란'여부에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11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 1~7월 기준 전기밥솥(99.2%), 선풍기(95.6%) 보온용기(91.2%), 우산 양산(89.5%)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활필수품은 중국산 수입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이들 제품의 특징은 인건비를 비롯한 비용등의 문제로 국내에선 더 이상 대량 생산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국내 보온용기 제품 수출액은 수입액의2.2%에 불과하다.
한 중소 기업 관계자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소재와 부품은 대부분 원가 부담 때문에 국내에서 생산을 기피하는 것들"이라며 "중국산에 전적으로 의존하면서 중국이 공급망의 주도권을 쥐게 됐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산 범용제품 수입이 중단되면 공급망이 큰 타격을 받아'생활필수품 대란'이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2년 전인 2021년 10월 발생한 요소수 고도의 제조기술이 필요하지 않은 범용 제품이었다. 경제성이 낮아 국내 기업이 요소수를 잘 생산하지 않는 상황에서 중국산 공급이 끊기자 공급망 대란이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업체들이 높은 중국 의존도에서 벗어나 베트남 태국등 아시아 지역 내 대체 국가를 발굴해 공급망 거점 다변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출처: 한국경제 강경민기
*이번 주 수업시간에 배운 공급망에 관련된 뉴스를 찾아 보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원가 부담을 낮추기 위해 중국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며, 세계 경제가 불안할수록 그 피해는 가늠할 수 없을 정도 크므로 다각화를 통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야 함을 이 뉴스를 통해 배웠습니다.
첫댓글 중국도 이젠 스스로 고부가가치 제조로 전환하려 한단다. 전기차, 통신장비, 일부 반도체 등이 여기에 속한단다.
다만 시진핑 체제의 독재 전체주의가 나날이 강화됨으로서 시장경제와 기업가 정신의 동기부여가 훼손 되고 부동산 거품 등 그간의 중국의 경제문제가 더해져 전망이 매우 좋아보이지 않는구나.
그 빈자리를 이미 경제기반이 급속도로 성장한 인도를 위시하여 베트남 등의 아세안 국가들 제조산업이 차지하려하는 시대의 흐름으로 전환국면이 읽혀지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