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는 중국의 지방 제도인 군현제를 참고하여 행정구역을 나눴다. 광역구역으로서의 '주(州)'가 등장하는 것은 6세기 중엽 진흥왕 대부터이다. 이때부터 주(州)가 정(군주가 이끄는 지방 주둔 군단)의 관할구역이 되고 정은 주의 중심지 기능을 했다.
완전한 9주5소경 체제가 등장한 것은 통일신라대부터이다. 상주(지금의 상주)는 진흥왕대부터 등장하였는데, 이전까지 사벌주라고 불리던 명칭이 상주로 고쳐졌다. 이외에도 지금의 양산에 위치하였던 '양주', 지금의 진주인 '강주' 등이 있다. 이 때 주의 중심이 되는 군이나 현은 없었다.
상주 (上州)
지금의 경상북도 서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설치되었다. 5세기 후반 신라는 소백산맥 이남 지역에 진출한 고구려 세력을 그 이북으로 축출하였다. 이에 부응해 신라는 505년(지증왕 6)에 전국적인 통치 체제인 주(州)·군(郡)·현(縣)제를 시행해 중앙 집권적인 통치 질서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 때 주는 신라의 영토 확장 과정에서 지방 세력을 편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형성된 것이다. ≪삼국사기≫ 지리지 상주(尙州)조에 따르면, 525년(법흥왕 12)에 처음으로 군주(軍主)를 두고 상주(上州)를 설치했다고 한다. 반면에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525년 2월에 대아찬(大阿飡) 이등(伊登)을 사벌주(沙伐州) 군주로 삼았다고 한다.
이 두 기록을 볼 때, 상주는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尙州)를 주치(州治)로 한 대략 경상북도 일원에 대한 지방 통치 조직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그 설치는 지금의 상주를 중심으로 한 신라 서북 변경 지역에 대한 일련의 산성 축조를 배경으로 했음을 볼 때, 고구려 세력의 제압을 비롯한 북진책(北進策)의 일환이었다.
그러나 상주의 주치는 작전상 필요에 따라 이동했는데, 557년(진흥왕 18) 사벌주에서 감문주(甘文州 : 지금의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로 이동하였다. 그 이동 배경은 554년(진흥왕 15) 백제군과 합세한 대가야군을 신라가 크게 격파함에 따라, 가야 지역에 진출해 대가야를 위협할 목적으로 주치를 그 인접 지역으로 이동시킨 것이다.
아울러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령함에 따라 적대 관계로 변한 백제를 추풍령 방면에서 방어해 상주의 영역을 방위하도록 한 것이다. 그 뒤 주치는 614년(진평왕 36) 일선주(一善州 :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로 다시 이동했는데, 이는 백제의 위협을 견제하려는 조처였다. 실제로 611년(진평왕 33)에 상주의 군대는 백제군과의 전투에 동원되었다.
삼국통일 후인 685년(신문왕 5)에 9주를 정비함에 따라 687년 일선주는 폐지되고 사벌주가 다시 설치되었다. 이로써 군정적인 성격의 지방 행정 조직인 상주는 그 소임을 다하고 사벌주로 개편되고 말았다. 한편, 상주에는 국가의 정규 부대인 상주정(上州停)이 배치되어 있었다.
양주 (梁州)
신라 때 삽량(歃良)이었는데, 665년(문무왕 5) 상주(上州)와 하주(下州)를 합쳐 삽량주로 하였다. 757년(경덕왕 16) 한화정책(漢化政策)으로 지명을 한자명으로 고칠 때 양주(良州)가 되었고 헌양(巚陽)을 속현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 양주로 고쳤고, 성종 때 방어사(防禦使)를 두었으며, 1018년(현종 9) 지군사(知郡事)로 바꾸고 동평(東平)·기장(機張)을 속현으로 하였다. 뒤에 밀성(密城)에 속하였다가 1304년(충렬왕 30) 양주로 복구하였다. 1413년(태종 13) 양산군으로 바꾸었다.
이곳은 낙동강 하류의 넓은 분지에 있어 신라 초기 가야와 왜구의 침입이 잦았던 곳으로, 신라의 외곽을 방어하는 군사적인 요지였다.
청주 (菁州)
신라삼국통일 직후에 완성된 9주(九州)의 하나이다. 685년(신문왕 5) 거타주(居陀州 : 일명 居列州로 중심은 지금의 경상남도 거창)를 개편하여 지금의 진주를 중심으로 하여 설치하였다.
그 뒤 757년(경덕왕 16) 12월 9주의 이름을 고칠 때 강주(康州)로 되었으나, 뒤에도 청주의 명칭은 계속 쓰였다. 757년 개편 당시 11개 군(郡), 27개 현(縣)을 관장하였으며, 주에 직속하는 현은 둘이었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진주이다. 또한 군부대로서 소삼정(召參停)을 비롯하여 청주서(菁州誓)·만보당(萬步幢)을 두었다. 장관으로 도독(都督), 차관으로 주조(州助 : 州輔), 그 밑에 장사(長史 : 司馬)를 각각 1인씩 두었다. →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