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여행, 바람처럼 흐르다 원문보기 글쓴이: 무심재
位 |
이름(휘) |
본관 |
생 졸 |
호 |
세거지(종택) |
부 인 |
諡號 |
1 |
具鳳齡 |
능성 |
중종21(1526)-선조19(1586) |
栢 潭 |
와룡면 지내리 現 가구리 |
함창김씨 |
文端 |
2 |
權 榘 |
안동 |
현종13(1672)-영조25(1749) |
屛 谷 |
풍천면 가곡리 가일 시습재 |
재령이씨 |
|
3 |
權 宇 |
안동 |
명종7(1552)-선조23(1590) |
松 巢 |
와룡면 이상리 |
전주류씨 |
|
4 |
權 徵 |
안동 |
세종8(1426)-세조13(1467) |
藤 巖 |
와룡면 가야리 늪실 |
화산권씨 |
|
5 |
權 寏 |
안동 |
선조13(1580)-효종2(1652) |
二愚堂 |
임하면 임하리 이우당 |
문소김씨/봉화금씨/전주류씨 |
|
6 |
琴蘭秀 |
봉화 |
중종25(1530)-선조37(1604) |
惺惺齋 |
예안면 부포리 |
횡성조씨 |
|
7 |
金 侃 |
풍산 |
효종4(1653)-영조11(1735) |
竹 峯 |
풍산읍 오미리 미동 |
전의이씨 |
|
8 |
金係行 |
안동 |
세종13(1431)-중종12(1517) |
寶白堂 |
길안면 묵계리 |
이천서씨/의령남씨 |
定獻 |
9 |
金土宏 |
의성 |
영조15(1739)-순조16(1816) |
龜 窩 |
일직면 구미리 |
진성이씨/벽진이씨 |
|
10 |
金大賢 |
풍산 |
명종8(1553)-선조35(1602) |
悠然堂 |
풍산읍 오미리 미동 |
전주이씨 |
|
11 |
金誠一 |
의성 |
중종33(1538)-선조26(1593) |
鶴 峰 |
서후면 금계리 검제 |
영가권씨 |
文忠 |
12 |
金聖鐸 |
의성 |
숙종10(1684)-영조23(1747) |
霽 山 |
임하면 천전리 비릿골 |
무안박씨 |
|
13 |
金楊震 |
풍산 |
세조13(1467)-중종30(1535) |
虛白堂 |
예천 호명면 직산리 大枝 |
양천허씨 |
|
14 |
金彦璣 |
광산 |
중종15(1520)-선조21(1588) |
惟一齋 |
와룡면 가구리 |
영양남씨/영천이씨 |
|
15 |
金 坽 |
광산 |
선조10(1577)-인조9(1641) |
溪 巖 |
와룡면 오천리 외내 설월당現안동용상 |
영양남씨 |
文貞 |
16 |
金 涌 |
의성 |
명종12(1557)-광해군12(1620) |
雲 川 |
임하면 천전리 내앞 귀봉종택 |
00이씨 |
|
17 |
金 璡 |
의성 |
연산군6(1500)-선조13(1580) |
靑 溪 |
임하면 천전리 내앞 |
여흥민씨 |
|
18 |
柳景深 |
풍산 |
중종11(1516)-선조4(1571) |
龜 村 |
풍천면 하회리 |
00배씨 |
|
19 |
柳成龍 |
풍산 |
중종37(1542)-선조40(1607) |
西 厓 |
풍천면 하회리 충효당 |
00이씨 |
文忠 |
20 |
柳升鉉 |
전주 |
숙종6(1680)-영조22(1746) |
慵 窩 |
임동면 박곡리 박실 現 구미 해평 일선리 |
00김씨 |
|
21 |
柳雲龍 |
풍산 |
중종34(1539)-선조34(1601) |
謙 菴 |
풍천면 하회리 양진당 |
00이씨 |
文敬 |
22 |
柳正源 |
전주 |
숙종29(1703)-영조37(1761) |
三 山 |
예안면 주진리 |
선성이씨/무안박씨 |
|
23 |
柳仲淹 |
풍산 |
중종33(1538)-선조4(1571) |
巴 山 |
풍천면 광덕1리 |
영천이씨 |
|
24 |
柳仲郢 |
풍산 |
중종10(1515)-선조6(1573) |
立 巖 |
풍천면 하회리 양진당 |
00김씨 |
|
25 |
柳 㮨 |
전주 |
선조35(1602)-현종3(1662) |
百拙庵 |
임동면 고천리 |
안동권씨 |
|
26 |
柳致明 |
전주 |
정조1(1777)-철종12(1861) |
定 齋 |
임동면 수곡리 한들(現 수곡리) |
00김씨/00신씨 |
|
27 |
柳徽文 |
전주 |
영조49(1773)-순조27(1827) |
好古窩 |
임동면 마령리 現 구미 해평면 일선리 |
영해신씨/동래정씨 |
|
28 |
裵三益 |
흥해 |
중종29(1534)-선조21(1588) |
臨淵齋 |
월곡면 도목리 現안동시 송천동금역당 |
영양남씨 |
|
29 |
邊中一 |
원주 |
선조8(1575)-현종1(1660) |
簡 齋 |
서후면 금계리 금고 |
동래정씨/信川강씨 |
|
30 |
李繼陽 |
진성 |
세종6(1424)-성종19(1488) |
老松亭 |
도산면(예안) 온혜리 |
영양김씨 |
|
31 |
李德弘 |
영천 |
중종36(1541)-선조29(1596) |
艮 齋 |
녹전면 원천리 외내 |
영양남씨 |
|
32 |
李溟翼 |
진성 |
광해군9(1617)-숙종13(1687) |
反招堂 |
녹전면 원천리 외내 |
안동권씨/高敞오씨 |
|
33 |
李山斗 |
전의 |
숙종6(1680)-영조48(1772) |
懶/난拙齋 |
풍산읍 하리 우렁골 |
안동권씨 |
淸憲 |
34 |
李象靖 |
한산 |
숙종37(1711)-정조5(1781) |
大 山 |
일직면 망호리 소호리 |
長水황씨 |
文敬 |
35 |
李詠道 |
진성 |
명종14(1559)-인조15(1637) |
東 巖 |
도산면 토계리 하계 |
영가권씨 |
|
36 |
李 堣 |
진성 |
예종1(1469)-중종12(1517) |
松 齋 |
도산면 온혜리 애련정(現 안동 옥정) |
월성이씨 |
|
37 |
李 禎 |
진성 |
1400(1424년에 3자 출생)?-? |
. |
와룡면 주하리/주촌 두루마을 경류정 |
안동김씨 |
|
38 |
李宗洙 |
진성 |
경종2(1722)-정조21(1797) |
后 山 |
일직면 송리 후산정사 |
문소김씨 |
|
39 |
李 瀣 |
진성 |
연산군2(1496)-명종5(1550) |
溫溪/翠微軒 |
도산면 온혜리 |
연안김씨 |
貞愍 |
40 |
李賢輔 |
영천 |
세조13(1467)-명종10(1555) |
聾 巖 |
도산면 분천리 부내 긍구당 現 안동시 옥정동(도산 운곡동) |
안동권씨 |
孝節 |
41 |
李弘祚 |
한산 |
선조28(1595)-현종1(1660) |
睡 隱 |
일직면 망호리 소호리 |
영양남씨 |
|
42 |
李 滉 |
진성 |
연산군7(1501)-선조3(1570) |
退溪/退陶 |
도산면 토계리 상계 |
김해허씨/안동권씨 |
文純 |
43 |
李後榮 |
고성 |
효종원년(1649)-숙종37(1711) |
淸 翁 |
안동시 법흥동 임청각 |
진성이씨 |
|
44 |
張興孝 |
안동 |
명종19(1564)-인조11(1633) |
敬 堂 |
서후면 성곡리 춘파 |
안동권씨/안동권씨 |
|
45 |
鄭 枓 |
청주 |
중종3(1508)-선조9(1576) |
竹 軒 |
와룡면 태2리 말바우/마암 |
안동권씨 |
|
46 |
趙 穆 |
횡성 |
중종19(1524)-선조39(1606) |
月 川 |
도산면 동부리 부용산下(現 부산 전포) |
안동권씨/선성김씨 |
|
47 |
河緯地 |
진주 |
태종12(1412)-세조2(1456) |
丹 溪 |
서후면 교리 창렬서원 |
00김씨 |
文烈 |
位 이름(휘) 혈연관계 과거급/문인 행직/증추 배 향 행 적 문 집 1 具鳳齡 謙의 子 생원/문과/
퇴계 문인 이조참판/
이조판서 주계서원 당우의 인물, 한송의 문장이란 세칭을 얻음. 율곡과 동서당론을 조절, 곧 실패. 義理를 강독하여 골수를 터득. 백담문집/
속집 2 權 榘 정곡 징의 子 /갈암 이현일 문인 지평: 증/
이조판서:
추(고종 28) 노동里社 벼슬 대신 사창을 열어 빈민 구제, 향학으로 양풍 진작, 시습재로 후학양성, 이인좌의 난에서 영조에게 결백받음. 병곡집10권5책 3 權 宇 忍齋 大器의 장자 사마시/
퇴계 문인 경릉참봉/승정원 자승지,경연참찬관 . 왕자시전 제수, 맑은 인품에 지조가 높음. 송소집 2책 4 權 徵 修義副尉 可後의 子 사마시/문과 서헌부지평/집의 . 세조 13년 병마평사로 이시애의 난을 토평하는데 지휘하다가 자결. 이기설 저술 5 權 寏 副率 宏의 弟,
권씨 五賢者 사마시/식년문과 병과/한강정구의 문인 성균관
직강 봉례/ 정묘호란에 창의하여 의병부장으로 활약. 이우당문집 4권 6 琴蘭秀 첨지중추부사 憲의 子, 영양남씨 교수 軾의
외손 사마시/
퇴계문인 봉화현감
/좌승지 예안동계서원 퇴계가 호를 지어줌. 고산주인. 임진년에 고을의 수장이 되고 명군이 남하하자 군량미를 비축하여 原從勳에 책록됨. 성재집 7 金 侃 진사 弼臣의 子 사마시/문과/孤山 李惟樟 장예원
판결사/ 낙연서원 영조 무신년(1728) 鄭希亮의 난에 首倡義로 공을 세움. 죽봉문집 2책 8 金係行 비안현감 三近의 子. 서애와 연사간. 생원시/
식년문과 6조의 관직,대사간 대사성 대사헌/
이조판서,
양관대제학 묵계서원 고령현감으로 나가 청렴공직으로 치적 거둠. 홍문관부수찬시 정언과 직언으로 시페를 논박하여 권신들의 이간으로 파직. 보백당실기 9 金土宏 오우당 近의 后, 光憲의 子 생원시/문과/
대산 이상정의 문인 예조참판/ 대산에게서 심학 전수받음. 풍도엄정, 골상준위, 학문과 행검 탁월. 사림의 推重. 귀와문집7책과 속집 4책 10 金大賢 청백리 楊震의
증손, 문정공
義貞의손,
증좌승지 農의 子 사마시/
우계 성혼의 문인 산음현감/
증이조참판 구호서원 인조가 공의 8子가 진사, 5子가 문과에 급제하자 ‘八蓮五桂’라 하고, ‘五美’洞으로 하사함. 임란시 안집사 金玏과 鄕兵을 모아 싸움. 우복 정경세가 묘명 찬. 유연당집 11 金誠一 청계 璡의 4子 진사/증광문과
/퇴계문인 경상도
관찰사/
이조판서 임천서원,
사빈서원 퇴계가 공의 行高學精을 칭찬하여 心學淵源을 屛銘으로 써 줌. 일본 사신으로 가 直節不屈함. 임진란에 경상도초유사로 有功하여 宣武原從功臣 1등에 책록됨. 학봉집외 다수, 운장각에 전시 12 金聖鐸 약봉 克一의 后,
표은 是榲의 증손 증광문과 을과/갈암 이현일의 문인 홍문관교리/
귀록 조현명의 천거로 어전에서 강론하고 遺逸로 단성현감에 제수되나 상소로 사퇴. 花山風雨五龍飛 중 1人. 갈암의 신원소를 청하였으나 不允되고 제주로 유배, 광양의 謫所에서 사망. 퇴계의 이기이원론 지지. 문집 10책 13 金楊震 진산군수 徽孫의 子 진사시/별시문과/ 四佳, 서거정에 師事 공조참판/
송도 유도재상으로 숙위 물계서원,
대기재사 淸白吏에 錄選. 학문은 역학, 음양,복서에 통달. 호음 정사룡 찬, 女婿 동고 이준경이 신도비 씀. 문집2책 14 金彦璣 담암 金用石의
손자 생원시로 진사/ 성균관 생원 용계서원,
옥계서원 백담 구봉령, 후조당 김부필. 회곡 권춘람, 송암 권호문. 지산 김팔원 등 제현과 강학에 힘씀. 화산문학이 융성함, 공의 문인록에 오른 문도 189인 중 비지 남치리 등 현달한 분 다수. 후세 안동 道學의 공로 인정받음. 문적은 灰燼,詩書 수편이 용산세에 전함. 15 金 坽 설월당 부륜의 子 문과/ 사간원/
이조판서겸 양관대제학 백봉서원 광해군조 잇따른 벼슬 제수에도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켜 伯夷에 견줌. 병자란에 가재를 군비로 보조, 그 후 西向으로 앉지 않음 . 尊周錄에 척화제1등신으로 재록. 숙종조 도승지로 증직. 영조조 殷 三人에 비유. 정조는 공의 공적으로 후손을 錄用하는 교지 내림. 천하지도,
문집 6권책과 계암일기(39년간) 8책 16 金 涌 귀봉 수일의子, 청계 진의 손자, 학봉 성일의 조카 문과/
학봉 김성일에게 수업 병조참의/
이조판서 사빈서원 조부 청계로부터 전해진 보검을 수상함. 임진왜란의 호종공으로 선조를 수행하면서 일기를 써 귀중한 사료가 됨. 문집 9권 5책, 호종일기 17 金 璡 승지 禮範의 子 사마시/ /이조판서겸 의금부사 사빈서원 후진교도에 진력하여 전암서당과 임천서당 창건. 공의 자식 교육 열의는 3子가 문과에, 2子가 소과에 급제하여 내앞파의 문호를 열어줌. 유물전시관 18 柳景深 공조전서 從惠의 현손, 公權의 子, 입암 仲郢의 從弟 생원과 진사/별시문과,중시문과 장원/ 평안감사, 중추부사, 사헌부대사헌/ 선조4년 평안감사 재직 중 지병의 악화로 체임을 상소하여 중추부사가 되어 돌아오던 도중에 卒. 국왕이 관을 하사하고 歸葬시키며 不祧奠을 命함. 19 柳成龍 입암 仲郢의 子, 겸암 雲龍의 弟 생원과진사시/별시문과/
퇴계문인 풍원부원군, 영의정/ 병산서원 퇴계는 공은 하늘이 낸 사람이라 칭탄함. 퇴계의 연원정맥이 됨. 임진왜란에 문무를 겸한 관직을 지내(出將入相) 經世大業이 당시 제일로 士林에서는 泰山北斗와 같이 추앙함 문집 20책,
징비록 6책, 20 柳升鉉 기봉 復起의 后, 奉侍의 長子 증광문과/ 공조참의, 풍기군수/
이조참판 이인좌의 난에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어 나아가 왕이 弓矢를 하사하고 錄勳함. 사직하고 향리에서 시서에 몰두. 풍기군수 재직 중 순직 문집2책 21 柳雲龍 입암 仲郢의 장자 /퇴계문인 원주목사/
이조판서 우곡서원, 화천서원 퇴계문하의 00 제자로 평생 학문에 힘씀. 인동현감 때 백성을 공정히 하고, 고을의 풍속을 振作함. 임란 중 풍기군수로서 의주의 선조에게 正祖問安使를 보내고 國軍便宜疏를 올림 겸암집 22 柳正源 錫龜의 子 생원/증광문과 을과/ 대사간,
知製敎/ 고을 수령 때 선정을 베풀어 목민의 의절이란 치적을 ꡔ목민심서ꡕ에 실림. 공은 경학과 이학의 연구가 깊고, 눌은 이광정은 당대의 문학하는 선비로 비견할 사람이 드물다고 함. 역해참고 10책, 하락지요 1편, 삼산집 4책 23 柳仲淹 참봉 公奭의 자, 숙부 公季에게
出系, 겸암과 서애의 종숙부, 입암 중영과 從弟 /퇴계문인 /處士 분강서원, 타양서원 겸암과 서애와 동문수학하여 위기지학에 전심함, 34세에 조몰. 비지 南致利와 함께 ‘溪文의 안자’로 세칭됨. 파산일고, 그 외 유실됨. 24 柳仲郢 군수 公綽의 子, 李享禮의 외손 문과/ 황해도관찰사/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 풍산부원군 차자 서애의 貴로 관직이 추증되고 추봉됨. 문집 有 25 柳 㮨 기봉 復起의 손, 도헌 友潛의 子 사마시/ 성균관
진사/ 학문에 정진하여 유림의 重望을 받음. 황해도 유생(인조 8년)에 이어 성균관(효종 1년,1650)에서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을 문묘에 배향하기를 疏請하자 영남 선비들이 백졸암을 疏首로 추대하여 저지함. 공은 黃籤에 붙여 儒籍에서 제명, 과거응시 자격 박탈. 향리에서 후학양성에 전력함. 문집 2책
26 柳致明 형조참의 양파
觀현의 증손, 행원 星休의 손자, 진사 한평 晦文의 子 증광문과/
동암 柳長源, 손재 南漢朝, 대산 李象靖 병조참판/ 퇴계의 淵源適傳으로 불림,대산의 학문을 강명하여 후진을 계몽함. 가례집해, 주절휘요, 대학동자문, 태극도해, 대산실기. 정재문집27책 27 柳徽文 삼산 류정원의
손자, 萬休의 子 /동암 류장원, 손재 남한조, 입재 정종로 장릉참봉/ 손재와 입재에게 師事하여 성리학을 탐구. 璿璣玉衡(혼천의)을 만들어 일월성신의 운행을 봄 소학장구, 소학동자문, 계몽익요, 창랑문답, 염락풍아보유, 주역통편, 문집 10책 28 裵三益 백죽당 裵尙志의 8대손 사마시/문과/퇴계문인 황해도
관찰사/ 도생서원 퇴계에게 ‘臨淵齋桃木村’ 大字와 경재잠, 숙흥야매잠을 받음. 명나라에 가 宗系를 바로잡고 會典改正草本을 받고, 신종황제에게 진귀한 보물 다수를 수상함. 문집 4책 29 邊中一 상의원정 동호
永淸의 손자 문과 을과/ 통정대부 첨지중추부사/ 충효정각, 금고서원
사림의 공의로 불천위 18세에 초야의 백성으로 임란에 사재를 군량미 백석으로 내어 상주진에 보냄.형 백씨 喜一과 진주 김학봉의 진중에 갔으나 학봉이 몰한 후라 곽재우 진에 가 참여함. 선조 30년에 왜병이 침입하자 화왕산성고 도산전지에서 박수춘, 심청 등 여러 의병과 적을 물리침. 간재집 30 李繼陽 李子脩의 증손 진사/ 봉화훈도/
이조판서 향현사 단종이 폐위되자 출사를 단념하고 온혜에 집을 짓고 만년송을 심고 삶. 그곳 국방봉에 단종의 제단을 쌓음. 31 李德弘 농암 이현보의
증손 /퇴계문인 영춘현감/
이조참판 우계서원 퇴계의 명으로 선기옥형을 제작, 유언으로 서적 관리를 맡김.9현에 천거됨. 임진왜란으로 육전의 진도와, 해전의 병도를 첨부한 상소를 방책으로 냄. 호종1등공신에 추증됨. 계산기선록,
주역질의, 사서질의, 심경질의, 고문질의, 가례주해, 주자서절요강록, 주자서절요기의, 심경표제, 간재집 32 李溟翼 별시문과/ 대사간,
충청도
관찰사/ 효종 8년 대교 재직 중 실록을 태백산사고에 봉안. 관찰사 재직때 영남의 세곡을 육로에서 단양 배편으로 운반하여 백성의 부담을 줄임. 영남에도 대동법을 확대 실시토록 건의하여 백성의 조세부담을 공정하게 함. 33 李山斗 병조판서 양정공 樺의 7대손 향시, 소과
생원/
문과/ 지중추부사/ 풍암서원, 어필
영정각 耆老社에 등입되고, 영조가 공의 집에 화공을 보내어 공의 화상을 2점 그리게 하고 친필로 ‘知中樞李山斗’를 써 주고 원손 정조에게 ‘九十歲像’이란 휘호를 쓰게 함. 난졸재집 2책 34 李象靖 수은 이홍조의
현손, 밀암 이재의 외손 문과/
밀암문인 예조참의/
이조판서
(고종) 고산서원 밀암의 문인으로 퇴계의 학문을 講明하여 유림의 宗師가 됨. 퇴계서절요, 경재잠집설, 이기휘편,제양록, 약중편, 병명발휘 35 李詠道 퇴계 李滉의
손자, 寯의 子,
純道의 제 /퇴계에게
수학 원주목사/
이조참판 퇴계가 공은 집안을 이을 소목이라 예견함. 약관에 부친상으로 여묘살이하여 관직에 임명됨. 임진년에 안동에서 의병을 모아 싸우고 明軍에게 군량을 지원하며 명장에게 왜적 정벌의 계책을 변론하여 선무원종훈에 책록됨. 순조조 도에 廟堂을 疏請하여 허락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