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신문은 나의 도반 - 수필가 김창현
재직기간 가장 뜻 깊었던 일은 부처님 오신 날 공휴일제정 앞장
소송불씨는 ‘대불련 청원 기사’ 기획 취재한 템플스테이 참여
그 방송작가들이 쓴 드라마엔 ‘중’ 표기가 ‘스님’으로 바뀌었다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의 <수심결(修心訣)>에
‘섬개투침(纖芥投鍼)’이라는 말이 나온다.
‘섬개투침’은 작은 겨자씨를 공중에 던져놓고 바늘을 던져
그 겨자씨를 관통시킨다는 말이다.
그만큼 사람 몸 받기 어렵고, 정법(正法)을 만나거나
깨달은 성자(聖者)를 만나기가 쉽지 않다는 의미다.
지금은 50년 전 일이 되었지만,
내가 불교신문에 근무하면서 만났던 소중한 인연들을 되돌아본다.
나는 결혼식을 1972년 동국대 안에 있던 조계종 총무원에서 올렸다.
돈이 없어 총무원 강당을 직접 청소하여 결혼식을 올리고,
신혼여행은 속리산 법주사로 갔다.
그때 총무원장 석주스님은 가난한 기자에게
‘우순풍조(雨順風調)’란 뜻 깊은 휘호를 써주셨고,
월주스님은 집 없는 사람에게 고려대 옆 개운사 경내에 있던
민가에서 살라고 하셨다.
당시 불교신문 편집진은 동국대 총장 비서실장 출신
송재운 씨가 편집국장이고, 서울대 사학과 출신 정광호씨가 기획부장,
편집 담당은 동대학보 편집국장 출신 선원빈씨,
취재는 같은 고려대 출신인 나와 고예환 기자가 맡았다.
➲ 고승 인터뷰 ‘귀중한 체험’
이 시절 가장 귀중한 체험은 아마 고승 인터뷰였을 것이다.
중생이 사람 몸 받고 태어나기도 어려운데,
나는 수많은 고승대덕과 정법(正法)을 만났다.
10년이란 시간을 토굴 속에서 면벽참선하고 나온 스님의 얼굴빛은 어떨까?
나는 도봉산 천축사 무문관에서 참선 회향한 손경산스님을 신비롭게 생각했다.
그래 맨 처음 인터뷰하여 그 모습을 독자에게 전달했다.
기독교의 구약 신약처럼, 한 종교에 경전이 없으면 되겠는가?
그렇다고 그 많은 팔만대장경 경전을 다 읽으라고 하겠는가?
1972년 역경원에서 한국 최초로 간략한 <불교성전>을 펴냈다.
나는 그 큰일을 해낸 역경원장 운허스님을 남양주 봉선사로 찾아갔다.
운허스님은 천재였던 춘원 이광수의 사촌이고, 깊이를 헤아리기 어려운
공부가 돋보이던 큰스님이다.
나는 스님을 숲속에 웅크린 범 같은 분이라고 소개했다.
영국 성공회 캔터베리 램지 대주교도 만났다.
그 분이 동국대 이사장실에서 불교지도자들과 대담한
<기독교의 신비사상과 불교의 성불사상>을 취재 보도했다.
참선 배우려고 조계산 송광사 구산스님 따라온 하버드 출신
벽안(碧眼)의 납자들 인터뷰도 했다.
이분들이 지금 서양에서 불교학자로 이름난 분들이 되었다.
그 밖에 총무원 안에서 자연스레 월하, 전강, 대의, 탄허, 녹원, 지관,
경보, 무진장스님 등 한 시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선지식을 만났다.
참선에 대해 알고 싶어 몇 스님은 자주 찾아가 괴롭히기도 했다.
광덕, 법정, 월주, 설조스님은 불교신문에서 직접 모시고 보고 배웠고,
외부에서 원고 주시던 이희승, 이항녕, 이병도, 황산덕, 서정주 교수댁을
들락거리기도 했다.
방송작가들을 가야산 해인사로 초청하여 템플스테이 시킨 일도 기억에 새롭다.
신혼이라고 취재 길을 아내와 함께 갔다. 그때 신랑 따라가 방송작가들한테
인기 독차지한 그 새댁이 지금 칠순이 넘었다.
이서구 신봉승 등 두 대 버스에 동승한 원로작가 70여명이 해인사로 가서,
선방 스님 일상을 1주일 참관한 후부터 절 집안에 대한 인식이 확 달라졌다.
그 후부터 그들이 쓴 드라마에서는 ‘중’이란 말이 ‘스님’이란 표현으로 바뀌었다.
부처님 오신 날 공휴일 제정은 조계종은 물론 모든 불자의 쾌거였다.
특히 소송의 불씨가 됐던 대불련의 ‘부처님 오신 날(당시 사월초파일)
공휴일 제정 청원 기사’를 접한 후 용태영 변호사를 총무원에 소개하고
취재에 정성을 쏟았던 필자도 ‘부처님 오신 날 공휴일 제정
청원 운동’을 불교신문 재직기간 중 가장 뜻 깊은 일로 꼽았다.
➲ 용태영 변호사 총무원에 소개
불교신문 근무 중 가장 뜻 깊은 일은 사월초파일(부처님오신날)
공휴일 제정 청원에 앞장선 일이다.
이 소송의 불씨는 풍전상가에 있던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에서
불교신문에 보낸 부처님 오신 날 공휴일 제정 청원 기사였다.
그 기사를 접한 나는 매우 뜻있는 일이라 생각하여 관심 갖고 크게 보도했다.
그러다가 1973년 어느 날 일간지 귀퉁이에 실려 잘 보이지도 않는
부처님 오신 날 공휴일 제정 촉구 1단짜리 작은 기사를 발견했다.
용태영 변호사란 분이 낸 청구소송이었다.
그래 물어물어 사무실을 찾아갔고, 기자를 반기던 그 분을 총무원에 소개했다.
그 후 그 분이 조계종의 부처님 오신 날 공휴일 제정 자문위원이 되어,
법적인 제 절차를 진행하여 재판에서 승소한 것이다.
당시 재미있던 일은 소장(訴狀)에 기록된 피고는 정부를 대변하는
총무처 장관이고 원고는 조계종이다.
그런데 재판 중에 대구 불자들이 버스를 수십 대 동원하여
법정을 가득 메웠을 때, 피고 총무처 장관의 장모되는 보살님도
사위를 피고로 만든 그 소송에 참여했던 점이다.
소송이 승소한 까닭은 당시 불교신자는 800만,
기독교 신자는 400만인데, 12월25일 성탄절만 공휴일이라면
종교간 형평성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중간에 소송이 고등법원에서 각하되어 대법원에 즉각 상고하고,
곡절 끝에 박정희 대통령에게도 청원서 보내
결국 1975년 1월 국무회의에서 의결하여 결정된 것이다.
이때가 경산스님이 총무원장 하시던 때다.
불교신문 기자로서 절 구경 많이 한 것은 당연하다.
해인사도 가보고, 송광사도 가보고, 청담스님 계신 도선사,
성철스님 계신 해인사, 비구니 도량 진관사도 가보았다.
통도사 홍매화, 선운사 동백, 백양사 단풍 다 구경했다.
산은 오대산, 설악산, 지리산, 달마산 모두 신선의 산이요,
거기 절에서 들려오는 목탁소리는 모두 신선의 음악이다.
때로 마조(馬祖) 백장(白丈)의 어록도 읽었고,
진각, 원감, 태고, 서산대사의 오도송과 임종게도 읽었다.
그런데 지금 와서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나는 이 좋은 인연을 버리고 딴 길로 새버린 것이다.
<불교신문>이 주간지라는 것이 맘에 걸려 일간지로 옮겼고,
그 후 기업체로 옮겨 재벌 비서실장과 회사 대표를 거쳐
대학교수로 은퇴했다.
➲ 진흙탕 50년…108배 참회의 절
이제 생각하니 나는 <삼국유사>에 나오는
세달사 장원관리인 조신스님 같다.
스님은 그 절에 불공드리러 오는 고을태수 김흔공의 딸에게 반하여
낙산사의 관음보살 앞에 나아가 기도하던 중 그 처녀가 나타났다.
그래서 함께 인연을 맺고 속세로 나왔으나,
십 수 년이 지나자 가난을 면치 못했다.
나물죽도 넉넉히 먹을 수 없고, 살던 집마저도 쫓겨나
떠돌다가 아들이 굶어죽어 명주 해현령(蟹峴嶺) 고개 위에 묻어주었다.
부부가 늙고 병들자, 딸아이가 밥을 얻어와 가족을 먹여 살렸는데,
하루는 동네 개에게 물려 아픔을 호소하면서 자리에 누웠다.
그러자 아내가 말했다.
“당신과 처음 만났을 때는 서로 사모하는 정이 아주 깊었지만,
이제 50년을 살고 보니, 나는 당신에게 짐이 되고,
당신은 나 때문에 괴롭습니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모든 것들이 번뇌였습니다.
뭇 새가 모여 있다 함께 굶어 죽기보다는 차라리 짝 없는 새일지라도
살아 있는 게 더 낫지 않겠습니까?
저는 저의 고향으로 갈 테니 당신은 남쪽으로 가십시오.”
그 순간 꿈을 깨어보니 스님의 머리털이 하얗게 세어 있었다.
스님은 하루 밤새에 백년의 고생을 모조리 겪은 듯,
인간 세상의 뜻이 모두 사라져 버렸다.
그래 서로 헤어져 명주 해현령을 지나다가 땅을 파보니,
아들을 묻었던 곳에서 돌미륵불이 나왔다.
스님은 그 미륵불을 깨끗이 씻어서 그 후 정토사라는 절을 지어
수도하고 살다가 열반에 들었다고 한다.
나 역시 사바의 진흙탕을 50년 뒤집어 쓴 이후에야 꿈을 깨었다.
그래 이제는 늦게나마 새벽에 일어나면 불교방송 들으며
<반야심경> 독송하고, 108배 참회의 절 올린다. 생각해보면 첫 직장 불교신문이,
내가 이 세상에서 맺은 인연 중 가장 복된 인연이 아닌가 싶다.
--------------
* 김창현
수필가 김창현은
1944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불교신문ㆍ내외경제신문 기자를 거쳐 아남그룹 회장 비서실장,
아남 프라자 백화점 대표이사, 동우대 교수 등을 역임했다.
<문학시대> 수필로 등단, 남강문학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청다문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책 한 권에 소개한 한국 고전 25편>, 수필집 <한 잎 조각배에 실은 것은>
외 다수의 저서가 있다.
2019년 10월 12일
불교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