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비
남구만선생의 유허비
약천 남구만선생 유적지
동해시 망상동 심곡의 약천마을은 초등학생 때 부터 너무나 잘 알려진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치는 아이는 여태 아니 일어났느냐 재너머 사래 긴밭을 언제 갈려 하느냐>의
저자인 약천 남구만선생이 조선조 중기 인조,효종, 현종, 숙종의 4대에 걸친 정치 거물로,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당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망상 약천에 유배 와있던 선생이 사면되어 풀려나든 약천 남구만 선생이 귀향생활(1년)을 하는 동안 주민들로부터 칭송을 받아 오다가 사면되어 떠난 후일 이곳 주민들이 약천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약천사를 건립하였다.그 이듬해인 1690년 가을에 지은것으로추정하는 ‘동창이 밝았느냐’로 시작하는 이 시조의 배경과 선생의 얼이 남아있는 마을을 살펴볼 수있다.
약천 남구만(1629∼1711)선생은 당시 서인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문장과 서화에도 뛰어났다"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의 지은이이다. 본관은 의령.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미재(美齋).개국공신 재(在)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지방 현령이었던 일성(一星)이다.송준길(宋浚吉)에게 수학, 1656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했다. 정언·이조정랑·집의·응교·사인·승지·대사간·이조참의·대사성 등을 거쳐서 1668년 안변부사·전라도관찰사를, 1674년 함경도관찰사를 지냈다. 숙종초 대사성·형조판서를 거쳐 1679년(숙종 5) 한성부좌윤을 지냈다. 같은 해 남인인 윤휴·허견 등을 탄핵하다가 남해로 유배되었으나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실각하자 도승지·부제학·대사간 등을 지냈다. 병조판서가 되어 무창(茂昌)과 자성(慈城) 2군을 설치했으며, 군정의 어지러움을 많이 개선했다. 이때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나뉘자 소론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1684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이 득세하자 강릉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1694년 갑술옥사로 다시 영의정이 되었고, 1696년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1701년 희빈장씨를 가볍게 처벌하자고 주장했으나 숙종이 희빈장씨를 사사(賜死)하기로 결정하자 사직하고 고향에 내려 갔다. 그뒤 유배·파직 등 파란을 겪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나 1707년 관직에서 물러나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숙종의 묘정에 배향되었고, 강릉의 신석서원(申石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저서로 〈약천집〉·〈주역참동계주 周易參同契註〉가 전한다.
약천정 현판
약천-지명이될 만큼 이름난 샘이다.
약천 샘물
약천사로 들어서기 전에 있는 시비
약천사 전경
약천선생의위패와 영정을 모신 사당인 약천사 삼문-이곳에서 시조 짓기 잔극 대회를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