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메신저로 파일을 받고 싶다면…
윈도우즈 XP에서 인터넷 연결 방화벽 설정을 풀고
MSN 메신저 또는 메신저가 P2P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바탕화면의 '네트워크 환경'의 '속성'을 연 다음 '로컬 영역 연결'을 한번 누른다.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 '속성'을 연 뒤 고급 → 인터넷 연결 방화벽을 끈다.
인터넷 연결 방화벽을 끄면 메신저나, P2P 프로그램을 문제없이 쓸 수 있다.
단, 외부에서 내 PC로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자료를 받은 뒤에 방화벽을 설정하는 방법도 위의 순서대로 하면 된다.
28. '마우스휠'로 편하게
☆ ctrl+마우스휠
컨트롤을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휠을 위 아래로 움직이면 글씨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 shift+마우스휠
shift 키를 누르고 마우스 휠을 위 아래로 움직이면 웹페이지의 앞뒤로 이동 가능
29. 안전한 사이트 감별법
※ 안전한 사이트를 보고 있는지 확인하는 법
일단 'https://'를 입력해 웹페이지를 열 수 있다면 안전한 사이트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이트들은 이렇게 해서는 페이지를 열 수 없다. 쇼핑몰 사이트라면 예외다.
또 다른 방법으로 사이트 안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등록정보' 메뉴를 클릭해 보면 된다.
보안이 유지되는 HTTP인지 여부를 알려준다.
30. 컴퓨터 강제종료 시키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이 안 될 때가 종종 있다. 컴퓨터가 완전히 멈춘 것 같진 않은데 마우스도 움직이지 않고 답답하죠~
이럴 때 재부팅하거나 종료 버튼을 누르는 대신 일단 ctrl + alt + delete 키를 동시에 눌러준다.
그러면 Window 작업관리자 창이 뜬다(위 사진).
작업중인 프로그램을 클릭하고 작업끝내기 버튼을 누르면 O.K
멈춘 프로그램만 종료시키는 방법이다.
컴퓨터가 멈췄을 땐 ctrl + alt + delete를 꾹 눌러주세요!
31. 한달에 한번 컴퓨터 청소
생각하기에 따라서 별로 불편하지는 않다. 집안 청소가 개인 취향이라고 말할 수 있는것과 마찬가지로 컴퓨터 사용도 개인 취향이다. PC통신 시절의 향수를 기억하기 위해서 느려터진 먹통 컴퓨터를 감사하면서 쓴다는 데 누가 뭐라고 할 수 있으랴. 하지만, 한 가지만 알아두자. 자잘한 것도 정리되지 않는 인생은 굉장히 복잡해진다는 것을.
① 하드웨어의 묵은 먼지를 털어내자
컴퓨터 사용 도중에 윈도우(windows)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오류는 그 원인이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 PC에 장착된 여러 가지 부품에 쌓인 먼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당연히, 내부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우선.
전원 스위치를 내리고 → 콘센트에서 전원 케이블을 뽑는다 → 본체를 풀어서 청소기 등으로 먼지를 빨아들인다.
② 마우스 청소는 이쑤시개로
마우스 볼 안쪽의 롤러에 붙은 이물질은 이쑤시개로 제거한다. 볼은 미술용 지우개로 닦으면 간단하다. 한달에 한 번쯤은 해줘야 하는 마우스의 볼 청소가 귀찮다면, 광마우스를 구입하면 간단히 해결된다.
③ 청소하기 귀찮은 모니터, 바탕화면은 검은색으로
모니터는 청소액을 이용해서 제거한다. 안경 닦는 헝겊으로 청소액이 남지 않게 닦는 것이 좋다. 바탕화면은 검은색으로 설정해놓는 것이 좋다. 밝은 색 계통으로 설정했을 때보다 모니터 수명이 오래가고 색상 변화가 적으며 무엇보다 정전기가 덜 생겨서 브라운관에 먼지가 잘 묻지 않는다.
④ 쓰지도 않을 프로그램, 끙끙대며 가지고 있지 말자.
1단계 : 시작 → 설정 →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필요 없는 프로그램은 삭제한다.
2단계 : 프로그램 삭제 후에 ‘흔적’을 남기지 않으려면 프로그램을 삭제하기 전에 프로그램 이름이나 개발사를 메모 → 윈도 탐색기 → ‘C:\Program Files’ 폴더로 이동 → 왼쪽의 폴더 목록에서 메모했던 이름으로 된 폴더를 찾는다 → 해당 폴더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삭제.
⑤ 시작프로그램을 정리한다
시작프로그램이 많이 등록돼 있으면 윈도를 시작할 때 자동으로 실행이 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 시작 실행 → msconfig 입력하고 확인 →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창이 열린 뒤 ‘시작프로그램’ 탭으로 이동 → 제외시킬 프로그램의 선택 표시를 지우고 ‘확인’.
⑥ 며느리도 모르는 스파이웨어는 제거해버리자.
기능이 쓸만해 설치한 무료 프로그램에는 개인 정보를 다른 곳으로 전송하는 스파이웨어(Spyware)가 있는 경우가 있다. 스파이웨어는 사용자 이름, 인터넷 접속 기록, URL 목록 등 다양한 정보를 몰래 빼내는 것은 물론 브라우저에 오류를 발생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