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國經濟論 中間考査(A) 2008. 4. 28
학과: 학번: 학년: 성명:
< O, X >
1. 현재 중국에는 34개의 성과 5개의 자치구, 4개의 직할시, 2개의 특별행정구가 있다. ( )
2. 2006년 말 현재 중국의 총인구는 13억 1,448만 명이며, 행정구역상으로는 뚱베이지방이 1억 817만 명이며, 화베이지방이 1억 5,326만 명, 화둥지방이 2억 9,764만 명, 화중지방이 2억 5,766만 명, 화난지방이 2억 5,198만 명, 씨부지방이 2억 5,284만 명이다. ( )
3. 2006년 말 현재 출생인구의 성별비율을 보면 남자 100명당 여자의 비율은 119.25로써 극심한 여초현상을 보이고 있다. ( )
4. 중국의 민족구성을 보면, 총 56개 민족이 있으며, 한족이 전체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5년 현재 중국정부의 조사에 의하면, 소위 55개 소수민족의 인구는 총인구의 9.44%인 1억 2333만명으로, 이 중 인구가 100만명이 넘는 소수민족은 18개이며, 가장 인구가 많은 소수민족은 좡족(壯族)으로 1,617만 8,800명이며, 인구가 가장 적은 소수민족은 뤄바족(珞巴族)으로 인구가 3,000명이며, 조선족의 인구는 192만 1,500명으로 주로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에 거주하고 있다. ( )
5. 중국의 최상위 행정구역은 직할시(直轄市), 성(省), 자치구(自治區)이며, 이 밑에 지방 행정단위로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향(鄕)과 진(鎭)이 있다. ( )
<짝 찾기>
6. 헤이룽장성(黑龍江省/Heilongjiang)의 성도는? ( )
7. 허베이성(河北省/Hebei)의 성도는? ( )
8.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Xinjiang)의 구도는? ( )
9. 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Neimenggu)의 구도는? ( )
10. 랴오닝성(遼寧省/Liaoning)의 성도는? ( )
① 스자좡(石家莊/Shijiazhuang) ② 후허하오터(呼和浩特/Hohhot) ③ 선양(瀋陽/Shenyang) ④ 우루무치(烏魯木齊/Urumqi) ⑤ 하얼빈(哈爾濱/Harbin)
11. 다음 중에서 성급(省級)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 아닌 것은? ( )
1) 타이베이성(臺北/Taibei) 2) 시짱자치구(西藏自治區/Xizang) 3) 충칭시(重慶市/Chongqing) 4) 마카오(아오먼)특별행정구(澳門特別行政區/Macau(Aomen)) 5)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Xinjiang)
12. 1978년 12월 중공 제11기 중앙위 제3회 전체회의(11기 3중전회)의 내용이 아닌 것은? ( )
1) 경제체제개혁의 신 출발점. 2) 권한의 과다한 집중 비판 3) 중국 경제관리체제 특유의 심각한 결함 비판(홍ㆍ전(紅ㆍ專)의 대립) 4) 중앙, 지방, 기업, 근로자의 창의력 발휘를 위한 과감한 권한의 이양 5)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큰솥밥, 쇠솥밥 장려
13. 중국정부는 1979년 7월에 “중외합판기업법” 공포(외자도입을 위하여)하여 광동성, 복건성의 대외경제활동의 자주권 확대하고자 4개 항구도시를 개방하여 ‘수출가공구’를 설치하고, 80년 3월 ‘경제특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중 아닌 것은? ( )
1) 심천(深圳) 2) 주해(珠海) 3) 천진(天津) 4) 하문(厦門) 5) 산두(汕頭)
14. 1984년 7월 중국인민은행이 심천 경제특구에 분행을 설치하며 주여한 권한이 아닌 것은? ( )
1) 특구통화의 발행 2) 신용대부 자금 관리 3) 금과 은의 거래 및 특구에 대한 금융통계의 작성 및 발표 4) 국채의 발행과 태환 5) 인민정부를 대신한 국제투기자본의 통제 활동
15. 다음 중 태평천국의 상업정책이 아닌 것은? ( )
1) 상가(商賈)의 자본은 모두 천부(天父)의 것이고, 모두 성고에 납입하여야 한다. 2) 시장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인조’, ‘상빙’을 교부하였다. 3) 빈민에게 자금 지급하는 상업원조정책을 시행하여 빈민들을 상공업에 종사케 하였다. 4) 중요 상품을 국영화하여 소금을 전매하였으며, 염사수를 설치하여 염정을 관리하였다. 5) 대외무역정책에는 엄격한 통제를 시행하여 외국 상인들의 아편밀매를 엄금하였고, 태평천국의 영내 출입도 철저히 통제하였다.
16. 2006년 말 현재 산둥성(山東省/Shandong)의 인구는? ( )
1) 9,309만명 2) 1,581만명 3) 2,808만명 4) 281만명 5) 4,271만명
17. 2006년 말 현재 베이징시(北京市/Beijing)의 인구는? ( )
1) 9,309만명 2) 1,581만명 3) 2,808만명 4) 281만명 5) 4,271만명
18. 2006년 말 현재 충칭시(重慶市/Chongqing)의 인구는? ( )
1) 9,309만명 2) 1,581만명 3) 2,808만명 4) 281만명 5) 4,271만명
19-20. 모택동이 대약진운동의 실패를 자아비판 후 1961년에 실각되고, 오함(吳晗)의 경 ‘해서파관(海瑞罷官)’에 대해 요문원(姚文元)이 상해 문회보에 ‘논신사극해서파관’을 발표하여 1965년부터 문화대혁명 시작되었다. 이 당시 논쟁이 되었던 생산력(우경, 기회주의, 수정주의)과 생산관계(좌경, 평균주의) 논쟁의 한 축이 되었던 ‘태평천국의 평등사상’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中國經濟論 中間考査(B) 2008. 4. 28
학과: 학번: 학년: 성명:
< O, X >
1. 중국의 최상위 행정구역은 직할시(直轄市), 성(省), 자치구(自治區)이며, 이 밑에 지방 행정단위로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향(鄕)과 진(鎭)이 있다. ( )
2. 중국의 민족구성을 보면, 총 56개 민족이 있으며, 한족이 전체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5년 현재 중국정부의 조사에 의하면, 소위 55개 소수민족의 인구는 총인구의 9.44%인 1억 2333만명으로, 이 중 인구가 100만명이 넘는 소수민족은 18개이며, 가장 인구가 많은 소수민족은 좡족(壯族)으로 1,617만 8,800명이며, 인구가 가장 적은 소수민족은 뤄바족(珞巴族)으로 인구가 3,000명이며, 조선족의 인구는 192만 1,500명으로 주로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에 거주하고 있다. ( )
3. 현재 중국에는 34개의 성과 5개의 자치구, 4개의 직할시, 2개의 특별행정구가 있다. ( )
4. 2006년 말 현재 중국의 총인구는 13억 1,448만 명이며, 행정구역상으로는 뚱베이지방이 1억 817만 명이며, 화베이지방이 1억 5,326만 명, 화둥지방이 2억 9,764만 명, 화중지방이 2억 5,766만 명, 화난지방이 2억 5,198만 명, 씨부지방이 2억 5,284만 명이다. ( )
5. 2006년 말 현재 출생인구의 성별비율을 보면 남자 100명당 여자의 비율은 119.25로써 극심한 여초현상을 보이고 있다. ( )
<짝 찾기>
6. 랴오닝성(遼寧省/Liaoning)의 성도는? ( )
7. 허베이성(河北省/Hebei)의 성도는? ( )
8. 헤이룽장성(黑龍江省/Heilongjiang)의 성도는? ( )
9. 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Neimenggu)의 구도는? ( )
10.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Xinjiang)의 구도는? ( )
① 하얼빈(哈爾濱/Harbin) ② 후허하오터(呼和浩特/Hohhot) ③ 선양(瀋陽/Shenyang) ④ 우루무치(烏魯木齊/Urumqi) ⑤ 스자좡(石家莊/Shijiazhuang)
11. 다음 중에서 성급(省級)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 아닌 것은? ( )
1) 마카오(아오먼)특별행정구(澳門特別行政區/Macau(Aomen)) 2) 시짱자치구(西藏自治區/Xizang) 3) 충칭시(重慶市/Chongqing) 4) 타이베이성(臺北/Taibei) 5)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Xinjiang)
12. 1978년 12월 중공 제11기 중앙위 제3회 전체회의(11기 3중전회)의 내용이 아닌 것은? ( )
1)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큰솥밥, 쇠솥밥 장려 2) 권한의 과다한 집중 비판 3) 중국 경제관리체제 특유의 심각한 결함 비판(홍ㆍ전(紅ㆍ專)의 대립) 4) 중앙, 지방, 기업, 근로자의 창의력 발휘를 위한 과감한 권한의 이양 5) 경제체제개혁의 신 출발점
13. 중국정부는 1979년 7월에 “중외합판기업법” 공포(외자도입을 위하여)하여 광동성, 복건성의 대외경제활동의 자주권 확대하고자 4개 항구도시를 개방하여 ‘수출가공구’를 설치하고, 80년 3월 ‘경제특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중 아닌 것은? ( )
1) 산두(汕頭) 2) 주해(珠海) 3) 심천(深圳) 4) 하문(厦門) 5) 천진(天津)
14. 1984년 7월 중국인민은행이 심천 경제특구에 분행을 설치하며 주여한 권한이 아닌 것은? ( )
1) 국채의 발행과 태환 2) 신용대부 자금 관리 3) 금과 은의 거래 및 특구에 대한 금융통계의 작성 및 발표 4) 특구통화의 발행 5) 인민정부를 대신한 국제투기자본의 활동 통제
15. 다음 중 태평천국의 상업정책이 아닌 것은? ( )
1) 상가(商賈)의 자본은 모두 천부(天父)의 것이고, 모두 성고에 납입하여야 한다. 2) 시장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인조’, ‘상빙’을 교부하였다. 3) 대외무역정책에는 엄격한 통제를 시행하여 외국 상인들의 아편밀매를 엄금하였고, 태평천국의 영내 출입도 철저히 통제하였다. 4) 중요 상품을 국영화하여 소금을 전매하였으며, 염사수를 설치하여 염정을 관리하였다. 5) 빈민에게 자금 지급하는 상업원조정책을 시행하여 빈민들을 상공업에 종사케 하였다.
16. 2006년 말 현재 충칭시(重慶市/Chongqing)의 인구는? ( )
1) 9,309만명 2) 1,581만명 3) 2,808만명 4) 281만명 5) 4,271만명
17. 2006년 말 현재 베이징시(北京市/Beijing)의 인구는? ( )
1) 9,309만명 2) 1,581만명 3) 2,808만명 4) 281만명 5) 4,271만명
18. 2006년 말 현재 산둥성(山東省/Shandong)의 인구는? ( )
1) 9,309만명 2) 1,581만명 3) 2,808만명 4) 281만명 5) 4,271만명
19-20. 모택동이 대약진운동의 실패를 자아비판 후 1961년에 실각되고, 오함(吳晗)의 경극 ‘해서파관(海瑞罷官)’에 대해 요문원(姚文元)이 상해 문회보에 ‘논신사극해서파관’을 발표하여 1965년부터 문화대혁명 시작되었다. 이 당시 논쟁이 되었던 생산력(우경, 기회주의, 수정주의)과 생산관계(좌경, 평균주의) 논쟁의 한 축이 되었던 ‘태평천국의 평등사상’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중국경제론 기말고사(A) 2008. 6. 16
학과: 학번: 학년: 성명:
1. 다음 중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의 설명 중 틀린 것은? ( )
1) 국가 최고 권력기관의 집행기관으로, 현재 국무원 총리는 원지아바오(溫家宝)이다. 2) 국무원은 총서기가 정부를 책임지며, 각부, 각 위원회는 부장과 주임이 책임을 진다. 3) 국가의 최고 행정기관이다. 4) 구성은 총리, 부총리, 국무위원, 각부 부장, 각 위원회 주임, 심계장(통계청장), 비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5) 국무원은 중앙인민정부이다.
2. 다음 중 인민해방군(人民解放軍)을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 )
1) 1927년부터 1937년의 국공내전 기간에는 ‘중국공농홍군(中國工農紅軍)’이라고 하였다. 2) 제2전략핵군단은 중앙군사위원회의 직속으로, 지대지 전략 핵무기 사용을 지휘하며, 중거리, 원거리, 대륙간 탄도탄 부대 및 공정, 정찰, 기상, 통역, 운수 등을 포함하는 전문기술 부대이다. 3) 1937년부터 1945년의 항일전쟁시기에는 중국국민당 군사위원회에 편입되어 120만 병력의 ‘팔로군(八路軍)’, ‘신사군(新四軍)’으로 편성되었다. 4) 1945년부터 1949년의 국공내전 기간에 ‘중국인민해방군(1947년 9월)’으로 명칭을 바꾸어 건국 직전에는 460만 병력의 대군으로 성장하였다. 5) 1927년 8월 1일 남창봉기를 계기로 창건되었다.
3. 중국의 FTA 추진전략이 아닌 것은? ( )
1)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뒷받침하는 데 필수적인 에너지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는 중국이 쩌우추취(走出去: 해외진출) 전략과 FTA 전략을 연계해 자원이 풍부한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을 전략적으로 강화하고 있음. 2) 동기는 에너지자원 확보, 자국 중심의 지역주의 형성과 같은 전략적 동기임. 3) 중국이 한국과의 FTA에서 기대하는 동기는 자국 중심의 지역주의 형성을 촉진하려는 전략적 목표가 최우선 순위이고, 에너지자원 확보, 시장확대, 대(對)선진국 우회수출 등의 경제적인 측면은 적음. 4) 국가(지역)별로는 인접지역과 개도국 우선임. 5) 중국이 FTA를 지역경제통합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나아가 자국을 중심으로 한 지역주의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함.
4. 한ㆍ중ㆍ일의 무역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
1)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국제수지 흑자를 시현하고 있다. 2) 일본은 중국으로부터 국제수지 흑자를 시현하고 있다. 3) 중국은 일본으로부터 국제수지 적자를 시현하고 있다. 4) 한국은 중국으로부터 국제수지 적자를 시현하고 있다. 5) 중국은 한국으로부터 국제수지 적자를 시현하고 있다.
5. 조자양이 중국의 현단계를 사회주의 초급단계라고 주장하며 생산력 부문에서의 부정적 측면으로 거론한 것이 아닌 것은? ( )
1) 문맹ㆍ반문맹이 전체인구의 1/4 2) 농업에서의 사회주의적 생산관계의 성립 3) 공업부문에서의 이중구조 존재(발전된 부문과 후진적 부문) 4)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과 평범한 기술의 공존 5) 낮은 1인당 국민총생산(높은 인구문제)
6. 조자양이 중국의 현단계를 사회주의 초급단계라고 주장하며 상부구조 부문의 부정적 측면으로 거론한 것이 아닌 것은? ( )
1)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경제ㆍ문화적 조건의 불충분 2) 봉건주의ㆍ자본주의의 부패한 사상의 온존 3) 소생산의 관습적 세력의 온존(쁘띠 부르조아적 기질) 4) 이들 소생산자 세력의 당과 국가공무원에 대한 도발이 상존 5) 경제가 발전된 지역과 미발전된 지역, 빈곤지역의 공존
7. 다음 중 사회주의 초급단계의 개념 규정과 관계가 없는 것은? ( )
1) 중국이라는 특정한 국가가 생산력이 낙후되고 상품경제가 발달하지 못한 조건하에서 사회주의를 건설하기 위해 겪어야만 하는 특정의 단계. 2) 사회주의 이전의 사회도 아니고, 현대화된 사회주의 단계도 아닌 단계. 3) 주요모순은 인민들의 증대하는 물질ㆍ문화적 수요와 낙후된 사회생산력 사이의 모순. 4) 계급투쟁은 모택동의 영구혁명론과 함께 영원한 주요모순임. 5) 초급단계의 기간은 장구한 세월이 될 수 도 있음.
8. 2006년 말 현재, 중국의 비금융 대외직접투자 상위 5개 국가 및 지역이 아닌 것은? ( )
1) 홍콩 2) 미국 3) 케이만군도 4) 버진아일랜드 5) 한국
9. 중국 공산당의 기본노선 중에서 4개의 기본원칙이 아닌 것은? ( )
1) 개혁ㆍ개방 2) 사회주의 노선의 견지 3) 인민민주독재의 견지 4) 중국 공산당 영도의 견지 5) 맑스 레닌주의ㆍ모택동사상의 견지
10. 다음은 중국의 주식종류이다. 틀린 것은? ( )
1) A주: 내국인 용 2) B주: 외국인 용 3) H주: 홍콩에서 상장된 주식. 국유기업 중에서 경영실적이 우수한 기업에 한하여 H주식을 발행할 수 있게 하고, 발행기준과 투명성 기준을 일반주식보다 높게 요구함. 4) Red Chip: 중국 정부 및 단체가 홍콩에서 설립한 기업의 주식(예; 차이나 텔레콤). 5) T주: 상해시장에 상장된 기술주
11. 다음은 구매력 평가를 통해 본 중국의 GDP 통계이다. 틀린 것은? ( )
1) 명목환율로 환산한 중국의 GDP는 2000년 현재 1조 달러이지만, 구매력 평가를 통해 본 중국의 GDP는 5.7조 달러로 추산된다. 2) 구매력평가를 통한 중국의 1인당 GDP는 4,743달러에 이르고 있다. 3) 구매력 평가를 통해 본 중국의 GDP는 일본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4) 구매력 평가를 통해 본 중국의 GDP는 미국보다 낮고, 일본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5) 중국의 1인당 GDP는 875달러에 불과하지만, 구매력 평가를 통해 본 중국의 1인당 GDP는 미국보다 낮고 일본보다 높다.
12. 중국의 점진적 개방정책을 표현한 내용은? ( )
1) 전방위 → 점 → 선 → 면 → 서부대개발 → 동북진흥개발 2) 점 → 전방위 → 선 → 면 → 동북진흥개발 → 서부대개발 3) 점 → 선 → 면 → 전방위 → 서부대개발 → 동북진흥개발 4) 동북진흥개발 → 서부대개발 → 면 → 선 → 점 → 전방위 5) 점 → 선 → 면 → 동북진흥개발 → 서부대개발
13. 중국의 동북3성 지역의 경제 상황을 설명하는 내용 중 틀린 것은? ( )
1) 자본집약적 중화학 공업이 집중된 지역 2) 정보화와 정보산업의 발전을 통한 ‘신형공업화’를 통하여 효율성 높은 전통산업을 정보산업으로 대체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3) 이 지역은 대규모의 국영기업이 중심이 되어 있다. 4) 개혁ㆍ개방 과정에서 경쟁의 격화와 수익성 악화, 대규모 부실채권, 도산이라는 악순환에 직면하였다. 5) 대표적인 업종은 철강, 비철금속, 석유화학, 자동차, 기계장비, 석탄, 건자재 등이다.
14. 동북3성 지역의 경제체제와 시장메커니즘이 낙후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제시된 새로운 개발전략이 아닌 것은? ( )
1) 국유기업의 구조조정 및 개혁의 가속화 2) 기업경영시스템과 관련 법제도의 정비 3) 민간자본 유치를 통한 비공유기업의 발전 4) 중앙정부의 적극적 재정지원을 통한 정부 통제력의 강화 5) 대외개방을 촉진하기 위하여 외국자본에 의한 M&A, 지분참여를 촉진하여 국유기업의 개혁과 부실채권 문제도 함께 해결
15. 동북3성 지역의 경제현안(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아닌 것은? ( )
1) 동북3성의 국유기업 종업원 수는 전국의 9.7%를 차지하여 인력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2) 국유기업의 종업원 비중은 전국이 49%인데 반하여, 랴오닝성은 64%, 지린성은 76%, 헤이룽장성은 무려 83%에 달하고 있다. 3) 도시등록 실업자 수도 140만 명으로 전국의 18.2%에 달하고 있다. 4) 동북3성의 전통산업은 대부분이 대규모의 국유기업 형태로 집중되어 있다. 5) 2002년 말 현재, 동북3성에는 약 900여개의 중앙소속기업 및 그 자회사가 있으며, 공업기업이 400여개로서 자산총액은 6,096억 위안에 달하고 있지만, 이들 900여개의 국유기업 가운데 371개 기업이 적자를 보이고 있다.
16. 구조개혁, 특히 국유기업 개혁을 통한 재산권 제도를 개혁하여 자생능력을 구축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삼고, 이를 기반으로 설비제조, 석유화학, 에너지, 식품, 의약, 삼림공업 등 6대 기지 건설로 비교우위 산업을 발굴 육성하고자 하는 성의 이름은? ( )
1) 요녕성 2) 길림성 3) 산동성 4) 하얼빈성 5) 흑룡강성
17. 다음 중 틀린 설명은 어는 것인가? ( )
1) 동북3성의 도시가구 1인당 가처분소득은 전국 수준보다 낮다. 2) 동북3성의 도시가구 1인당 가처분소득의 증가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다. 3) 동북3성의 도시가구 1인당 가처분소득은 전국 평균과의 격차는 축소되고 있다. 4) 농촌가구 1인당 순소득액은 요녕성이 전국 수준보다 높다. 5) 동북3성의 농촌가구 1인당 순소득액의 증가율은 전국 평균 증가율보다 낮다.
18. 두만강 개발계획 중에서 두만강 하류지역을 잇는 대삼각(大三角)을 설명한 내용은? ( )
1) 중국의 연길, 북한의 청진, 러시아의 하바로프스크를 잇는 10,000㎢의 광대한 지역 2) 중국의 훈춘, 북한의 나진, 러시아의 포시에트 지역 3) 두만강경제구(TREZ)으로 개발하겠다는 사업의 명칭 4) 훈춘 수출가공공업구 개발계획은 포함되지 않는다. 5) 길림성정부의 구상은 하나의 핵, 두개의 축, 세개 띠를 잇는 것으로, 두 개의 축은 훈춘에서 자루비노항을 잇는 축과, 흑룡강의 목단강, 길림의 연변, 통화, 백산에서 요녕의 단동을 있는 동북동부철도이다.
19. WTO 가입은 중국의 시장 개방을 앞당겨 시장경제 체제로의 전환을 더욱 촉진하게 될 것이다. 중국의 WTO 가입년도는? ( )
1) 2001년 12월 2) 1989년 6월 3) 2003년 12월 4) 2006년 12월 5) 2007년 1월
20. 다음 중 중국의 증권시장을 설명한 내용이다. 틀린 것은? ( )
1) 중국의 증권시장은 1986년부터 증권거래가 시작되어 1990년 12월에 중국 최초의 증권시장이 상하이와 선전에서 설립되었다. 2) 2006년 중국은행, 중국공상은행 등이 주식시장에 성공적으로 상장됨으로써 증권시장의 자금조달 및 자원배분 기능이 크게 강화됨. 3) 중국은행과 중국공상은행은 ‘A+H’모델을 이용하여 중국 본토와 홍콩에서 동시에 상장함. 4) 중국은 주식시장에의 상장시, 국가주와 법인주를 발행하고 있다. 5) 내국인주(A주)와 외국인주(B주)를 분리함으로써 주식유통을 통해 국가의 소유권이 위협받을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였다.
중국경제론 기말고사(B) 2008. 6. 16
학과: 학번: 학년: 성명:
1. 다음 중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의 설명 중 틀린 것은? ( )
1) 국무원은 중앙인민정부이다. 2) 국무원은 총서기가 정부를 책임지며, 각부, 각 위원회는 부장과 주임이 책임을 진다. 3) 국가의 최고 행정기관이다. 4) 구성은 총리, 부총리, 국무위원, 각부 부장, 각 위원회 주임, 심계장(통계청장), 비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5) 국가 최고 권력기관의 집행기관으로, 현재 국무원 총리는 원지아바오(溫家宝)이다.
2. 다음 중 인민해방군(人民解放軍)을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 )
1) 제2전략핵군단은 중앙군사위원회의 직속으로, 지대지 전략 핵무기 사용을 지휘하며, 중거리, 원거리, 대륙간 탄도탄 부대 및 공정, 정찰, 기상, 통역, 운수 등을 포함하는 전문기술 부대이다. 2) 1927년부터 1937년의 국공내전 기간에는 ‘중국공농홍군(中國工農紅軍)’이라고 하였다. 3) 1937년부터 1945년의 항일전쟁시기에는 중국국민당 군사위원회에 편입되어 120만 병력의 ‘팔로군(八路軍)’, ‘신사군(新四軍)’으로 편성되었다. 4) 1945년부터 1949년의 국공내전 기간에 ‘중국인민해방군(1947년 9월)’으로 명칭을 바꾸어 건국 직전에는 460만 병력의 대군으로 성장하였다. 5) 1927년 8월 1일 남창봉기를 계기로 창건되었다.
3. 중국의 FTA 추진전략이 아닌 것은? ( )
1) 국가(지역)별로는 인접지역과 개도국 우선임. 2) 동기는 에너지자원 확보, 자국 중심의 지역주의 형성과 같은 전략적 동기임. 3) 중국이 한국과의 FTA에서 기대하는 동기는 자국 중심의 지역주의 형성을 촉진하려는 전략적 목표가 최우선 순위이고, 에너지자원 확보, 시장확대, 대(對)선진국 우회수출 등의 경제적인 측면은 적음. 4)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뒷받침하는 데 필수적인 에너지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는 중국이 쩌우추취(走出去: 해외진출) 전략과 FTA 전략을 연계해 자원이 풍부한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을 전략적으로 강화하고 있음. 5) 중국이 FTA를 지역경제통합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나아가 자국을 중심으로 한 지역주의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함.
4. 한ㆍ중ㆍ일의 무역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
1) 한국은 중국으로부터 국제수지 적자를 시현하고 있다. 2) 일본은 중국으로부터 국제수지 흑자를 시현하고 있다. 3) 중국은 일본으로부터 국제수지 적자를 시현하고 있다. 4)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국제수지 흑자를 시현하고 있다. 5) 중국은 한국으로부터 국제수지 적자를 시현하고 있다.
5. 조자양이 중국의 현단계를 사회주의 초급단계라고 주장하며 생산력 부문에서의 부정적 측면으로 거론한 것이 아닌 것은? ( )
1) 낮은 1인당 국민총생산(높은 인구문제) 2) 농업에서의 사회주의적 생산관계의 성립 3) 공업부문에서의 이중구조 존재(발전된 부문과 후진적 부문) 4)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과 평범한 기술의 공존 5) 문맹ㆍ반문맹이 전체인구의 1/4
6. 조자양이 중국의 현단계를 사회주의 초급단계라고 주장하며 상부구조 부문의 부정적 측면으로 거론한 것이 아닌 것은? ( )
1) 소생산자 세력의 당과 국가공무원에 대한 도발이 상존 2) 봉건주의ㆍ자본주의의 부패한 사상의 온존 3) 소생산의 관습적 세력의 온존(쁘띠 부르조아적 기질) 4)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경제ㆍ문화적 조건의 불충분 5) 경제가 발전된 지역과 미발전된 지역, 빈곤지역의 공존
7. 다음 중 사회주의 초급단계의 개념 규정과 관계가 없는 것은? ( )
1) 사회주의 이전의 사회도 아니고, 현대화된 사회주의 단계도 아닌 단계. 2) 중국이라는 특정한 국가가 생산력이 낙후되고 상품경제가 발달하지 못한 조건하에서 사회주의를 건설하기 위해 겪어야만 하는 특정의 단계.3) 주요모순은 인민들의 증대하는 물질ㆍ문화적 수요와 낙후된 사회생산력 사이의 모순. 4) 계급투쟁은 모택동의 영구혁명론과 함께 영원한 주요모순임. 5) 초급단계의 기간은 장구한 세월이 될 수 도 있음.
8. 2006년 말 현재, 중국의 비금융 대외직접투자 상위 5개 국가 및 지역이 아닌 것은? ( )
1) 한국 2) 미국 3) 케이만군도 4) 버진아일랜드 5) 홍콩
9. 중국 공산당의 기본노선 중에서 4개의 기본원칙이 아닌 것은? ( )
1) 중국 공산당 영도의 견지 2) 사회주의 노선의 견지 3) 인민민주독재의 견지 4) 개혁ㆍ개방 5) 맑스 레닌주의ㆍ모택동사상의 견지
10. 다음은 중국의 주식종류이다. 틀린 것은? ( )
1) T주: 상해시장에 상장된 기술주 2) B주: 외국인 용 3) H주: 홍콩에서 상장된 주식. 국유기업 중에서 경영실적이 우수한 기업에 한하여 H주식을 발행할 수 있게 하고, 발행기준과 투명성 기준을 일반주식보다 높게 요구함. 4) Red Chip: 중국 정부 및 단체가 홍콩에서 설립한 기업의 주식(예; 차이나 텔레콤). 5) A주: 내국인 용
11. 다음은 구매력 평가를 통해 본 중국의 GDP 통계이다. 틀린 것은? ( )
1) 명목환율로 환산한 중국의 GDP는 2000년 현재 1조 달러이지만, 구매력 평가를 통해 본 중국의 GDP는 5.7조 달러로 추산된다. 2) 구매력평가를 통한 중국의 1인당 GDP는 4,743달러에 이르고 있다. 3) 구매력 평가를 통해 본 중국의 GDP는 일본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4) 구매력 평가를 통해 본 중국의 GDP는 미국보다 낮고, 일본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5) 중국의 1인당 GDP는 875달러에 불과하지만, 구매력 평가를 통해 본 중국의 1인당 GDP는 미국보다 낮고 일본보다 높다.
12. 중국의 점진적 개방정책을 표현한 내용은? ( )
1) 점 → 선 → 면 → 동북진흥개발 → 서부대개발 2) 점 → 전방위 → 선 → 면 → 동북진흥개발 → 서부대개발 3) 점 → 선 → 면 → 전방위 → 서부대개발 → 동북진흥개발 4) 동북진흥개발 → 서부대개발 → 면 → 선 → 점 → 전방위 5) 전방위 → 점 → 선 → 면 → 서부대개발 → 동북진흥개발
13. 중국의 동북3성 지역의 경제 상황을 설명하는 내용 중 틀린 것은? ( )
1) 자본집약적 중화학 공업이 집중된 지역 2) 정보화와 정보산업의 발전을 통한 ‘신형공업화’를 통하여 효율성 높은 전통산업을 정보산업으로 대체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3) 이 지역은 대규모의 국영기업이 중심이 되어 있다. 4) 개혁ㆍ개방 과정에서 경쟁의 격화와 수익성 악화, 대규모 부실채권, 도산이라는 악순환에 직면하였다. 5) 대표적인 업종은 철강, 비철금속, 석유화학, 자동차, 기계장비, 석탄, 건자재 등이다.
14. 동북3성 지역의 경제체제와 시장메커니즘이 낙후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제시된 새로운 개발전략이 아닌 것은? ( )
1) 국유기업의 구조조정 및 개혁의 가속화 2) 기업경영시스템과 관련 법제도의 정비 3) 민간자본 유치를 통한 비공유기업의 발전 4) 중앙정부의 적극적 재정지원을 통한 정부 통제력의 강화 5) 대외개방을 촉진하기 위하여 외국자본에 의한 M&A, 지분참여를 촉진하여 국유기업의 개혁과 부실채권 문제도 함께 해결
15. 동북3성 지역의 경제현안(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아닌 것은? ( )
1) 동북3성의 국유기업 종업원 수는 전국의 9.7%를 차지하여 인력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2) 국유기업의 종업원 비중은 전국이 49%인데 반하여, 랴오닝성은 64%, 지린성은 76%, 헤이룽장성은 무려 83%에 달하고 있다. 3) 도시등록 실업자 수도 140만 명으로 전국의 18.2%에 달하고 있다. 4) 동북3성의 전통산업은 대부분이 대규모의 국유기업 형태로 집중되어 있다. 5) 2002년 말 현재, 동북3성에는 약 900여개의 중앙소속기업 및 그 자회사가 있으며, 공업기업이 400여개로서 자산총액은 6,096억 위안에 달하고 있지만, 이들 900여개의 국유기업 가운데 371개 기업이 적자를 보이고 있다.
16. 구조개혁, 특히 국유기업 개혁을 통한 재산권 제도를 개혁하여 자생능력을 구축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삼고, 이를 기반으로 설비제조, 석유화학, 에너지, 식품, 의약, 삼림공업 등 6대 기지 건설로 비교우위 산업을 발굴 육성하고자 하는 성의 이름은? ( )
1) 요녕성 2) 길림성 3) 산동성 4) 하얼빈성 5) 흑룡강성
17. 다음 중 틀린 설명은 어는 것인가? ( )
1) 동북3성의 도시가구 1인당 가처분소득은 전국 수준보다 낮다. 2) 동북3성의 도시가구 1인당 가처분소득의 증가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다. 3) 동북3성의 도시가구 1인당 가처분소득은 전국 평균과의 격차는 축소되고 있다. 4) 농촌가구 1인당 순소득액은 요녕성이 전국 수준보다 높다. 5) 동북3성의 농촌가구 1인당 순소득액의 증가율은 전국 평균 증가율보다 낮다.
18. 두만강 개발계획 중에서 두만강 하류지역을 잇는 대삼각(大三角)을 설명한 내용은? ( )
1) 중국의 연길, 북한의 청진, 러시아의 하바로프스크를 잇는 10,000㎢의 광대한 지역 2) 중국의 훈춘, 북한의 나진, 러시아의 포시에트 지역 3) 두만강경제구(TREZ)으로 개발하겠다는 사업의 명칭 4) 훈춘 수출가공공업구 개발계획은 포함되지 않는다. 5) 길림성정부의 구상은 하나의 핵, 두개의 축, 세개 띠를 잇는 것으로, 두 개의 축은 훈춘에서 자루비노항을 잇는 축과, 흑룡강의 목단강, 길림의 연변, 통화, 백산에서 요녕의 단동을 있는 동북동부철도이다.
19. WTO 가입은 중국의 시장 개방을 앞당겨 시장경제 체제로의 전환을 더욱 촉진하게 될 것이다. 중국의 WTO 가입년도는? ( )
1) 2007년 1월 2) 1989년 6월 3) 2003년 12월 4) 2006년 12월 5) 2001년 12월
20. 다음 중 중국의 증권시장을 설명한 내용이다. 틀린 것은? ( )
1) 중국은 주식시장에의 상장시, 국가주와 법인주를 발행하고 있다. 2) 2006년 중국은행, 중국공상은행 등이 주식시장에 성공적으로 상장됨으로써 증권시장의 자금조달 및 자원배분 기능이 크게 강화됨. 3) 중국은행과 중국공상은행은 ‘A+H’모델을 이용하여 중국 본토와 홍콩에서 동시에 상장함. 4) 중국의 증권시장은 1986년부터 증권거래가 시작되어 1990년 12월에 중국 최초의 증권시장이 상하이와 선전에서 설립되었다. 5) 내국인주(A주)와 외국인주(B주)를 분리함으로써 주식유통을 통해 국가의 소유권이 위협받을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