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emporal Lobes
측두엽


slide 32
Overview
The temporal lobes contain a large number of substructures, whose functions include perception, face recognition, object recognition, memory acquisition, understanding language, and emotional reactions. Damage to the temporal lobes can result in intriguing neurological deficits called agnosias, which refer to the inability to recognize specific categories (body parts, colors, faces, music, smells).
Case study
Deep stimulation of the temporal lobe has been shown to produce profound religious and out–of–body experiences (Previc, 2006).
(개요)
측두엽은 많은 하위구조를 포함하는데 그 하위 구조들의 기능은 인지, 표정인식, 사물인식, 기억습득, 언어이해 그리고 감정적 반응들이다. 측두엽 손상은 인지불능증이라는 신경학적 결함을 초래하는데 그것은 신체부분, 색상, 얼굴, 음악, 냄새 같은 특정 카테고리를 인식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연구사례)
측두엽의 깊은 자극은 심오한 종교적 그리고 유체이탈의 경험을 만들어 낸다고 보인다.
slide 33
Associated functions
-Recognition
-Perception (hearing, vision, smell)
-Understanding language
-Learning and memory
<관련 기능>
- 인식
- 지각 (청각, 시각, 후각)
- 언어이해
- 학습 및 기억
Associated cognitive disorders
-Schizophrenia is the cognitive disorder most closely aligned to temporal lobe dysfunction. Iritani (2007) reviews neuropathological abnormalities in schizophrenia, suggesting that it may be considered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The primary impairment in early Alzheimer's may be traced to the medial temporal lobe, and speech and social dysfunction in autism has been linked to the superior temporal sulcus (Redcay, 2008).
<관련된 인지 장애>
정신분열증은 측두엽 비정상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는 인지장애이다. Iritani (2007)는 정신분열증에서 신경병리학적 비정상들은 신경 발달적 장애로 여겨진다고 나타내고 있다. 초기 알츠하이머 질병의 주된 손상은 중측두엽에서 유래될 가능성이 있고 자폐증에서 언어와 사회적 소통에서의 기능장애는 바로 상측두의 고랑에 연결되어있다.
slide 34
Associated with damag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speech (Wernicke's aphasia),
faces (prosopagnosia), and objects (agnosia)
-Inability to attend to sensory input
-Persistent talking
-Long–and short–term memory loss
-Increased/decreased interest in sexual behavior
-Aggression
<관련된 손상>
- 말이나 얼굴, 사물을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입력된 감각에 주의를 집중할 수 없음
- 지속적인 대화의 불능
- 장기 및 단기 기억 상실
- 성적 행동에 증가 또는 반응에 관심
- 공격성
slide 35
Substructures
-amygdala
-primary auditory cortex
-superior temporal gyrus
-Wernicke's area
-middle temporal gyrus
-middle temporal gyrus
-inferior temporal gyrus
-fusiform gyrus
-Note: In some conventions, the amygdala, cingulate cortex basal ganglia, hippocampus and parahippocampal gyrus are considered to be temporal lobe structures, in others they are not.
<하위구조>
- 편도체
- 일차 청각 피질
- 상측두회
- 베르 니케 영역
- 상측두회
- 중측두회
- 하측두회
- 방추회
참고-어떤 곳에서는 편도체 대상피질, 기저핵, 해마 그리고 부해마회가
측두엽 구조라 여기지만 또 다른 곳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