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외경제장관회의
'14-09-05(의결안건)
對중국 교역 확대 방안
2014. 9. 5.
관계부처 합동
목 차
Ⅰ. 중국 내수시장 진출 필요성 1
Ⅱ. 진출 현황 및 문제점 4
Ⅲ. 중국 내수시장 진출 핵심과제 8
1. 온라인 유통 및 물류 강화 9
2. 정보지원 체계화 11
3. 농수산식품 전략적 진출 12
4. 유망 서비스업 진출 13
5. 효율적 지원체계 마련 15
Ⅳ. 중장기 추진과제 18
1. One-stop / One-roof 지원체계 마련 18
2. 새만금 한-중 경협단지 조성 20
Ⅴ. 향후 추진계획 21
현지 진출거점 마련
2. 중국 특화 마케팅 지원
3. 시험 ․ 인증 및 기술보호 대응 지원
Ⅳ. 중장기 추진과제 14
1. One-Stop / One-roof 통합지원
2. 새만금 한-중 경협단지 조성
Ⅴ. 향후 추진계획 16
Ⅰ. 중국 내수시장 진출 필요성
중국 경제(시장)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중국은 세계 2위 경제대국이자, 우리 최대 교역상대국으로, 중국
경제변동은 우리경제에 직접 영향 → ‘기회와 도전’을 같이 제공
(중국경제 위상) 중국은 세계 GDP의 11.5%를 차지하는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2030년경에는 미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 다수
* (中 칭와대 국제연구센터) '30년 중국 GDP가 미․유럽을 모두 합한 수준 도달 예상
(日 내각부) '30년 이후 중국이 美를 넘어선 최고의 경제대국이 될 것으로 예상
ㅇ 그동안 중국경제는 매년 10%내외로 크게 성장하면서 10년전 대비 1인당 GDP가 6배 증가*, 최근 5년간 소비**도 연평균 13.7% 증가
* 中 1인당 GDP(달러): ('92) 417 → ('03) 1,270 → ('13) 6,747
** 中 총소비 증가율(억위안): ('08) 153,422 → ('13) 292,166 (출처: World bank)
ㅇ 금년에도 중국경제는 부동산시장 둔화, 지방정부 부채 등 불안요인에도 불구, 7% 중반 수준의 성장률 유지 예상(IMF, OECD, 대한상의 등)
중국 경제 및 소비시장 규모
중국 경제 및 소비 증가율 추이
Not supported object.
Not supported object.
(한-중 경제관계) 중국은 우리나라에 있어 교역 1위국(‘13년 2,289억불),
무역흑자 1위국(‘13년 628억불)으로 최대의 무역대상국
ㅇ 우리 대외의존형 경제구조*와 지속 상승추세인 對중국 수출비중**을 감안할 때, 중국의 성장요인을 우리경제에 전략적 활용 필요
* 한국 무역의존도(GNI기준) : ('01) 67.9% → ('06) 77.4% → ('13) 105.9% (출처: 한은)
** 對중국 수출비중(중국수출액/전세계수출액) : ('01) 12.1% → ('07) 22.1% → ('13) 26.1%
중국 내수시장 현황 및 전망
⃟ 중국 내수시장은 소득 증가, 도시화 확산 등으로 급속히 확대*되는
중이며, ‘15년경에는 ‘세계 2위의 소비시장’으로 부상할 전망
* 中 소비시장 규모 : ('13) 4.7조달러 → ('15) 5.7조달러 → ('20) 9.9조달러(KIEP)
(New 소비채널: 온라인마켓) 인터넷 보급(’13년 45.8%) 확대에 따라 전자거래 확대, 온라인시장 규모가 1.3조위안(7,800억불) 규모로 증가*
* 온라인 쇼핑이용자 수: ('13년) 3.2억명(인터넷이용자 중 48.9%)
인터넷 쇼핑시장 규모: ('07년) 0.5조위안 → ('12년) 1.3조위안(약 2.5배 증가)
중국 인터넷 사용자수 및 보급률 추이
중국 인터넷 쇼핑시장 규모 추이
자료: 중국인터넷발전상황통계조사('12)
자료: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New 소비성향: 고급화․다변화) 중국내 고소득층․젊은 소비층의 등장으로 고급재* 및 서비스 수요가 대폭 확대
* 세계 고급소비재(명품소비) 시장(’13년 약 2,170억유로) 중 중국인 소비는 28% 차지
ㅇ 잦은 식품안전 사고 등으로 안전식품이 선호되고, 삶의 질 향상으로 건강식품, 웰빙, 친환경 제품 수요 급증
* 중국 건강․보조식품 시장 규모(억위안): ('08) 700→ ('11) 1,260→ ('16e) 3,323
ㅇ 영화․방송, 여행 등으로 다양한 문화를 접하게 되면서, 문화․여가 등 서비스 소비 수요가 지속 급증
중국 문화소비 추이
중국의 국내․국외 관광객수 추이
자료: 중국문화소비수요경기평가보고서('12)
자료: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New 패러다임: 정책 전환) 중국 정부는 소비 진작, 新도시화, 산업고도화 등으로 과거 수출위주에서 ‘내수주도’로 성장모델 전환 추진중
ㅇ 특히, 가공무역을 축소하고 제조업 업그레이드* 전략을 추진
* ’00∼’13년 사이 기술제품 수출비중 6.5%p이상 확대, 섬유 등 저부가품목 10.7%p 감소
ㅇ 20년까지 도시화율 60%를 목표로 환경오염․에너지 문제해결을 위한 도시 인프라 구축 및 중서부 내륙개발 추진
중국 가공무역 금지·제한 정책
중국 가공무역 비중 추이
연도
주 요 내 용
’99
⦁가공무역 관련 제품을 허용, 제한, 금지 등 3분류로 나누어 관리 시작
’04
⦁비료, 중고기계, 중고전자제품 등 금지품목 341개로 지정
’06
⦁희토류, 철광석, 원목, 철합금광 등 금지품목 804개로 지정
’07
⦁강철판, 철파이프, 농약, 가죽제품 등 금지품목 1,140개로 지정
’08
⦁광산품, 화공품, 철강제품, 식음료 등 금지품목 1,816개로 지정
’10
⦁금지품목 1,803개로 지정
자료: 연도별 가공무역금지류상품목록
주: 품목 기준은 HS 10단위 기준
자료: 中國海关总署
주: 기타무역은 국제원조, 면세품, 국경무역 등
⇨ 중국 내수시장 ‘양적 확대’와 ‘질적 변화’에 대한 대응이 경쟁력 좌우
Ⅱ. 진출 현황 및 문제점
우리기업 진출 현황
⃟ 중간재 위주 수출구조가 지속되고 있고 소비재 수출, 서비스 투자는 미흡한 상황으로, ‘패러다임 전환’ 없이는 경쟁력 위기 불가피
※ ‘13년 중국 소비시장(4.7조달러) 대비 우리 소비재 수출규모는 對中 수출의 3.2% (47억달러)에 불과하여 향후 중국시장 확대의 기회요인을 활용하기 곤란
- 최근 스마트폰․조선 등 주력품목이 중국기업에 역전되고, 금년 1~5월 對中수출 증가율(0.1%)이 주요국에 비해 크게 하회(美 7.4%증, EU 9.6%증, 日 10.1%증)
(對中수출) 1위의 중국수출국이긴 하지만, 반도체․LCD 등에 편중된 중간재 위주 수출구조로 인해 중국 정책변화, 경기변동에 직접 영향
ㅇ (中 가공무역 감소) 중국의 중간재, 자본재 수입수요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우리의 소비재 수출은 3% 수준에 불과
* 對中 가공무역 비중('12년, %) : (대만) 51.8, (한국) 49.7, (일본) 35.4, (미국) 14.9
* 對中 가공단계별 수출비중('12년, %) : (중간재) 72.4, (자본재) 23.7, (소비재) 3.2, (1차상품) 0.6
- 반도체․LCD 등 전자부품(31.7%)․석유화학(16.1%)․자동차 부품(6.3%) 비중이 50%를 상회, 전자제품(1.3%)․농산물(0.4%) 등 최종소비재는 미미
中 가공단계별 수입비중 추이(%)
對中 가공단계별 수출비중 추이(%)
ㅇ (온라인 매체 활용 부족)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한 중국진출 미미
- 우리기업의 주요 글로벌 온라인쇼핑몰(B2C)을 활용한 수출실적은 전체 수출의 0.1%미만(‘12년 기준 2,200억원 규모)
ㅇ (중서부 내륙 수출 미진) 성장세가 높고 해외제품 수입비중도 높아지고 있는 중서부 내륙지역에 대한 수출은 낮은 수준
- 중서부 지역은 중국 전체수입의 10.9%('12년), GDP의 27%('11년)를 차지하는 반면, 한국은 중서부지역에 전체 대중수출의 6.2%만 수출
* 중서부 내륙지방 수입비중(%) : ('02) 6.4 → ('06) 6.7 → ('10) 8.9 → ('12) 10.9
(對中투자) 전자․자동차 등 제조업 비중이 높고, 지역별로는 산둥성 등 연해지역에 집중되어 중서부 투자비중은 미미
* 업종별 투자비중(%, '13년): (전자부품․컴퓨터 등)61.1 (자동차)8.7 (화학제품)3.9
지역별 투자비중(%, '09~'12년): (동북)13.0 (연해)78.6 (중부)4.0 (서부)4.4
ㅇ (서비스 투자 부진) 중국정부의 서비스투자 장려, 서비스수요 증대에 반해 우리 서비스투자 비중은 도리어 감소
* 對중 제조업/서비스업 투자비중(%) : 제조업 ('08)62.8→ ('13)88.3 / 서비스업 ('08)33.2→ ('13)11.5
중국의 산업별 FDI 도입 비중 추이
우리나라의 對중 투자 산업별 비중 추이
Not supported object.
Not supported object.
출처 : 중국 국가통계국
출처 : 수출입은행
중국진출 부진의 주요 원인
⃟ 온라인을 포함한 현지 유통체계 미비, 중국시장 정보부족과 서비스업 지원 부족, 검역 등 비관세 장벽 등이 주요 애로요인으로 작용
(유통망․물류체계 낙후) 물류 인프라 부족, 관련 법규 미비, 운송방식간 연계 미비 등으로 물류 원가가 높고, 서비스의 신뢰성 부족
* 중국의 물류비용은 GDP의 18% 수준('12년 기준), 선진국(8~10%)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
(정보부족 & 분산) 바이어, 시장․제도 등에 대한 지역별․분야별 세부 정보제공이 부족하고, 제공기관도 KOTRA․무역협회․중진공 등 분산
ㅇ 중국 지역별로 정책․개발수준(내륙, 연안)․산업특성이 상이*한 데 반해 지원 정보는 그만큼 세분화되지 못함
* 북경(정치문화), 상해(경제금융), 심천(IT 등 첨단제품 제조), 서안(개발초기 단계) 등
◈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주요 애로사항
① 중국진출 중소기업 애로사항 조사결과, 바이어, 법령 등에 대한 정보부족(51.4%)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중기청 설문조사 결과, '14.6월)
② “해외진출 지원정책은 많으나, 필요할 때 필요한 지원 없다.”(시안간담회, '14.3월)
③ 중국은 지역별 특성이 상이해서 내륙은 로컬 유통기업이 강세이며, 중국인의 특성을 활용한 제품개발․마케팅 등 진출전략 필요(상하이간담회, '14.4월)
(서비스업 지원 미흡) 정부의 지원제도가 제조업 위주로 설계되어 있어 서비스업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지원수단 불충분
* 수출지원사업 중 서비스업 지원비율(재정사업 심층평가 결과):
('12년) 16.4% (540/3,300억원) → ('14년) 15.0% (620/4,122억원)
(비관세장벽) 통관절차 불투명성, 시험․인증 등 중국 내 까다로운 정부규제, 관계를 중시하는 ‘?시(關係)문화’ 등이 주요 애로로 지목
ㅇ 특히, 건설․금융․방송통신 등 서비스 분야의 경우 투자․입찰자격의 엄격한 제한 등으로 중국시장 진출이 매우 더딘 상황
* (사례) 화장품 분야는 위생허가 등 인증, 까다로운 검사 등으로 공장설립 후 가동하는데 1년 이상 소요, 검역문제로 쌀의 對中수출 불가
(참고) 우리 對中수출 중 소비재 비중 확대 필요성
(현황) ‘13년 中 소비시장(4.7조달러) 대비 우리 최종소비재 수출규모는 對中수출(1,460억달러)의 3.2%인 47억달러에 불과
ㅇ 중간재 수출 일부가 중국 내 최종소비재로 가공된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가공무역 비중은 현저히 높고, 최종소비재 비중은 낮음
* 對中 가공무역 비중('12년, %) : (대만) 51.8, (한국) 49.7, (일본) 35.4, (미국) 14.9
* 對中수출 내 가공단계별 비중('12년, %) : 중간재 72.4%, 자본재 23.2%, 소비재 3.2%
(전망) 향후 중국 소비시장 규모는 연평균 11.2% 증가하여 ‘20년경에는
9.9조불 규모로 확대 예상(KIEP, Global insight)
ㅇ 中정부의 산업고도화(가공무역 축소), 자급률 제고* 동향 등을 감안할 때,
현재처럼 가공재 위주로 수출하는 것은 對中수출 증가율에 한계
* 중국내 자급률 : (디스플레이) 중국내 TV용 LCD패널 ('11년) 2% → ('13년) 35.7%
(화학원료) 고순도 테레프탈산(TPA) ('10년) 69% → ('13년) 93%
(최근 수출동향) 금년 1~5월 우리나라 對中 수출이 0.1%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동 기간 미국은 7.4%, EU는 9.6%, 일본은 10.1% 증가
ㅇ 전문가들은 중국정부가 가공무역품에 대한 관세혜택 등을 줄이고, 내수 확대 중심의 경제정책으로 전환함에 따른 구조적 변동에 주목
ㅇ 중국의 정책여건 변화에 대응함에 있어 對中수출 중 가공무역 비중이 낮은 국가(美 15%, 日 35% 수준)들이 훨씬 유리
☞ 중국의 소비시장 확대와 가공무역 축소에 맞춰 현재 3%대의 최종소비재 수출을 최소 2배이상 확대*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 필요
* '20년 對中 소비재 수출을 170억달러 규모로 확대
< 중국 소비시장 및 우리나라 對中 수출 개요 >
구 분
'13년
‘15년
‘20년
비 고
중국 소비시장
4.7조불
5.7조불
9.9조불
연평균 11.2%증
우리나라 對中수출
1,460억불
1,760억불
2,800억불
최근 5년간('08~'13)
연평균 증가율 9.8% 추세 적용
對中수출 중 소비재 비중
3.2%
→
① 6%로 확대시
② 9%로 확대시
現 3%수준 →
2배 / 3배 확대시
對中 수출 중
소비재 수출규모
47억불 규모
→
① 170억불
② 280억불
① 120억불 추가확보
② 230억불 추가확보
Ⅲ. 중국 내수시장 진출 핵심과제
⃟ 중국 내수시장 진출 확대를 통한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확보에 역점
ㅇ 이를 위해 ‘20년까지 소비재 수출비중을 현행 3%에서 2배 이상 확대
⇨ 중국 내수시장 변화와 기업 핵심애로 분석을 통해 ‘5대 핵심과제’ 및
종합적인 지원체계 마련 차원의 ‘중장기 추진과제’를 도출
온라인 유통 및 물류 강화
◇ 中 현지 온라인채널 및 홈쇼핑과의 전략적 제휴, 현지 유통망 내 한국전용관 마련 등을 중점 추진하고, 물류․AS망 확보를 지원
(온라인마켓) 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80%점유)인 알리바바와 상품 연계, 공동교육, 물류협력 추진(‘14하)
ㅇ (상품 연계) 우리기업 제품이 중국시장에 적극 소개될 수 있도록 '무역협회 Kmall24' 상품의 '알리바바 Tmall' 연계 강화
ㅇ (교육 협력) 전자상거래를 통해 중국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알리바바 측과 공동교육 추진
* 청년 100명 초청교육(알리바바 본사, 항저우), 중국 온라인 직수출 기업 등을 대상으로 중국 시장 특성, 소비자 습관 등 온라인 전자상거래에 대한 공동 교육 실시
ㅇ (물류 협력)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통한 한국제품 거래 확대 기반 마련을 위해 물류 협력 협의․추진
(현지 유통기업과 제휴) 현지 유통기업과 협력을 통해 진출 지원
ㅇ (쑤닝그룹*) 온라인쇼핑몰 內 ‘한국관’ 설치(‘15.상), 소비패턴(회원 약 1.2억명) 등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상품 소싱․현지화 지원
* 강소성 유통기업 : (오프) 30개 지역(省)․300여개 도시에 1,724개 체인점, 80여개 물류배송센터 보유, (온라인) 종합쇼핑몰(쑤닝이꼬, 중국 내 3위)등
ㅇ (데니스그룹*) 대형마트 內 중소기업 전용 매장(K-HIT mall)을 설치(’14.11)하고, 우수 상품은 그룹 유통망에 공급 확대
* 허난성 유통기업 : 백화점 16개, 대형마트 44개, 편의점 118개 운영
(홈쇼핑 진출) CJ홈쇼핑의 중국매체인 ‘동방 CJ’ 등 기진출한 대기업 플랫폼을 활용한 중소기업 제품 판매지원 강화(CJ-동반위 MOU 기반)
* 中 홈쇼핑시장규모(’13) : 684억위안(연 30% 성장, ’00년대 한국 성장속도 비슷)
* 중국내 국내기업 홈쇼핑 플랫폼 현황(’14년) : CJ오쇼핑(3), GS(1), 롯데(1), 현대(2)
ㅇ 중소기업 제품을 선정, ‘방송준비 ⇒ 홈쇼핑방송 ⇒ 사후마케팅’ 단계별 지원으로 현지 진출 확대(‘15 100개사)
* (방송준비) 국내․외 MD를 활용 통관, 인허가, 방송기획 등 사전준비 지원
(사후마케팅) 홈쇼핑사 운영 온라인 쇼핑몰 입점, 협력 오프라인 매장 입점 지원 등
ㅇ 홈쇼핑사별로 진출기업에 대한 시장수요 분석, 대응을 지원해 주는 MD담임제 도입하여 1:1 컨설팅 제공(‘15 100개사)
* CJ IMC(CJ의 제품공급 전문 자회사) 및 국내 MD를 통해 마케팅, 포장 및 현지화 지원
ㅇ ‘중기제품 전용 판매일(KOREA SM BIZ DAY)’ 지정, 집중 홍보․판매(‘15상)
(한류 콘텐츠와 국내제품 판매 연계) 콘텐츠 해외진출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국내 홈쇼핑 등과 연계하여 동반 수출 확대(‘15)
* 중소 방송사 및 제작사 방송콘텐츠 기반의 온라인 해외진출 플랫폼 구축
ㅇ 한류 콘텐츠와 함께 공영 TV홈쇼핑 등의 중기제품 판매 동영상을 소개, 중국 현지 TV홈쇼핑 등 유통사업자와 국내 중기간 거래를 지원
(물류․A/S망 공동활용) 대기업의 물류․A/S시스템 등 인프라 정보 DB를 구축하여, 협력 중소기업의 동반진출 확대(‘15)
* (사례) ① 삼성전자 : 동반진출 협력사와 통합물류 시스템 구축, 물류비 절감 지원
② LG서브원 : 남경에 물류거점을 구축 (’12.4 5,500평), 100여개 중기와 동반진출
ㅇ 대․중소기업간 공동 해외전시회․무역사절단 참가지원* 확대, 대기업(대우인터내셔널 등)의 현지 영업망을 통한 수출거래 알선 지원(‘15)
* (’13) 삼성중공업, KT 등 5건(70개사) → (’14) 15건(200개사) → (’15) 20건
2
정보 지원 체계화
◇ 시장 정보, 법률 정보, 지원 정책 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중국시장 진출기업들의 핵심애로인 정보부족 문제 해소
(정보제공 강화) 통합무역정보서비스인 ‘TradeNAVI’ 등을 통해 중국 무역정보*를 통합 제공 및 심층정보 확충 추진(’14하)
* 관세·인증 등 관련 제도, 바이어·구매오퍼 정보 등 수출지원기관 정보를 통합 제공
ㅇ (시장 정보) 중국의 산업‧시장동향 및 정책 변화 관련 적기 정보 제공*, 내륙지역을 포괄하는 권역별 시장‧산업 분석자료 제공**
* 소비재 시장 진출 설명회(8월), 중소기업 중국 내수시장 진출 종합안내서(12월)
** 서부지역 내수시장 진출환경분석(KOTRA-KIET협업, 10월), 권역별 유망시장(산업) 진출 보고서, 신도시화정책 및 유망진출 업종 보고서(연중)
ㅇ (법률 정보) ‘온라인 법령정보센터’ 서비스 대상(’14년 3,500개, 중앙법령)을 지방법령을 포함하여 5,000개까지 확대(’14.9)
ㅇ (지원 정보)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를 통해 해외진출 지원대책․사업 관련 포털시스템*을 구축․운영(‘15상)
*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www.exportcenter.go.kr)에 정부의 모든 수출지원사업에 대한 안내지도를 마련하고 해당 사이트로 원클릭 연결 추진
ㅇ (프로젝트 정보) 중국 신도시화 관련 프로젝트 정보 발굴 및 지역별 신도시화 추진내용 및 프로젝트 관련 설명회 개최(’14하)
* 中 지방정부(기관), 주요 벤더(中 대기업), 韓 프로젝트별 유망기업 등 정보
(유망분야 DB 구축) 유관기관 공동으로 통관실적, 주요 온라인몰 판매실적 등을 분석하여 ‘중국진출 유망 DB’를 구축(‘15상)
* 공동 유망제품 선정(‘14.하) 결과를 토대로 DB 구축 및 시범운영(‘15.상)
3
농수산식품 전략적 진출
◇ 고품질 수입 농수산식품, 유기농 식품 등 안전한 웰빙식품에 대한 수요 급증에 전략적 대응
(전략상품 개발) 농수산물 및 가공식품 전략상품을 개발․육성(’14하)
ㅇ 인삼, 버섯 등 대중국 수출전략품목에 대해 품목별 수출개척팀 등을 활용, 생산부터 마케팅, 통관까지 수출 全과정에 대한 애로해소 추진
ㅇ 대중국 수출 수산물 전략품목* 개발 촉진을 위한 R&D 강화
* (예) 해삼 : 우리나라 청정해역에서 생산된 해삼은 원물 형태로는 제값을 받지 못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자숙(煮熟) 또는 건해삼 제품 개발로 중화권시장 공략 모색
(인프라 지원) 중국 全 지역 농수산식품 유통이 가능한 新실크로드* 구축을 위해 농수산식품 수출전진기지**를 설치(‘14.11)
* 전국(생산전문단지)-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中칭다오–내륙을 잇는 농수산물류체계
** 농수산식품 냉동냉장 보관창고, 칭다오에 우선 설치(‘14.11)한 후 내륙지역으로 확대 검토
(한류․한국관광 등을 활용한 마케팅) 한류스타 등을 활용, 외국인 대상으로 “한국 입맛 길들이기” 추진(‘15상)
ㅇ 국산 농수산식품을 활용하여 한류스타가 출연하는 요리 프로그램을 제작․방영하고, 농식품부 지정 농가맛집․찾아가는 양조장 등을 활용한 음식관광 진행
ㅇ 공항, BH 앞 ‘사랑채’를 활용, 한국 농수산식품 구매․체험 기회 제공
(검역 등 비관세 장벽 제거) 김치, 생우유 등 유망 농식품 검역 문제는 양국 당국간 협의*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해소(’14하~)
* 김치는 한․중 정상회담(7.3)에서의 합의를 계기로 현재 실무협상 중(식약처)
* 생우유는 중국측 전문가의 국내 기업체 현지실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로 합의(7.22, 북경 실무협의)하였으며, 訪韓 일정 협의중(농식품부)
4
유망 서비스업 진출
◇ 소비의 고급화․서비스 수요 확대에 맞춰 문화․의료 등 서비스업 진출을 강화하고, 신도시화에 대응하여 환경․건설 서비스 진출 강구
(전략분야 지원) 서비스시장 진출 교두보로서 문화콘텐츠, 의료서비스, 프랜차이즈 등 중국내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분야 대상 지원 확대
ㅇ (콘텐츠) 중국 규제에 대한 우회전략으로서 뉴미디어(IPTV, 모바일 플랫폼 등) 진출을 지원하고, 공동제작 활성화 추진(’15)
- 유망 서비스 중심 ’한-중 펀드‘ 조성 추진(수출입은행, 2,000억원, ‘15상) 및 콘텐츠 진출을 위한 ‘한·중 글로벌 합작펀드’ 조성(문화부, 2,000억원, ‘15상)
- 뉴미디어 진출을 위해 중화권 미디어 초청 한류콘텐츠 쇼케이스 ․상담회 개최(10월, 베이징), 중국 뉴미디어 초청 상담회 추진(‘15상)
- 한․중 방송사 간 공동제작 및 디지털 테마파크 조성 등 ‘펑요우(朋友) 콘텐츠 프로젝트‘ 추진(‘15하)
* 추진예시) K-POP 홀로그램 공연장, 임진왜란 등 방송다큐 공동제작, 3D단편 영화제작 등
ㅇ (의료서비스) 중국내 수요가 높고, 우리가 비교우위가 있는 고급의료서비스 중심으로 민간 진출 프로젝트 지원 강화(’14하)
- 중국 내륙 병원 프로젝트 발굴, 의약․의료기기․의료IT 관련 중국 빅바이어 초청 및 국내기업과의 직접 연결 등 정부지원 강화(‘14하)
* 글로벌 바이오메디컬 포럼(10월, 부산), 500억원 규모 ‘중소병원 해외진출 지원펀드’ 설립(‘14하)
- 한의약 의료자원, 약재 기준 등 정보를 교류하고, 한․중 동양협력조정위원회(차관급)를 개최하는 등 전통의약분야 협력 확대(‘14하)
(新도시화 기회 활용) 中측 수요가 많은 환경․건설분야 등 진출지원
ㅇ (환경서비스) 중국내 환경개선 수요가 많은 5개 중점지역, 7대 유망환경기술*을 중심으로 집중 지원(’14하~)
* (5개 중점지역) 베이징시, 하북성, 산동성, 섬서성, 광동성
(7대 유망기술) 집진, 탈황, 자동차 매연저감, 수처리, 폐기물 처리 등
- (기술 실증 지원) 해외진출의 전제가 되는 국내 환경기술 실증을 위해 ‘한-중 공동 환경기술 실증화 지원센터’ 설립․운영(‘14.10 베이징)
- (양국 공동 기술실증) ‘한-중 공동 환경기술 실증 협력사업*‘을 추진하여 국내 환경기업의 중국 대규모 장치산업 진입기반 마련(’14하)
* 중국 제철소를 대상으로 집진, 탈질‧탈황 등 대기오염방지기술 실증사업 공동추진 합의(’14.7월 한․중 정상회담)
- (동반진출 컨소시엄) 환경 관련기업 동반진출을 위한 중소기업(기술), 대기업(자금․정보), 공공기관(신뢰도)간 컨소시엄 구성(’15)
- (기업 지원) 글로벌 환경기업 육성을 중점 지원(’15~’18년 100개사)
ㅇ (건설서비스) 건설분야 진출의 주요 걸림돌인 중국시장의 건설․엔지니어링․건축분야 외자기업 프로젝트 수주제한 폐지, 면허조건 완화 등 추진(’14하~)
* 중국은 순외자기업의 경우 중국자본이 50%이상 투입된 공사에는 참여불가, 건설업 면허시 과거 중국내 건설실적만 인정하여 사실상 우리기업 진출 차단
- (시스템 진출) 지역별 신도시화 추진내용 및 건설 IT ․ 환경시스템 진출 설명회 등 개최(’14하)
* 중국 신도시화 프로젝트 플라자(9월, 다롄), 한중 친환경포럼(10월, 시안) 등
- (진출 교두보 확보) 첫 단계로 ‘스마트시티 KSP 사업’을 추진하고, ‘한-중 도시정책협력회의’ 등을 통해 시범사업 발굴․추진(’15하)
* LH와 관련기업이 동반진출하는 한국형 신도시수출방안, 개별기업이 소규모 프로젝트에 진출하는 방안 등 지역여건에 맞춰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
5
효율적 지원체계 마련
1. 현지 진출거점 마련
◇ 중국에서 컨설팅 및 사무공간 지원이 가능한 현지 지원거점을 확대하고, 한국기업 전용단지 등 현지 사업거점 확충방안 검토
(현지 지원거점 확충) 중소기업 진출이 증가하는 주요 지역에 대해수출 인큐베이터 신설*을 검토하고, 기업이 수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간 일부를 개방하는 스마트오피스 확대(‘15상)
* 중국내 현황 : ‘14년 현재 베이징 등 5개소 → 충칭, 정저우 등으로 확대 검토
ㅇ 新유망지역을 중심으로 KOTRA 무역관 개소(톈진, 선전) 등 진출거점을 확충하여 전방위적 기업진출 지원(‘14하)
ㅇ 수출 인큐베이터 미설치지역(선양, 우한)은 영사관에 중소기업 지원 전문인력 보강 등 중소기업 지원기능 강화 추진(‘15상)
ㅇ 과학기술․ICT 기반 중소․벤처기업의 중국진출․현지창업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과학기술․IT지원거점간 연계 강화*(‘15상)
* ‘한-중 과학기술협력센터’(R&D 협력거점)와 ‘북경IT 지원센터’(IT기업 진출지원)를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 제고(‘15.상)
(현지 사업거점 확충) 중국 주요 거점지역에 한국기업 전용단지* 지정 등 양국 정부간 협력을 통한 현지 사업거점 확충방안 검토(‘15상)
* (사례: 충칭 전용공단) 남서부 내륙지역의 국가급 개발구(양강신구) 내 한국기업 전용공단(7.9㎢) 지정 → 中정부에서 법인세 인하, 토지취득세․건설부대비 보조 등 지원
ㅇ 현지 사업거점 조성방안 관련 한-중 경제장관회의 기합의사항인 ‘양국 연구기관 협력사항’으로 반영하여 공동연구 진행 추진
ㅇ 한-중 경제장관회의를 통해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애로 해소를 지원하고, 공동연구 결과를 토대로 양국간 협의 추진
2. 시험 ․ 인증 및 기술보호 대응
◇ 양국 정부 및 관련 기관간 협력을 통해 인증정보 적시공유, 인증절차 간소화 등을 추진하고, 기술보호 대응 관련 지원 강화
(시험․인증 애로해소) 양국 정부 및 관련 기관간 협력을 강화하여 인증정보의 적시공유, 상호인정을 통한 절차 간소화 추진
ㅇ (인증정보 지원 강화) 하반기부터 정부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애로해소방안 협의를 진행하고, 실시간 중국 인증정보 제공(1381 콜센터)
* 한‧중 적합성 소위원회내 실무작업반(정부, 양국 시험인증기관 등 10여명) 운영(‘14.하반기)
중국 인증·인허가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14.하반기, 상하이)
- 또한, 수출기업을 위한 인증대행 컨설팅사(중국 25개) 이력정보시스템 구축․운영(‘14.9월)
ㅇ (인증절차 간소화) 중국에 진출한 국내 시험인증기관(7개)을 통해 등록대리 지원, 현지 인증정보 제공(‘14하~)
* 지원대상: (‘14) 1개(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KTR) → (‘15) 7개
ㅇ (한-중 FTA를 통한 애로해소) 화장품, 의료기기 등에 대한 양국의 검사결과 상호인정 관련 협력 강화 추진(‘14하~)
* 우리나라는 중국측 28개 검사기관을 지정하여 동 검사결과를 수용하나 중국측은 별도의 검사를 실시하여 통관절차 지연 발생
(기술보호 대응 지원) 중국진출 우리기업 대상, 기술보호 매뉴얼*을 제작․배포하고, 맞춤형 컨설팅 기능을 강화(’15년 30개사)
* 기술보호 역량 진단, 기술유출 취약점 및 사례 분석, 사전․사후 대응방안 등
ㅇ 旣운영중인 「기술보호상담센터」수혜기업 대상을 국내에서 중국진출 중소기업까지 확대하여 온라인 상담서비스 제공(‘15상)
* 기술보호통합포털(www.ultari.go,kr)에서 온라인 상담서비스가 가능토록 시스템 개편
3. 중국 특화 마케팅 지원
◇ 수출 유망분야에 대해 집중 마케팅 지원을 실시하고, 중국 내수시장 전용 브랜드 개발을 통해 한국제품 신뢰도 제고 및 고부가가치화
(수출 유망분야 마케팅) 분야별 박람회, 엑스포, 상담회 등을 통해 마케팅 집중 지원 추진(‘14하)
ㅇ (내륙지역 진출) 미개척시장 대표전시회*를 활용하여 신규거래선 발굴 및 내륙시장 수출 활성화를 위한 내륙진출 마케팅** 집중지원 병행
* 유라시아 박람회(9월, 우루무치) / 차이나 아세안 엑스포(9월, 난닝)
** 서부박람회(10월, 청두) 참가, 청두 세계일류화 한국상품전(9월, 청두)
업 종
'14년 하반기 대중국 마케팅 사업
식 품*
대형유통업체 MD 초청 상품 설명회(9월, 서울),
K-Food Fair 개최(9월, 우한․청두),
대상협력 렌화(5천여개 대형마트 운영 中기업) 한국상품전(10월, 항저우)
가 전
한국프리미엄 IT제품 전시상담회(11월, 베이징),
중국 심천 국제 전자 박람회(10월, 심천)
생활용품
중소기업 명품수출 로드쇼(11월, 상해), China Business Plaza 수출
상담회(8월, 서울), JMA 홍콩주얼리쇼 2014(11월, 홍콩),
2014 중국 국제가구 전시회(9월), K-Goods 상품전(11월, 창사)
의료기기
중국 의약용품 바이어 초청 상담회(11월, 서울)
환 경
한․중 친환경산업 포럼* 및 구매상담회 개최(10월, 시안)
中 지방정부와 공동으로 해당지역별 수요맞춤형 기술로드쇼 개최(‘15)
문 화
제2차 한-중 문화산업포럼(10월, 베이징), 제6회 한-중 게임문화축제(10월, 대구), 제3차 한중 펑요우 정책협의회(‘15.4 베이징), 3D/CG 비지니스 로드쇼(‘15.6월 상하이), 한-중 게임문화축제(‘15 베이징) 등
* 한-중 FTA 시대, 농수산식품 스타수출품목 발굴(KOTRA, 농촌경제연구원, 해양수산개발원)
(브랜드 개발) 중국 내수전용 공동브랜드 개발 및 상표출원을 지원하여 현지 소비자의 한국제품 신뢰도 제고 및 고부가가치화 추진(‘14하)
ㅇ ' *'의 중국 내수용 서브 브랜드를 통해 한국산 제품임을 확인
* 미국, 유럽 등 중소기업 전용매장(K-HIT Mall) 입점 제품을 위한 전용 브랜드
< 브랜드 이미지(안) >
* 래한성 : 한국에서 온 스타상품
Ⅳ. 중장기 추진과제
1
One-stop / One-roof 지원체계 마련
◇ 산재된 중국진출 지원시스템을 효율화․일원화하여 ‘손쉽게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
ㅇ 오프라인 지원시스템 연계(One-roof) 및 온라인 사이트 통합화(전자상거래 사이트 연계․통합화)를 병행 추진
(기능 연계․집적화) 국내에서는 중기청 수출지원센터, 해외에서는 KOTRA 무역관 중심으로 기능을 연계(One-roof)하여 원스톱 지원 추진
ㅇ (국내) 각 지원기관이 필요인력을 파견하고, 수출지원센터에서 협업에 대한 조정․관리를 하는 등 수출지원센터 중심으로 기능 강화(‘15상)
* 수출지원기관에서 파견된 지원센터 인력 중 협업 수행 고성과자에 대하여 성과급 지급, 인사평가 반영 등의 인센티브 부여
ㅇ (해외) LA 무역관* 사례를 감안, 중국 내 KOTRA 무역관을 중심으로 유관기관 기능이 한 곳에 집적하는 one-roof 시스템화** 추진(‘15하)
* LA 무역관에 24개 유관기관 및 지자체가 입주, 입주공간 공동 활용에 따른 임차료 저감, 기관 공동 마케팅 등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
** One-roof 입주지원기관의 중국 진출사업에 대한 우선지원 검토 등
(전자상거래 사이트 연계․통합화) 정보 온라인 사이트와 별도로 있는, 분산된 온라인 전자상거래 사이트(B2B)* 연계․통합화 추진(‘15상)
* Gobiz Korea(중진공), buyKOREA(코트라), TradeKorea(무역협회) 등
ㅇ 중진공-코트라-무역협회 간 온라인 지원 협업체계를 마련하고, 중장기적 통합 추진체계 구축방안 검토
(참고) 기 추진중인 해외진출 지원사업 개요
부 문
사 업 명
회 계
부 처
’12년
’13년
’14년(억원)
수출
준비
지원
(13개)
기반
구축
(5개)
통합무역정보서비스 기반구축
일반회계
산업부
12
12
17
해외산업협력지원
중진기금
중기청
32
31
32
AEO지원(종합인증지원)
일반회계
관세청
(9)
(9)
(11)
농산물 수출 확대를 위한 검역지원
일반회계
농림부
(19)
(19)
(19)
한류잡지 해외진출지원
일반회계
3
3
3
문화부
인프라 지원
(5개)
수출인큐베이터
중진기금
중기청
75
71
82
중소기업마케팅지원
일반회계
산업부
(236)
(217)
(271)
활어수출용 컨테이너 제작
농특회계
해수부
1
1
2
농축산물 판매촉진
농안기금
농림부
410
412
423
스마트콘텐츠 해외진출지원
방발기금
미래부
(50)
(52)
(51)
역량
강화
(3개)
중소기업수출역량강화
일반회계
중기청
272
517
514
해외규격 인증획득지원
일반회계
100
213
133
해외민간네트워크 활용
일반회계
76
60
56
해외마케팅
지원
(26개)
무역촉진단 파견
일반회계
중기청
130
190
190
지역중소기업 수출마케팅
중진기금
9
8
10
온라인 수출지원
중진기금
23
21
26
중소중견기업 수출경쟁력 강화
일반회계
산업부
263
340
406
해외마케팅지원
일반회계
(217)
(131)
(90)
수산물 해외시장개척지원
일반회계
해수부
44
48
81
농산물 해외시장개척지원
농안기금
농림부
314
280
331
글로벌 K-food 프로젝트
농특회계
-
154
137
문화콘텐츠 국내외마케팅 활성화
일반회계
문화부
45
45
49
국산애니메이션 해외시장 개척지원
일반회계
(10)
(13)
(15.5)
한국패션문화 해외진출지원
일반회계
(10)
(18)
(21)
만화 해외수출 및 국내외 마케팅 지원
일반회계
(5)
(7)
(12)
캐릭터 해외수출 및 국내외 라이선싱 활성화 지원
일반회계
(9)
(15)
(21)
차세대게임 국내외 홍보 및 마케팅 지원
일반회계
(7)
(5)
(4)
게임 글로벌서비스 플랫폼 해외마케팅 지원
일반회계
(5)
(3)
(5)
모바일케임 글로벌 퍼블리싱
일반회계
(43)
(37)
(40)
게임수출활성화 지원
일반회계
(6)
(6)
(7)
방송영상콘텐츠 해외진출지원
일반회계
53
56
55
출판콘텐츠 국제교류 및 해외진출지원
일반회계
(37)
(35)
(41)
인쇄물 수출경쟁력 강화
일반회계
(3)
(3)
(3)
K-pop 해외진출지원
일반회계
-
(19)
(20)
한국도서 해외전파 지원
일반회계
-
(1)
(1)
인쇄문화 국제전시회 및 한국관조성
일반회계
-
(2)
(2)
미술품 해외시장개척지원 등
문예기금
(7)
(11)
(13)
영화 해외진출지원
영화기금
63
64
65
보건의료 해외박람회 참가지원
일반회계
복지부
5
5
2
해외진출 및
수주 지원
(14개)
* ( )는 내역사업
해외투자진출
일반회계
산업부
(13)
(68)
(41)
해외진출기반구축
일반회계
24
28
28
해외플랜트 진출확대
일반회계
43
38
9
해외플랜트 수주경쟁력 강화
일반회계
-
-
29
전력해외진출지원
전력기금
40
38
40
신재생에너지산업 해외진출지원
전력기금
91
40
45
국내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촉진
일반회계
해수부
3
2
2
해외건설시장개척
일반회계
국토부
60
109
148
의산업생태계발전형 의료시스템 수출
일반회계
복지부
20
60
70
환경산업수출기반육성지원
환특회계
환경부
128
131
141
IT산업 해외진출지원
일반회계
미래부
37
31
23
SW산업 해외지출 역량강화
일반회계
74
68
65
해외 IT지원센터 운영
방발기금
56
56
52
해외CG프로젝트 지원
방발기금
(36)
(40)
(40)
합 계 (53개)
3,357
3,956
4,166
2
새만금 한-중 경협단지 조성
◇ ‘새만금 한-중 경협단지*’ 대상, 중국시장 진출의 전진기지 기능을 반영할 수 있도록 범부처 추진방안 마련(‘15상) 후 단계적 추진
* 한-중 경제장관회의(‘13.12월) 등을 통해 양국 정부간 공동 조성 필요성을 인식한 바 있으며, 새만금 지역 내 중국투자 유치를 통해 조성 예정
(경협단지 추진전략) 중국수출을 희망하는 우리기업, 해외 및 중국 역수출 희망 중국․글로벌 기업을 대상, 중국시장 진출의 전초기지화
ㅇ 한국의 FTA 허브로서의 장점을 활용, Made in KOREA 브랜드 및 한국기업과 기술협력을 하고자 하는 중국 및 글로벌기업 중점 유치
ㅇ 기술․유통망․디자인 등 우리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Value-chain 조성을 통해 중국 내수시장에 동반 진출하는 구조로 설계
중국 유력기업 유치
∙ 한·중 경제협력분야
⇨
국내 진출기업 입주
∙ 중국기업과 연계 통해 중국 등 아시아 진출
⇨
연관기업 입주
∙ 부품기업 / 마케팅, R&D 등 지원기능
⇨
글로벌 시장진출
∙ 中 내수시장 진출
∙ 미․EU 및 신흥국
(협업구조 유도) 중국 및 글로벌 기업과의 공동 프로젝트, 전략적 제휴사항에 대해서는 R&D자금 및 수출금융 등 우선적 지원 검토
(중국시장 진출 중점지원) 중국 진출 애로요인 관련 우리 입주기업 밀착지원 및 통관 간소화, 맞춤형 인센티브 부여 등을 검토․추진
ㅇ (통관 등 간소화) 중국 주요특구와 협약체결 통해 새만금 경협단지 수출입 통관절차 간소화, 검역절차 간소화·신속화 추진
ㅇ (경쟁력 강화 지원) 주요 타겟업종 대상으로 R&D센터를 구축하여 기업, 지역대학, 대덕연구단지 등과 연계한 협업연구 지원 등
ㅇ (맞춤형 인센티브) 경협단지 내 입주하는 일정요건의 국내기업에 대한 맞춤형 인센티브 부여방안, 효과적 의사결정체계 등 검토
Ⅴ. 향후 추진계획
◇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주요 과제별 진출전략 모색 및 추진현황 점검, 대외경제장관회의 보고 등을 차질없이 이행할 계획
(추진체계) 중국 내수시장 진출 지원방안을 체계적으로, 속도감 있게 이행하기 위해 ‘관계부처․기관 합동 협의체’를 상시 가동
ㅇ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분기별로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반기별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통해 현황 점검 및 개선방안 강구
ㅇ 중국 내수시장 동향 분석 및 우리 진출기업들의 애로조사도 병행
* KOTRA, 무역협회 등을 통해 현장 애로 및 개선 요구사항 지속 파악
(향후 계획) 금번 발표된 대책들은 소관부처 주관 하에 차질없이 이행
ㅇ (대외경제장관회의) 주요과제 세부 추진방안 보고 및 추가과제 발굴
ㅇ (양자 협력채널 적극 활용) 한-중 경제장관회의, 한-중 투자포럼 등 양국 민관 협력채널을 적극 활용, 중국진출 협력방안 논의 가속화
ㅇ (FTA 타결) 對中 교역․투자 환경을 개선하고, 유망상품 수출 증대 및 서비스 진출 확대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게 될 한-중 FTA의 연내타결 노력 강화
참 고
주요 과제별 추진계획
추 진 과 제
추진일정
비 고
〔 5대 핵심과제 〕
1. 온라인 유통 및 물류 강화
中 알리바바와 전자상거래 공동교육, 물류협력 추진
’14. 하
기재부․산업부 등
현지 유통망(쑤닝․데니스) 내 한국매장 설치
‘15. 상
중기청‧중진공
홈쇼핑 활용 중기제품 판매지원
‘15. 상
중기청․중진공․
미래부․동반성장위
콘텐츠 해외진출 통합 플랫폼 구축
’15
미래부
대중소기업 물류․A/S망 공동 활용
’15. 상
중기청․동반성장위
2. 정보지원 체계화
통합무역정보서비스(TradeNAVI)를 통한 권역별 시장․산업 분석자료 등 심층정보 확충
’14. 하
산업부․KOTRA
온라인 법령정보센터 정보 확충
’14. 9
중기청․중진공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 내 포털시스템 구축
’15. 상
중기청
중국 신도시화 관련 프로젝트 설명회 개최
’14. 하
산업부․KOTRA
중국유망제품 DB 구축
‘15. 상
중진공‧코트라‧무협
3. 농수산식품 전략적 진출
전략상품 개발․육성 및 R&D 강화
’14. 하
농식품부, 해수부
농수산식품 수출전진기지 구축
’14. 하
농식품부, 해수부
한류․한국관광을 활용한 농수산식품 마케팅
’15. 상
농식품부
검역 등 비관세장벽 제거
’14. 하~
농식품부, 해수부 등
4. 유망 서비스업 진출
유망서비스 중심 한․중 펀드 조성
’15. 상
수출입은행
한중 글로벌 합작펀드 조성
’15. 상
문화부
‘펑요우(朋友) 콘텐츠 프로젝트‘ 추진
’15 하
미래부
중국 내륙병원 프로젝트 발굴하여 중국 바이어 초청 및 국내기업과의 연결 추진
’14. 하
산업부
한-중 동양협력조정위 등 전통의약 협력 확대
’14. 하
복지부
추 진 과 제
추진일정
비 고
4. 유망 서비스업 진출
한-중 공동 환경기술 실증화 지원센터 설립
’14. 10
환경부
환경 관련기업 동반진출 컨소시엄 구성
’15
환경부
한-중 공동 환경기술 실증 협력사업 추진
’14. 하
환경부
글로벌 환경기업 육성 지원
’15
환경부․중기청
스마트시티 경제개발경험공유(KSP) 사업 및
시범사업 발굴․추진
’15. 하
기재부, 국토부
5. 효율적 지원체계 마련
수출 인큐베이터 추가 신설 검토
’14. 하
중기청․중진공
수출 인큐베이터 미설치지역 영사관에 중소기업 지원기능 강화
’15. 상
외교부
과학기술․IT지원거점인 ‘KIC-베이징’ 구축
’15. 상
미래부
중국내 사업거점 확충방안 공동연구 및 협의
’14. 하
기재부․KIEP 등
중국 시험인증기관과의 업무협약
’14. 하
중기청
실시간 중국 인증정보 제공 및
인증대행 컨설팅사(중국 25개) 이력정보시스템 구축
’14.9
산업부․KOTRA
기술보호 매뉴얼 제작 및 온라인 상담서비스 제공
’15. 상
중기청
내륙지역 대표전시회 등 수출 유망분야 마케팅
’14. 하
산업부․KOTRA 등
중국 진출제품 공동브랜드 개발
’14. 하
중기청․중진공
〔 중장기 추진과제 〕
1. One-stop / One-roof 지원체계 마련
수출지원센터 중심 협업체계 마련
’15. 상
중기청․중진공 등
해외 무역관 중심으로 one-roof시스템 추진
’15. 하
산업부․KOTRA 등
온라인 전자상거래 사이트 연계․통합화
’15. 상
중진공․KOTRA
․무역협회 등
2. 새만금 한-중 경협단지 조성
범부처 추진방안 마련
’15. 상
새만금개발청․
기재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