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진보신당 수원/오산/화성 당원협의회 원문보기 글쓴이: 빅토르
▲ 프랑스 파리시청앞 광장
▲ 이탈리아 로마 시청앞 광장
▲ 독일 뮌헨 시청앞 광장
▲ 덴마크 코펜하겐 시청앞 광장
▲ 벨기에 브리쉘 시청앞 광장
▲ 폴란드 크라코프 시청앞 광장
▲ 오스트리아 빈 시청앞 광장
▲ 캐나다 토론토 신 시청앞 광장
▲ 러시아 모스크바 시청앞 광장
▲ 칠레 산티아고 시청앞 광장
▲ 스페인 카디스 시청앞 광장
▲ 노르웨이 오슬로 시청앞 광장
▲ 핀란드 헬싱키 시청앞 광장
▲ 베를린 시청앞 광장
▲ 체코 프라하 시청앞 광장
▲ 모스크바 시청앞 광장
▲ 태국 방콕 시청앞 광장
▲ 상하이 시청앞 광장
▲ 미얀마 양곤 시청앞 광장
▲이탈리아 몬테풀치아노 시청앞 광장
▲루마니아 시비우(sibiu) 시청앞 광장
▲그루지야 트빌리시 시청앞 광장
▲몽고 울란바토르 시청앞 광장
그
리
고
한국의
서울 시청앞 광장
시청 앞 광장 잔디 복원연합뉴스 | 입력 2008.07.07 18:22
(서울=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7일 서울 시청 앞 광장에서 관계자들이 촛불문화제 등으로 손상된 광장의 잔디를 복원하고 있다.
서울광장의 관리비용은 평당 한달에 8770원정도 든다. 이는 월드컵공원의 14.5배에 해당하는 비용으로 서울시에서 가장 비싼 공원이다. 게다가 서울시는 관리효율성을 이유로 서울광장을 서울시청 부속시설로 바꾸는 도시계획 변경 시도까지 했다.
광장의 본래적 기능을 제약해 시민 민주주의를 퇴행시킨 광장
8가지 광장사용 제한규정
애꿎은 잔디가 무슨 죄가 있는가. 다만 잔디는 약하다. 우리나라 풍토에서 ‘잔디란 잘 모셔야 하는 존재’다. 더구나 우리 사회처럼 사용 밀도가 높은 곳에서는 ‘잔디란 곧 출입금지’로 통한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잔디 광장을 우려했었다. 교통 불편을 감수하고서도 시민 광장을 만든다면 자유롭고 편하게 쓸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라는 것이 보통 시민의 기대였다. 그런데 얼토당토않게 잔디가 깔리더니 결국 우려대로였다. 하루에 수만 명이 밟으며 잔디는 못 배겨났고, 보식에 몇 천 만원씩 관리비용이 들어갔고, 월요일 잔디 안식일까지 생겼다.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시청 잔디광장에서 산책을 하거나 문화행사를 즐기는 시민은 한 해 5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잔디광장에서 열리는 문화행사는 한 해 120여 회를 헤아린다. 이러다 보니 잔디는 피곤하다. 사람의 발에 밟혀 이곳저곳 파이기 일쑤다. 그래서 서울시는 수시로 잔디를 갈 수밖에 없다. 훼손이 심한 부분을 중심으로 잔디를 교체한다. 사람으로 치면 피부가 상한 곳을 손질하고 여기에 새 피부를 이식하는 식이다.
서울시청 잔디광장은 원래 이거였다!
이명박 서울시장이 시청앞 광장 조성공사의 착공을 불과 나흘 앞두고 ‘시청앞 광장 조성추진위원회’(추진위)를 열어 잔디광장으로 변경하기전 원래의 계획이였던 ‘빛의 광장’ 조감도
인구 천만이 사는 대도시 서울에는 광장다운 광장이 없다. 광장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는 늘 있어 왔다. 시민들의 이러한 요구를 받아들여, 이명박 시장은 시청 앞 교통광장을 ‘시민의 품으로 돌려주겠다’는 공약을 채택했다. 이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서울시는 서울시청 광장을 시민공모를 통해 ‘빛의 광장’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그러나 2004년 5월1일 서울 하이페스티벌 행사를 앞두고, 기존 결정을 일방적으로 폐기하고 ‘잔디광장’을 한 달 만에 급조했다. 아울러 관리의 편의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서울광장사용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근거로 서울시는 광장이용을 철저히 통제하고 있다. 이에 한걸음 더 나아가 서울시는 2004년 후반부 들어 잔디광장(서울광장)을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하는 공공재산에서 서울시청의 부속시설인 공용재산(관이 주로 이용하는)으로 지위를 바꾸는 도시계획변경까지 시도했다. 비록 성사가 안 되었지만 서울시는 서울광장을 광장으로 보기보다 시의 부속 건물로 여기고 거기서 이루어지는 활동은 시설물 관리의 연장으로 철저히 관리하는 대상으로 인식했던 것이다. 그런 만큼 광장으로서 개방적인 이용이 힘들뿐 아니라 시가 선호하는 활동만 선별적으로 허용됨으로써 일종의 시행정의 전시장과 같은 공간으로 변질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관리에는 엄청남 비용과 품이 들고 있다. 가령 잔디광장은 조성한 지 6개월도 채 안 되어 전체 잔디면적보다 많은 잔디가 교체되었고, 평당 월 평균 유지보수비도 8770원으로 월드컵공원의 14.5배, 여의도공원의 9.8배에 이를 정도로 서울시에서 가장 값비싼 녹지공간이다. 시민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절차와 태도를 취했지만, 결국 시를 위한 공간으로 전락된 서울광장은, 겉으로 드러나는 것과 달리, 시민의 이해가 유기적으로 배제되는 서울시정의 대표적인 사례다.
시민을 위한 공공재산을 시를 위한 공용재산으로 바꾸는 것은, 시민의 재산을 관이 앗아가는 것으로, 관이 시민 위에 군림하는 비민주성을 반영한다. 가장 심각한 것은 광장의 본래적 기능을 제약함으로서 육성되어야 할 시민민주주의 자체를 퇴행시키는 점이다. 서구의 오랜 도시 어디를 가도 도심엔 시청, 의회, 시장, 교회 등으로 둘러싸인 광장이 있다. 이곳에서 시민들은 그들의 자유와 권리를 집회나 축제 등의 방식으로 표출한다. 신문이나 방송이 시민들의 의사를 자유롭게 교환하고 표현하는 민주주의의 한 도구라면, 광장은 이 기능을 공간적으로 수행하는 장치다.
도시의 건강한 민주적 발전을 위해 제대로 된 광장의 조성과 운영이 필수적이라는 뜻이다. 때문에 광장은 관의 전유공간으로서가 아니라 시민 전체가 공유하고 보호하는 공공 공간으로 지위를 누려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