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29일 토요도보1회 찰랑찰랑님의 리딩으로 6명이 망우리 사색의길을 다녀왔습니다.
조촐한 인원이 공동묘지 사색의 길을 걸었습니다.
무덤들은 거기 그대로 있고 산자는 그 길을 지나며 이런 저런 상념에 잠기기도 했습니다.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삶의 단절만이 아닌 영원의 다리를 건너가는 의식일 뿐이라는 생각과
삶의 끝이 아니라 때가 오면 기꺼이 맞아야 할 '축제'일 수도 있다는 말도 떠올려 보기도 했습니다.

세월은 흘러서 사라짐에 소리 없고
나뭇잎 때 따라 떨어짐에 소리 없고
생각은 사람의 깊은 흔적 소리 없다
인간사 바뀌며 사라짐에 소리 없다
아 ! 이 세상 사는자 죽는자 그 풀밭
사람가고 잎지고 갈림에 소리 없다.
- 낙엽의 뜻(조병화 작- 차중락 묘비에서
거리 관계로 27살 나이로 생을 마친 낙엽따라 가버린 사랑의 차중락 묘는 찾지 못했지만
조병화님이 지으신 차중락의 묘비명을 적어 보았습니다.
박인환의 목마와 숙녀의 시구
- 잡지의 표지처럼 통속하거늘 한탈할 무엇이 그 무엇이 무서워서
우리는 떠나는 것일까-가 머리에 맴돌더군요.



제일 먼저 찾은 곳은 박인환 시인의 묘지입니다.
찰랑님이 준비해온 박 시인의 연보와 '세월이 가면' 노랫말을 낭송했습니다.
흰 국화 두 송이가 놓여 있더군요.
절친 이상 시인의 기일에 술을 마시고 쓰러졌다 하건가요.
30에 삶을 접은 박인환 시인의 묘소 길은 최근 데크를 놓아 접근이 쉽더군요.

두번째로 이중섭 화가의 묘를 찾았습니다.






죽산 조봉암 선생을 찾았습니다.



이어 시인이며 승려이고 독립운동가인 만해 한용운님을 찾았지요.
그분의 명시 사랑하는 까닭에를 낭송했답니다.

어린이 마음은 신선과 같다는 동심여선. 소파 방정환 선생의 묘는 큰 돌무덤입니다.

종두를 개발하신 지석영 선생도 뵈었지요.


참배를 모두 마치고 우리 카페 현수막을 들고 기념 사진도 찍었구요.


불암산과 수락산이 가까이 보입니다.

상석만 덩그러니 남아 있고 봉분은 흔적도 없는 산소도 있거군요.

오후가 되면서 이곳으 이곳을 찾는 발길도 많아 집니다.

묘지 훼손을 막기 위해선지 철조망을 두를 곳도 보입니다. 보기가 좀 그렇더구군요.

이장을 했나 봅니다 파묘한 자리엔 낙엽이 쌓이고 뒹굽니다.



낙엽이 수북히 쌓인 길을 따라 마을로 내려갑니다.


도보를 마친 후 버스를 이용해 맛집 두메골에 도착했습니다.
찰랑님의 절친께서 식당 사장님이 더군요. 특별 서비스도 받았지요.
벚꽃 피는 봄날 다시 사색의 길을 걷기로 했답니다.
그때는 장미 몇 송이 준비해 가려고 합니다.
찰랑찰랑님, 토요 첫 도보 리딩 수고 많으셨습니다.
외조하신 낮잠님, 지세븐 커피 바리스타 역까지 하셨구요.
버들님 소녀같은 심성으로 함께해 주셨지요.
세상만사님, 오후 약속(초등교 송년회) 늦진 않으셨느지요.
파도타기님, 먼길(산본) 오시어 동행하심에 감사합니다.
첫댓글 님들 가족같은 분위기 공부 하시는 모습보기 좋습니다 !!!
두메골 한정식 한번 가보고 싶습니다~
사색의 길을 걸으며 명상도 하고 스터디도 좀 했지요.
내년 보ㅗㅁ 벚꽃 흐드러지게 필 때 함 같이 가시지요.
@이같또 로따 예 꼭 그렇게하겠습니다 이번 해파랑과겹쳐서그랬습니다
서정적인 시한편이 마음을 따뜻하게 한듯 좋아보입니다.
도보중 시한편이 평소 읽을수없는 우리길에서만 있을수 있는일인듯...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에 가면 박인환님 앞에서 세월이 가면 노래도 부르고
한용운님께는 님의 침묵도 바치고... 색다른 문학기행 함 해보자구요.
와우!!! 사색의 길 잘 정리해서 올려주셨네요. 뜻깊은 하루 힐링의 시간 끝(후기)까지 잘 보살펴주셔서 감사 또 감사드립니다.~^^
와우~찰랑님의 토요도보 첫 리딩에 함께하는 영광을 얻어 무쟈게 영광입니다.
다음은 어디로 데리고 가실건지요. 기대하겠습니다.
작년봄 비오는날 아차산을 갔다 망우리 사색의길쪽으로 넘어왔거든요.처음 가봤는데 망우리라는 안좋은 인식을 확 바꾸어주어 나름 행복했던길이었는데,기회되면 꼭다시가보고싶네요.
늦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길목이라그런지 한껏 운치를 내뿜고 있네요^^*
무겁지 않은 걸음으로 걸을 수 있는 구간이지요.
다음에 기회 닿으면 느린 걸음으로 큰 족적을 남기신 분들의 유택을 찾아 보시지요^ 강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