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5평 Homegrown House
주택 마당 대부분을 덮고 있는 쓸모없는 잔디(單種재배) 공간을 과감히 없애고,
그 공간에 퍼머컬처(Permaculture)와 산림원예 및 낙원원예의 원리를 적용하여,
복합(多種)적인 자연재배 텃밭과 온실 및 동물(닭)을 키우는 균형잡힌 자연생태계의 생산적인 환경으로 거주지를 전환하여
식량(동식물식품)과 에너지(태양에너지)를 자가생산하여 자급자족할 수 있는 주택 디자인입니다.
2010 미국조경가협회 학생 어워즈(2010 ASLA Student Awards) 대회에서
주거 디자인 부문(Residential Design Category) 명예상(Honor Awards)을 수상한 출품작을 참고했습니다.
ASLA (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 : 미국조경가협회)
<출품작 소개>
Homegrown: A Residential Guide to Edibility
자가재배 : 식용할 수 있는 주거 가이드
Vanessa Gilbert, Student ASLA, Ball State University
바네사 길버트, 학생 미국조경가가협회, 볼 스테이트 대학교
Existing Front view of 1006 Wayne Street Muncie, Indiana
기존 주택 전경
Existing Plan of 1006 Wayne Street
기존계획
Redesigned Plan of 1006 Wayne Street
재설계 계획
Redesigned Planting Plan for 1006 Wayne Street
재설계 재배 계획 (도면을 클릭하여 확대하면 해상도가 높아 작물명칭을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Nitrogen Usage.
This diagram shows how nitrogen fixers (orange) and heavy nitrogen users (purple) were planted together to create balance.
질소 사용.
이 도표는 질소(비료)를 고정하는 작물(오렌지색, 콩)과 중질소(과대비료)가 필요한 작물(보라색)이 균형을 이루기 위해 함께 심어 졌음을 보여준다.
Layer Usage.
The design of 1006 Wayne Street utilized the seven layers of a forest. Each layer is represented in the diagram as a different color. Red: Canopy Layer, orange: lower canopy and bamboo layer, yellow: shrub layer, green: vine layer, blue: herbaceous layer, and purple: groundcover layer.
레이어 사용.
이 디자인은 숲의 일곱 층을 활용했습니다. 각 레이어(층)는 도표에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됩니다.
빨강: 잎이 무성하여 넓게 차양이 되는 낙엽교목,
오렌지: 보다 작은 차양이 되는 나무와 대나무,
노란색: 가지가 많은 관목,
녹색: 포도나무와 같은 덩굴성 식물,
파랑: 풀과 같은 초본과 식물.
보라색: 지면을 뒤덮는 지피식물.
Rain Garden.
The above drawing is a section cut through the rain garden that runs along the south property line.
The curb is cut allowing water from the street to flow into the garden and filter through the aggregate.
빗물 정원.
위의 그림은 남쪽 부지 선을 따라 빗물정원을 가로 자른 단면이다.
도로경계석이 낮게 절단되어 도로에서 유입되는 빗물이 정원으로 흘러 들어가 골재(모래, 자갈)층을 통해 걸러진다.
Aquaculture Pond.
Section cut through the aquaculture pond from north to south. It shows the connection of the lawn and front porch to the water’s edge and also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environment.
수산양식연못(생태 연못).
단면은 연못을 남북으로 자른 모습이다.
물(연못)의 가장자리에서 잔디와 앞 현관의 연결뿐만아니라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관계, 교류, 소통)을 보여준다.
Greenhouse and Chicken Coop.
Sketch that illustrates the combination of the chicken coop and greenhouse and how they are connected to share heat.
The body heat from the chickens help regulate temperatures in the greenhouse during winter months.
온실과 닭장.
닭장과 온실의 조합과 그 둘이 열을 공유하기 위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스케치.
닭들의 체온은 동절기 동안 온실의 온도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
Chicken Forage Yard.
A fenced forage yard is situated around the chicken coop so that the chickens have direct access and are able to roam free without hindering planting beds.
닭 마당(사료장).
울타리 쳐진 닭 마당은 닭들이 곧장 접근할 수 있도록 닭장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텃밭작물들을 저해하지 않고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다.
Outdoor Eating Area.
This view is looking east into the outdoor eating area.
The space is screened by espalier fruit trees, bamboo, and tomato trellises.
야외 식사 구역.
이 뷰는 야외 식사 지역을 동쪽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 공간은 지주로 받친 과일나무, 대나무 및 토마토 격자구조물로 장식되어 있다.
Front Yard View of Final Redesign.
This is a sketch of the front of 1006 Wayne Street after its redesign.
The aquaculture pond is on the right, in front of the greenhouse and the switchback beds are on the left.
최종 재설계된 앞마당 뷰.
이 그림은 기존주택 재설계 이후의 정면에 대한 모습이다.
수산양식연못은 오른쪽, 온실 바로 앞에 있고 스위치백(지그재그) 텃밭은 왼쪽에 있다.
Project Statement
This project examines the potential for urban residences to become self-sustaining and productive environments using a ¼ acre lot in Muncie, Indiana as an example. It explores how society has grown further from nature, creating a gap that has resulted in the underutilization of the environment. This project reconnects humans to nature while creating more sustainable environments to live in, benefiting nature as well as the health, wealth, and happiness of people and their communities.
프로젝트 개요
이 프로젝트는 일례로 인디애나주 Muncie의 1/4 에이커(1,011.7m² / 306평)의 주택지를 사용하여 자급자족과 생산적인 환경이 되는 도시 거주에 대한 가능성을 시험합니다. 사회가 자연으로부터 어떻게 더 멀리 벗어났는지 탐구하여, 환경의 저활용에 따른 결과와의 차이를 밝혀 냅니다. 이 프로젝트는 사람과 그들 사회의 건강, 부와 행복뿐만 아니라 자연에 혜택을 주고, 더 지속 가능한 거주 환경을 조성하면서 인간을 자연에 다시 연결합니다.
Project Narrative
The site for this project is a two-story residence located at 1006 Wayne Street in Muncie, Indiana. It is two blocks away from Ball State University and is situated in a neighborhood comprised mostly of college students and middle class residents. The home is approximately 2,385 square feet sitting on a quarter acre lot. It has a concrete driveway, a small grass lawn in the front approximately 5,000 square feet in size, a large sugar maple to the southeast, and a pear to the west. It is privately owned.
This site was chosen because it represents a typical home found in the mid-west. It is neither large nor small and has limited space, making it an ideal example of how ample lawn space is not a prerequisite to a successful, self-sustaining, ecologically balanced home. The original house structure was kept and the principles of permaculture, forest gardening, and paradise gardening were used to transform the residence from a monoculture of grass into a balanced ecosystem that provides food and beauty for its residents. Design and ecological thought were used to choose plants suitable for the intent and location. As a result, a small-underutilized space was turned into a rich fruitful paradise.
프로젝트 서술
이 프로젝트를 위한 현장은 인디애나주 먼시(Muncie) 1006 Wayne Street에 위치한 2층 주택입니다. 볼 스테이트 (Ball State) 대학교에서 2블록 떨어진 곳에 있고, 주로 대학생들과 중산층 주민들로 구성된 이웃에 위치해 있습니다. 집은 약 2,385평방피트(221.5m² / 67평) 규모로 1/4 에이커(1,011.7m² / 306평)의 부지 위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부지내에 주차용 콘크리트 차도가 있고, 주택 정면에는 대략 5,000평방피트(464.5m² / 140평)의 잔디마당, 남동쪽에 큰 설탕단풍나무, 그리고 서쪽으로 배나무가 있습니다. 그것은 개인소유입니다.
이 현장은 중서부에 있는 전형적인 집이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크지도 작지도 않고 공간도 제한되어 있어, 넓은 잔디밭 공간이 성공적이고 자립적이며 생태적으로 균형잡힌 집의 필요조건이 아니라는 것을 하나의 이상적인 사례로 보여줍니다. 원래 주택구조는 유지되고 퍼머 컬처(Permaculture), 산림원예 및 낙원원예의 원리는 잔디의 단종재배에서 거주자를 위한 식량과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균형 잡힌 생태계로 거주지를 전환시키는데 사용되었습니다. 의도와 위치에 적합한 식물을 선택하기 위해 설계와 생태학적 사고가 사용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작고 충분히 활용되지 않는 공간은 풍성한 수확이 많은 낙원으로 바뀌었습니다.
Design Principles
In order to produce half of the food needed to feed an average family of four, certain measures have to be taken. Plants have to be placed in their proper locations, have the nutrients that they need, and space must be wisely used. The following are the three main planting design principles used to make this site as productive and balanced as possible.
디자인 원리
평균 4인 가족을 먹이는데 필요한 음식의 절반을 생산하려면, 특정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식물은 적절한 위치에 놓여 있어야 하고, 필요로하는 영양분(비료)가 있어야 하며, 공간은 현명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는 이 현장을 가능한 생산적이고 균형있게 만드는 데 사용되는 3가지 주요 재배 디자인 원칙입니다.
Companion Planting
Companion planting is grouping plants together and taking advantage of their natural needs and functions to benefit one another. One companioning that was focused on heavily in this design was nitrogen fixers and nitrogen takers. This was done because low nitrogen levels are one of the main reasons people use inorganic fertilizers. But if people understood plant interactions they would realize that there are certain plants that produce nitrogen and if these plants are paired with plants that need a lot of nitrogen than they balance each other out and inorganic fertilizers become obsolete.
동반 재배 (혼작, 섞어짓기)
동반 재배는 식물을 함께 그룹화해서 서로 도움이 되기 위해 타고난 특성과 기능의 잇점을 이용합니다. 이 설계에 크게 중점을 두었던 한 가지 동반자는 질소고정식물과 질소사용식물이었습니다. 이것은 낮은 질소(영양분) 수준이 사람들이 무기질비료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식물상호작용을 알았다면 그들은 질소를 생산하는 특정 식물들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것이고, 이 식물들이 질소를 많이 필요로하는 식물과 짝을 이루면 그 식물들은 서로 균형을 이루고 무기질 비료는 쓸모없게 됩니다.
Alternative Plants
Alternative plants are edible plants that are native to the area but aren’t usually commercially cultivated. They bring opportunities for more successful crops because they are in their natural habitats. They also provide diverse food choices that can be used as substitutions for more common foods.
대체 식물
대체 식물은 이 지역에 고유 태생이지만 대개 상업적으로 재배되지 않는 식용식물입니다. 그들은 자연적인 서식환경에 있기 때문에 좀 더 성공적인 작물이 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그들은 또한 더 일반적인 음식을 대체할 수있는 다양한 음식 선택을 제공합니다.
Vertical Space
Utilizing vertical space is key for a site to reach its maximum productivity. It increases yields by increasing growing area without taking up bed space. Nature does this with vines and trees. Vines grow up the tree vertically without consuming horizontal space. Essentially it is growing two plants in the space of one. On this site vertical space was utilized by incorporating vines, trees, and espalier trees. Also, trellises, arbors, and walls were added structural features to increase the site’s vertical capacity.
수직 공간
수직 공간 활용은 현장에서 최대의 생산성을 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합니다. 텃밭(수평)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면적 증가로 수확량이 증가합니다. 자연(경관)은 덩굴과 나무로 이 작업을 합니다. 덩굴은 수평 공간을 소비하지 않고 수직으로 나무를 자라게 합니다. 근본적으로 하나의 공간에 두가지 식물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 현장에서 수직 공간은 덩굴, 나무, 그리고 나무를 받치는 지주가 일체화되어 활용되었습니다. 또한, 격자, 정자 및 벽면은 현장의 수직 용량을 증가시키는 구조적 특징들이 추가되었습니다.
Design Elements
디자인 요소
Paths and Beds
The site’s paths and beds were the first components to be designed. They were made to maximize planting space and to help make crops more accessible, which would make harvesting easier. If crops cannot be reached, it decreases the productivity and functionability of the site. To solve the problems of accessibility and increase bed space planting beds were designed using a switchback design. These can be seen along the western side of the front yard. The idea for them was taken from the permaculture idea of a “key hole” bed. Frequently harvested plants are grown near the paths edge where it is easier to reach them and less frequently collected plants are planted farther away. The problem with this design is that it creates mini cul-de-sacs that lead to nowhere, disrupting the site’s flow. Switchback beds solve this problem by allowing paths to continue through while still granting access to bed space without taking up too much space. The pathways wind and loop through the property and are 3 feet wide, the width needed to wheel a wheelbarrow through. Beds measure, in most cases, 6 feet wide, the width of two arm spans. This was done so that the average 3 foot arm could reach to the center of a bed from each side.
통로 및 텃밭
현장의 통로 및 텃밭은 설계할 첫번째 구성요소였습니다. 그것들은 재배공간을 극대화하고 농작물을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 수확을 더 쉽게 만들었습니다. 농작물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 현장의 생산성과 기능성이 저하됩니다.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고 텃밭공간 작물 층을 늘리기 위해 스위치백(지그재그) 디자인을 적용하여 설계하였습니다. 이들은 앞마당의 서쪽측면을 따라 볼 수 있습니다. 그들에 대한 아이디어는 "좁은통로(key hole)" 텃밭의 퍼머컬처 (permaculture) 아이디어에서 취해졌습니다. 자주 수확되는 작물은 통로 가장자리 근처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쉽게 도달할 수 있으며 자주 수집한 작물은 더 멀리 떨어져 심게됩니다. 이 디자인의 문제점은 아무데도 연결되지 않는 미니 막다른 골목을 만들어 현장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것입니다. 스위치백 텃밭은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텃밭공간에 대한 접근을 쉽게 하면서 통로가 계속 이어지도록 허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 통로는 바람을 타고 부지를 통과하며 통로폭은 3피트(0.9m)이고 외발손수레 바퀴가 통과하는데 필요한 너비입니다. 텃밭 크기는 대부분의 경우, 폭은 6피트(1.8m), 두팔 간격의 너비입니다. 이것은 평균 3발 정도면 각 측면에서 텃밭 중심에 도달할 수 있게 되도록 배치되었습니다.
Water (Rain Cisterns and Rain Garden)
After beds and pathways were designed came the element of water. In order for many plants, like vegetables, to survive one must have water to give to them during dry, hot periods. Instead of using water that comes from the faucet or hose this site was designed to take water that lands on the roofs and store it in cisterns to be used in the landscape later.
After calculations were made, three rain cisterns were located around the main house. The one situated in the front holds 1,065 gallons of water and the two in the back each hold 784 gallons of water. The total amount of storage is 2,633 gallons, approximately the amount of water produced by a typical two-inch storm event.
In addition to collecting water that falls on site, this design also takes into account water runoff from the street. Along the southern portion of the site a rain garden was constructed to collect water from the street, temporarily hold it, and filter it by using plants and aggregate before it is absorbed fully into the soil. The rain garden consists of curb cuts, which allows the water to flow from the street into the garden, a 6” depression to hold the water while it percolates through the aggregate layers and plant roots that filter the water before it is absorbed into the soil. This system is beneficial at many levels. It reduces the amount of water that flows into the combined sewer systems, brings more water to the site, and increases plant and animal diversity by providing a wetland habitat.
물 (빗물 저장고와 빗물 정원)
텃밭과 통로가 설계된 후에 물의 요소가 나왔습니다. 야채와 같은, 많은 식물들이 살아남으려면 건조하고 뜨거운 시기에 물을 주어야 합니다. 수도꼭지나 호스에서 나오는 물을 사용하는 대신에 이 현장은 지붕위에서 땅으로 떨어지는 빗물을 수거하여 저수탱크에 보관하고 나중에 조경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궁리 끝에, 본채 주변에 3개의 빗물저장고가 놓였습니다. 앞쪽에 위치한 하나는 1,065갤런(4톤)의 물을 보유하고 뒤쪽의 두 개는 각각 784 갤런(각 3톤)의 물을 보유합니다. 총 저장 용량은 2,633갤런(10톤)으로, 대략 일반적인 2인치(50mm) 호우현상에 의해 생산된 빗물의 양입니다.
부지에 떨어지는 물을 모을뿐만 아니라, 이 설계는 거리에서의 빗물 유입수도 고려합니다. 부지의 남쪽 부분을 따라 거리에서 물을 모으고, 일시적으로 잡고, 토양에 완전히 흡수되기 전에 식물과 골재층을 사용하여 그것을 여과하는 빗물정원을 구축했습니다. 빗물정원은 도로경계석(연석, curb cuts)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빗물이 거리에서 정원으로 흐르도록 하며, 6인치(125mm) 낮게 설치하여 물이 토양에 흡수되기 전에 물을 여과하는 골재 층과 식물 뿌리를 통해 스며드는 동안 물을 잡아두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많은 수준에서 유익합니다. 이는 통합된 하수도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줄이고, 부지에 더 많은 물을 가져다 주며, 습지 서식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식물과 동물 다양성을 증가시킵니다.
Aquaculture Pond
The aquaculture pond is located in the front yard on the south side of the greenhouse. It covers 660 sq ft and reaches a depth of 4 feet. It was designed as a way to farm fish on site and is specifically engineered to raise tilapia. Tilapia was chosen because it tolerates a large range of environments and is very resistant to disease and parasites.
The pond is designed for other plants and animals too, and tries to mimic a natural pond as much as possible. Its border is irregular shaped to increase the amount of edge, which increases water and land contact. This is important because in natural systems the edge is where the most life exists. Fish feed on the plants at the water’s edge, birds nest, and other animals hide. So by creating more edge, more habitat is made. Along the edge there are also large rocks that jut out into the pond. This allows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pond’s activity and could serve as a fishing spot to catch tilapia.
The last benefit the pond has for the site relates to the greenhouse. Because the pond is located directly to the south of the greenhouse it helps to regulate its temperature and keeps it warm in the winter when sun angles are much lower. This happens because the winter sun’s light and heat is reflected off of the water’s surface and enters the greenhouse through its south face. This creates warmer winter temperatures within the conservatory.
수산양식 연못 / 생태 연못
수산양식 연못은 온실의 남쪽에 있는 앞마당에 위치해 있습니다. 넓이는 660 평방피트(61m² / 18.5평), 깊이는 4피트(1.2m)에 이릅니다. 그것은 현장에서 물고기를 양식하는 방법으로 설계되었으며, 특별히 틸라피아(농어목 역돔)를 기르기 위해 검토되었습니다. 틸라피아는 광범위한 환경조건에 견딜 수 있고, 질병과 기생충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연못은 또한 다른 식물과 동물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가능한 자연연못(생태연못)을 흉내내려고 합니다. 그 테두리는 불규칙한 모양으로 가장자리의 양을 늘려 물과 땅 접촉을 증가시킵니다. 자연계에서 가장자리는 가장 생명(생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물고기는 물가의 가장자리에 있는 식물에 먹이를 얻고, 조류 둥지 및 다른 동물들을 숨깁니다. 따라서 가장자리를 더 많이 만들면 더 많은 서식지가 만들어집니다. 가장자리를 따라 또한 큰 바위가 연못으로 돌출되어 나옵니다. 이것은 사람들이 연못의 활동에 참여할 수있게 하고 틸라피아를 잡기위한 낚시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연못이 현장에 대해 갖는 마지막 혜택은 온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연못이 온실의 남쪽에 곧바로 위치해 있기 때문에 태양의 온도가 훨씬 낮을 때 온도를 조절하는데 기여하고 겨울을 따뜻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이것은 겨울 태양의 빛과 열이 물 표면에서 반사되어 남쪽면을 통해 온실로 들어 오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것은 온실 내의 더운 겨울 온도를 만듭니다.
Greenhouse / Chicken Coop
The greenhouse and chicken coop are located along the east face of the existing house. This was done to give the front face of the greenhouse the most exposure to southern sunlight. It was also done because the greenhouse can utilize an existing door that opens directly to the dinning room and kitchen. This allows for direct access from food plants grown in the conservatory to the table where they will be eaten. It is also a convenient location because there is space for the chicken coop and tool shed to be located right behind it. When this is done the heat produced by the animals radiates through the shared wall and helps keep the greenhouse warm while the heat from the greenhouse radiates into the chicken coop keeping the animals warm.
온실 / 닭장
온실과 닭장은 기존 주택의 동쪽면에 있습니다. 이것은 온실의 앞면이 남쪽 햇빛에 가장 많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또한 온실은 다이닝 룸과 부엌에서 곧바로 열리는 기존 문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행해졌습니다. 이것은 온실에서 자란 식용작물을 먹을 수 있게 식탁으로 곧바로 접근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또한 닭장과 공구창고 공간이 바로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편리한 위치이기도 합니다. 이 작업이 완료되면 동물들(닭무리)에 의해 생성된 열이 공유된 벽을 통해 방출되고, 온실에서 나오는 열이 동물들을 따뜻하게 유지시키는 닭장으로 방출되는 동안 온실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5평 Homegrown House 소개>
위의 출품작에 소개된 주택과 부지의 규모가 커서, 우리나라 좁은 국토(부지) 실정에 맞게 61~65% 정도로 줄여 보았습니다.
Site Plan(부지 배치도)는 부지형태에 따라 남북으로 긴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2가지로 디자인 했습니다.
해당부지의 지세나 향(向)에 따라 배치도를 좌우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주택의 형태는 요철없이 심플하게 설계하여 냉난방에너지 절감
- 주택의 규모는 다락있는 단층 25평으로 4인가족이 충분히 거주 가능
(다락은 경사지붕 가중평균높이 1.8m 이내로 하여 건축면적산입에 제외)
- 지붕위 태양열난방시스템인 미풍솔라시스템을 적용하여 냉난방에너지 절감
※ 아래 Site Plan이 귀농 귀촌 등 시골생활을 계획하는 분들에게 보다 많이 활용되길 바랍니다.
(도면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보일러실, 욕실(화장실), 주방, 다용도실 등은 물(水)을 사용하는 습식공간으로서,
가능한 한쪽으로 몰아서 배치하여 급수(냉수, 온수) 배관라인을 짧고 심플하게 구성해 주는 것이,
배관공사 비용도 절약하고 배관의 난방열손실을 줄여 난방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끝>
|
첫댓글 오우 멋지네요. 훗날 실현시켜보고싶네요
실현된 모습을 기대합니다^^
넘 좋아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