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울산 동산 산악회 원문보기 글쓴이: 삼베적삼
원래 제례란 고장의 가문에 따라 제수, 축문, 절차, 참가 범위 등이 모두 다르다.
유교식 제례순서인 강신(降神), 참신(參神), 초헌(初獻), 독축(讀祝), 아헌(亞獻), 종헌(終獻), 음복(飮福)으로 이어지는 대원칙은 어떤 시산제에서든 철저하게 지켜 내려오고 있다.
시산제의 제수는 돼지 머리와 북어, 시루떡, 3가지 색 이상의과일, 초 2자루와 향, 술 등이 기본이다. 음식은 원래 우리 것이 아닌 것을 올릴 수도 있으나 술만큼은 반드시 탁주를 써야 한다. 소주가 휴대하기 간편하다고 편법으로 소주를 올리는 사람도 있지만, 소주를 쓰는 시산제는 올리지 않는 것만 못하다는 것이 연로한 산악인들의 지적이다. 또 최근 시산제에 양주나 포도주 등이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런 무지는 피해야 하는 것이 산악인의 상식이다.
최근의 시산제는 일종의 축제이므로 남녀노소가 참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높은 산보다는 낮은 산을 택하며, 매년 같은 장소에서 지내는 산악회도 있다. 제를 올리는 시간은 회원이 많으면 먼저 산행을 끝내고 시산제를 올리며, 인원이 적을 때에는 시산제부터 올리고 산에 오르는 것이 합리적이다.
요즈음 각 산에서 열리는 시산제를 보면, 대부분의 회원은 경건한 마음으로 시산제에 참가하고 있는데 그 옆에서 웃고 떠드는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의 추태를 방지하기 위해 시산제 장소 주변에 통제요원을 배치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인 시산제의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국민의례가 끝나면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우수 산악인 표창, 격려사, 결산보고나 공지사항 등이 삽입된다. 이러한 순서가 끝나면 시산제로 들어간다.
-----------------------------------------------------
시산제도 가정의 제례와 같이 강신에서부터 시작된다. 초혼관이 된 산악인이 산신에게 시산제를 지내게 된 연고를 고하고 지상으로 내려오게 한다.
"금오산신님 인간 세계로 오십시오" 초혼관이 허공에 손짓을 해가며 산신을 모셔 오는 시늉을 할 때에 시산제 참가자들은 탈모를 하고 옷깃을 여미는 등 예의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런 순서가 참신이다.
참신 다음에는 초헌이다. 산신에게 첫잔을 올리는 이 순서는 대개 제주가 하며 술은 한잔을 올리며 절은 두 번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혼 다음에는 독축이다. 이때 제주는 먼저 지난 한 해 동안 사고 없이 산에 다닌 것에 대해 감사함을 표시하고 올해도 안전산행을 기원하는 등 소망 사항 등을 고한다.
독축 뒤에는 아헌이다. 이 순서는 대개 부회장이나 열성회원, 유공회원, 고령회원이나 이에 준 하는 회원, 초청 인사들이 맡고 있다.
종헌은 한 해 산행의 개근이나 최연소자가 맡는 경우도 있다. 종헌 후 시산제 참가자중 절을 하고 싶은 회원이 있으면 누구라도 잔을 올리고 예를 표하는데 이 순서가 헌작이다. 헌작 뒤 제수를 나누어 먹는 음복을 마지막으로 시산제는 끝난다.
-----------------------------------------------------
시산제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제문이다.
현제 각 산악회에서 사용하는 제문은 한글로 쓴 현대식, 한글과 한문을 혼용한 절충식, 한문으로만 쓴 유교식 등이 있다. 제문에는 시산제 시기와 장소, 자연에 대한 감사, 산악인의 소망, 제주가 회원들에게 하고 싶은 말 등이 들어간다. 그리고 제문은 대개 한지에 종서로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횡서로도 쓰고 산악회에 따라서는 컴퓨터로 작성한 제문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10년의 역사를 지닌 우리 금오산동우회의 제문은 유교식으로 되어 있으며 연연이 이어져 오는 전통이 깊은 축문이다. 결국 그 내용을 분석해 보면 모든 제문들이 대동소이한 것이다. 여기에 원문과 한글본을 소개해 본다.
- 祝 文 原 文 -
維歲次 甲申年 陽曆 1月 11日 金鰲山同友會 會長 李龍守 敢昭告于 大山之神
等伏以 素好看山竝 愛自然 鍛鍊肢體 修養心身 登高攀壁 不辭險峻 伏惟
尊神庶鑑微衷 寧加保裕以安山行 謹以酒脯紙薦尙 饗
(유세차 갑신년 양력 1月 11日 금오산동우회 회장 이용수 감소고우 대산지신
등복이 소호간산병 애자연 단련지체 수양심신 등고반벽 부사험준 복유
존신서감미충 령가보유이안산행 근이주포지천상 향 )
= 祝 文 =
유세차 2004년 1월 11일, 금오산동우회 회장 이용수는 산신님께 고합니다. 산을 좋아하고 자연을 사랑하며 심신을 단련하여, 높은 곳에 오르기를 좋아하는 회원들이 엎드려 아룁니다. 산신님께서는 우리 금오산동우회 회원들뿐 아니라 모든 산악인들이 올해에도 무사히 산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실 것을 빌며, 조그만 정성으로 술과 포를 올립니다.
※ 始山祭 순서 ※
1. 國民儀禮: 愛國歌 齊唱
2. 默 念: 殉國先烈 및 먼저 가신 山岳人들의 冥福을 비는 默念
3. 會長人事: 會 長
4. 祭禮降神
① 祭需 準備: 감, 대추, 밤, 배, 사과, 돼지머리, 탁주, 기타.
② 焚香(분향): 香을 피운다.
③ 招魂(초혼): 招魂官은 아래와 같이 山神님을 부른다.
※ 招 魂 ※
〔2004年 1月 11日 金鰲山同友會 모든 會員들은 지난 1年 동안 우리 모든 會員들이 無事하게 山行을 할 수 있게 도와주신 山神靈님께 앞으로 한 해 동안도 無事하게 山行을 할 수 있게 도와주십사고 조그마한 精誠으로 祭物을 마련하였사오니 神靈님께서는 우리 人間 世上에 내려 오셔서 參席하여 주시옵소서!〕
④ 參神(참신): 모두 모자를 벗고 鄭重한 姿勢로 山神을 對한다.
⑤ 初獻(초헌): 山岳會 會長이 첫 盞을 올린다. 술盞을 올리고 절을 두번반 한다.
⑥ 讀祝(독축): 祝文을 읽는다.
⑦ 亞獻(아헌): 名譽會長, 顧問등이 두 番째 술盞을 올리고 절을 두 번반 한다.
⑧ 終獻(종헌): 副會長, 理事, 部長등이 세 番째 술盞을 올리고 절을 두번반 한다.
( 女子는 세 번한다.)
⑨ 獻酌(헌작): 모든 會員들이 차례로 술盞을 올리고 절을 한다.
5. 飮福(음복): 모든 祭需를 나누어 먹는다.
※ 시산제 상 차리는 법 ※
左脯右해 :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魚東肉西 : 어물은 동쪽, 육류는 서쪽
頭東尾西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紅東白西 : 과일과 조과의 붉은 것은 동쪽, 흰 것은 서쪽
棗栗梨枾 : 동쪽으로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으로
※ 상 차리는 위치 ※
지방, 수저, 메, 국, 메, 국, 술잔, ,술잔, 포, 육류, 적, 어물, 떡, 자반, 나물, 간장, 식혜, 김치, 산자, 조파류, 조과류, 은행, 곳감, 배, 대추, 모사기, 향료, 향그릇,
시산제 상차림 및 준비물
▼ 시산제 음식들의 의미
▼시산제 상차림
돼지머리1개. 시루떡 한말, 통북어포 1마리,
대추15개, 밤15개, 감5개, 배5개, 사과5개, 나물 3가지-도라지, 시금치, 고사리 한과,전.막걸리 재물 차리는 흰색전지, 회원들이 절할 큰자리
양초두개, 향 1통. 종이컵 2줄, 접시 20개, 칼, 막걸리10병, 은박깔판 2개
현수막1개.
*양푼이, 도마, 칼, 가위 *일회용접시, 일회용 장갑, 종이컵, 젓가락, 키친타올, 휴지, 비닐팩, 쓰레기봉투
참고사항:
1.양초는 종이컵에 흙을 조금 넣어서 꽃으면 되고
양초 불이 꺼지지 않게 종이컵에 구멍을 뚫어 촛불을 감싸준다.
2.과일은 홀수로 놓으며, 맨위를 깍지않고 홀수 3단으로 쌓는다.
3.북어포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놓는다.
4.돼지 머리고기나 편육은 홀수 3단으로 쌓는다.
5.시루떡은 통째로 홀수 3단으로 쌓는다.
4.식이 거행하는 동안 잡음이나 농담등 이빨을 드러내어 웃지 않아야 한다.
5.제상 음식을 먹으면 한 해 동안 모든 나쁜 액운이 빠져 나간다고 하여
회원들에게 떡을 조금씩 썰어서 나눠준다.
6.모든 음식과 향, 양초는 접시위에 올려주고, 술잔 놓을 곳은 빈 접시로
놔둔다.
전국에 산재한 대부분의 산악회에서는 새해가 되면 1월초에서 2월초에 이르는 기간에 한 해의 안전산행을 기원하는 시산제를 올리거나 산악회 창립기념일을 전후해서는 창립기념산제를 올린다. 그런데 연륜이 짧은 산악회에서는 시산제 시즌만 다가오면 어디서 시산제를 올려야 하며 제문은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몰라 난처해하기도 한다. 이럴 경우 산악회에 제
례에 밝은 나이 지긋한 산악인이 있으면 모든 것이 간단히 해결되지만, 그렇지 못할 때에는 다른 산악회의 시산제에 참석해 시산제를 지내는 모습을 끝까지 지켜보는 것이 시산제를 익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젊은 산악인들은 시산제의 형식과 절차 등을 자세히 알지 못해서 시산제를 적당히 지내기도 하지만 등산을 취미로 삼고 자주 등산을 한다면 시산제의 형식과 절차 등을 확실하게 배워 격식에 맞는 산제를 제대로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래 제례란 고장과 가문에 따라 제수, 축문, 절차, 참가범위 등이 모두 다르다. 하물며 21세기인 요즈음 개성이 강한 산악인들이 모인 산악회의 시산제가 모두 같을 수는 없다. 허나 유교식 제례순서인 강신(降神), 참신(參神), 초헌(初獻), 독축(讀祝), 아헌(亞獻), 종헌(終獻), 음복(飮福)으로 이어지는 대원칙은 어떤 산제에서든 철저하게 지켜져 내려오고 있다.
산제의 제수는 돼지머리와 북어, 시루떡, 3가지 색 이상의 과일, 초 2자루와 향, 술 등이 기본이다. 음식은 원래 우리 것이 아닌 것을 올릴 수도 있으나 술만큼은 반드시 탁주를 써야 한다. 소주가 휴대하기에 편하다고 편법으로 소주를 올리는 사람도 있지만, 소주를 쓰는 산제는 올리지 않는 것만 못하다는 것이 연로한 산악인들의 지적이다. 또 최근 산제에 양주나
포도주 등이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런 무지는 피해야 하는 것이 산악인의 상식이다.
최근의 산제는 일종의 축제이므로 남녀노소가 참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높은 산보다는 낮은 산을 택하며, 매년 같은 장소에서 지내는 산악회도 있다. 제를 올리는 시간은 인원이 많으면 먼저 산행을 끝내고 산제를 올리며, 인원이 적을 때는 산제부터 올리고 산에 오르는 것이 합리적이다.
요즈음 각 산에서 열리는 산제를 보면, 대부분의 회원들은 경건한 마음으로 산제에 참가하고 있는데 그 옆에서 웃고 떠드는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의 추태를 방지하기 위해 산제장소 주변에 통제요원을 배치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인 산제의 순서
먼저 국민의례가 끝나면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우수 산악인 표창, 격려사, 결산보고나 공지사항 등이 삽입된다. 이러한 순서가 끝나면 산제로 들어간다.
산제도 가정의 제례와 같이 강신에서부터 시작된다. 초혼관이 된 산악인이 산신에게 산제를 지내게 된 연유를 고하고 지상으로 내려오게 한다. "xx산신님 인간세계로 오십시오" 초혼관이 허공에 손짓을 해가며 산신을 모셔오는 시늉을 할 때 산제 참가자들은 탈모하고 옷깃을 여미는 등 예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런 순서가 참신이다.
참신 다음에는 초헌이다. 산신에게 첫 잔을 올리는 이 순서는 대개 제주가 하며 술은 한 잔 올리며 절은 두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헌 다음에는 독축이다. 이때 제주는 먼저 지난 한 해동안 사고 없이 산에 다닌 것에 대해 감사함을 표시하고 올해도 안전산행을 기원하는 등 소망사항 등을 고한다. 회원이 적은 산악회는 제주가 초헌만 하면 그런대로 격식이 갖춰진 셈이지만 회원이 많은 단체에서는 두번째 잔을 올리는 아헌이나 마지막으로 잔을 올리는 종헌도 중요하게 여긴다.
독축 뒤에는 아헌이다. 이 순서는 대개 부회장이나 열성회원, 유공회원, 고령회원이나 이에 준하는 회원, 초청인사들이 맡고 있다.
종헌은 한 해 산행의 개근회원이나 최연소자가 맡는 경우도 있다. 종헌 후 산제참가자 중 절을 하고 싶은 회원이 있으면 누구라도 잔을 올리고 예를 표하는데 이 순서가 헌작이다. 헌작 뒤 제수를 나누어 먹는 음복을 마지막으로 산제는 끝난다.
다양한 제문 작성 방법
산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문이다. 현재 각 산악회에서 사용하는 제문은 한글로 쓴 현대식, 한글과 한문을 혼용한 절충식, 한문으로만 쓴 유교식 등이 있다. 제문에는 산제 시기와 장소, 자연에 대한 감사, 산악인의 소망, 제주가 회원들에게 하고 싶은 말 등이 들어간다. 그리고 제문은 대개 한지에 종서로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횡서로도 쓰고 산악회에 따라서는 컴퓨터로 작성한 제문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현대식 제문
한국등산중앙연합회 소속 K산악회는 현대식 제문을 사용하고 있다.
'한배검 나라 세우신지 사천삼백삼십삼년 OO날. XX산 아래 배달 아들 딸 모여 작은 정성 모두옵고 산신님께 엎드려 비나이다. 뭇 산의 어머니시여! 당신의 가이없는 지혜와 자비와 힘을 구부려 한마음으로 기리나이다(중략).산신님 굽어보시는 하늘 아래 봄빛 어리고 누리에 바람차니 햇살 가득 하오이다. 작은 정성 거두시고 봄, 여름, 가을, 겨울 들거나 나거나
저희 얼과 몸을 부디부디 봄날의 햇살처럼 감싸 보살펴 주소서! 한배검 나라 세우신지 사천삼백삼십삼년 OO날.'
절충식 제문
산악인이며 서예가인 정필선씨는 절충식의 제문이 산제의 제문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한다. 그가 지은 제문은 다음과 같다.
앞부분은 '維歲次 OO年 X月 X日 X時 OO山岳會 山祭祭主 OOO顯 OO山神' 중간부분은 한글로 자연과 산신에 대한 감사, 그동안 산악회의 활동과 앞으로의 활동상황 등이 들어가며, 마지막으로 '정성스럽게 음식을 만들고 술을 따르니 드시옵소서'라는 의미의 謹以淸酌 庶羞恭伸 尊獻尙饗으로 끝난다.
유교식 제문
인수산악회는 유교식의 한문 제문을 쓰고 있다.
'維歲次 OO年 X月 X日 朔 XX山岳會 OO會長 敢昭告于 土地之神 OO山岳會 會員一同
合心恭修歲事于 OO道 XX面 XX山 山神 惟時保佑無事山行 日就月長實賴神伏敢以 酒餠脯果敬伸尊獻尙饗'
내용은 'OO년 X월 X일 XX산악회 회장 OOO은 XX토지신께 고합니다. 산악회 회원 일동은 합심하여 OO도 XX면의 산신께 제를 올리니 굽어 살피셔서 올해도 무사하게 등산하게 도와주십시오. 여기 술, 떡, 포, 과일 등을 준비했으니 거두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소개한 세 가지의 제문은 제문 형식을 그런대로 갖추었다. 제문을 마련하지 못한 새로 생긴 산악회는 이 제문 중 하나를 택해도 되고 약간 변형시켜서 써도 좋다. 요즈음의 산제는 일종의 축제 성격도 있으므로 오래된 산악회라도 새 제문으로 산제를 지내면 회원 단합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출처 : 월간 산)
2. 시산제의 유래 및 고려 사항
새해가 되면 전국의 많은 산악회들이 아담하고 한적한 산을 찾아 산악회의 무사산행을 기원하는 시산제를 올린다. 보통 시산제는 1월에서 2월 중순까지 실시되며 일부에서는 창립기념일을 산제 일로 잡는 경우도 있다. 산악회의 연중 행사 중 가장 첫 행사인 시산제는 회원들이 대거 참여하는 만큼 화합과 만남의 자리가 되기도 한다.
산행이 산을 무대로 해 이루어지는 만큼 산에 대해 제을 올리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제사상을 펴놓고 무작정 산에 절을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집안 제사에도 순서가 있듯이 시산제에도 예의와 순서가 있으며 지켜야 할 도리가 적지 않다. 이런 절차와 예의 때문에 이제 갓 창립한 산악회로선 시산제를 지내고 싶어도 순서와 제문을 쓰는 요령등을 몰라 허둥대는 경우가 많다.
원로 산악인들은 시산제가 시작된 것은 그리 오래지 않으며 예전에는 시산제와 같은 행사가 없었다고 한다. 그러면 언제부터 산악인들이 시산제를 지내기 시작했을까? 우산 1966년 설악산 관광진흥사업의 일환으로 설악산악회, 예총 속초지부, 속초시 공보실이 공동주관한 설악제를 들 수 있다.설악산을 널리 알리기 위해 시작된 이 설악제는 산제의 형식보다는 등반 대회 등 축제의 성격이 짙었다.
한국산악회 최선웅 총무이사는 시산제의 시초는 동국대학교 산악회에서 찾는다. 동국대학교 산악회가 68년 신년 초에 북한산에 올라 돼지머리와 음식을 장만하고 제사를 올린 게 시산제의 시초라는 것이다. 당시에는 최근의 시산제처럼 유교적 순서에 따라 축문을 읽고 소지를 하는 등의 의식을 치르지 ?았지만 등반 중 사망한 악우들과 산신에게 무사산행을 기원하며 제를 올렸다고 한다.
이 즈음 산악회들은 오늘과 같은 시산제 행사를 갖지 않았다. 다만 등반장비가 귀했을 때이므로 자일이나 텐트 등의 귀중한 장비를 구입한 후 안전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장비 앞에 술을 따라놓고 간단히 제를 올리는 일은 있었다.
그러면 지금과 같은 시산제를 올리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산악계에 시산제가 자리잡게 된 것은 27년 전인 1971년 서울특별시 산악연맹이 '설제(雪祭)'를 시작하면서부터라는 게 통설이다. 서울시연맹은 1회 설제를 71년 2월 첫째주, 명성산에서 실시했으며 다음해인 72년에는 2월 첫째주 운길산에서 지냈다.
이원직회장(작고) 재임시 시작된 이 설제는 산악인을 대표하는 연맹으로서 산악인의 무사산행을 기원하고 연맹 산하단체 회원들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설제'는 초창기에 1천여명의 회원들이 모였을 정도이며 지금도 30여대의 버스가 동원될 정도로 성황을 이루고 있다.
서울시연맹이 '설제'란 이름으로 매년 산제를 올리면서 연맹산하의 산악회와 안내산행을 하는 산악회 등도 산신에게 무사산행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시산제를 수용하게 되었다. 80년대 들어서면서 시산제는 하나의 유행처럼 산악계에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거의 모든 산악회가 연중 행사의 하나로 실시하기에 이르렀다.
무사한 산행을 기원하는 시산제의 기원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시산제의 기원은 우리의 전통적인 신앙인 산악 숭배사상이라 하겠다. 산에 제를 얼리고 소원을 기원하는 행위의 근원은 <삼국사기> 잡지 제사편에 전하는 신라의 5악 숭배사상에서 찾을 수 있다.
통일신라는 북으로 백두산, 남으로 지리산, 동으로 금강산, 서로 묘향산, 중으로 계룡산을 5악으로 숭배했으며, 조선시대에는 묘향산에 상악단, 지리산에 하악단, 계룡산에 중악단을 설치하고 1년에 두 차례에 걸쳐 산신에게 제를 지냈다.
이런 산악 숭배사상은 동제나 서낭제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나라의 근심이나 자신의 두려움과 불안을 산신에게 기원해 안정을 찾고자 했던 것이라 풀이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시산제는 산행의 안전을 기원하는 마음이 전통적인 산악 숭배사상과 맞물려 생겨난 것이라 하겠으며 최근에는 회원들의 친목을 도모하고 단합을 위한 행사로 발전하고 있다.
시산제를 지내기 위해 고려할 점은 무엇인가.
우선 한적한 산행장소를 선택해야 한다.
산행 후 제를 올리는 것이 일반적인 만큼 시산제 시간에 맞추어 여유로운 산행을 할 수 있는 곳이라야 한다. 또 많은 사람이 몰리는 혼잡한 산은 피해야한다. 산행코스가 너무 길 경우에는 산행시간이 늦어져 이날 산행의 궁극적인 목적인 제를 올릴 수 없게 될 수도 있으며 소란스럽다보면 경건해야 할 산제의 의미가 퇴색되고 만다. 또한 제를 올릴 수 있는 넓은 장소가 있는 산이라야 한다. 집안의 제사도 가장 넓은 안방을 이용하듯 제사상을 펼치고 여럿이 함께 서 있을 수 있는 곳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특히 시산제는 보통 일요일이나 공휴일에 지내므로, 교통이 혼잡하지 않고 거리상으로 가까운 장소를 선택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시산제를 지낼 장소를 정했다면 제수를 준비해야 한다.
시산제에서 없어서는 안될 가장 기본적인 것은 떡과 돼지머리와 술, 북어, 감, 대추, 밤, 배, 사과 등이다. 제상에 올리는 음식은 크게 제한이 없지만 이 중 술은 반드시 막걸리를 준비해야 하며 돼지머리도 반드시 준비해야 한다.
다음은 산신령께 산행의 안전을 기원하고 소망을 비는 제문을 만들어야 한다.
제문은 한글로 쓰거나 한글과 한문을 혼용해 쓰는 경우, 한문으로만 쓰는 경우가 있다. 한글과 한문을 혼용해 쓰는 것이 보통이며 근래에는 한지에 붓으로 쓰지 않고 컴퓨터 프린터를 이용해 제문을 만들기도 한다.
대개의 제문은 우선 시산제의 시기와 장소, 산제를 올리는 이유를 밝히고 산의 고마움에 대한 감사, 산악회내의 기원 등으로 이루어진다.
국한문 혼용으로 쓰여진 서울시연맹의 제문을 보면
'維歲次 戊寅 二月 癸巳 朔 十五日 서울特別市山岳聯盟 會長 金仁植은山岳聯盟 加盟團體 會員 및 同好人 一同과 함께 山紫水麗한 이곳 철마산에서'로 강림을 기원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다.
중간부분은 '예로부터 山紫水明한 우리강산은 錦繡江山으로 자랑되어 왔으며 더욱이 이 水麗한 철마산은 (중략) 우리 山岳人 一同은 이러한 大自然의 奧妙한 精髓와 아름다움의 極致 속에서 自然을 欽慕하고 自然과 同化되며 꾸준한 山行을 通하여 忍耐와 協同 (후략)' 으로 이어져 산에 대한 감사의 표시가 이어진다.
제문의 마지막은 산악회의 소원을 비는 문구로 '전 山岳人의 安全과 建全한 登行이 維持되도록 끊임없는 가호가 (중략) 嚴肅하고도 敬虔한 마음으로 이 盞을 올리오니 山神靈님이시여 이 精誠을 大札로 懇切히 바라옵나이다'로 끝맺고 있다.
제문의 마지막은 '정성스레 음식을 마련했사오니 거두어 주십시오' 나 '제를 올리니 거두어 주시기 바랍니다' 등 여러가지 형태로 바꾸어도 좋다.
제문을 마련했다면 산행에 나서 음식을 차리고 제를 올린다.
제사상은 보통 산 정상을 뒤로하고 일반 제사상과 비슷하게 차린다. 과일은 '홍동백서'란 유교식 제사 상차림처럼 붉은 것은 동쪽, 흰 것은 서쪽에 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돼지머리는 서쪽, 떡은 동쪽에 놓는다. 제사상을 차리고 제사상 앞에 분향을 위한 향로를 마련했으면 시산제를 시작해야 한다.
시산제의 순서는 어떻게 될까?
유교를 숭배했던 우리 민족이니 만큼 시산제 역시 유교적 순서를 따르고 있다. 먼저 회장이나 원로회원이 강신의 절차를 밟게 되는데 제사상 아래 마련한 돗자리에 올라 향을 피우고 산신께 술을 바친 후 좌, 우, 중앙에 세번씩 술을 붓고 재배를 하게 된다. 참가자들은 강신시 모자를 벗고 예의를 표하는 것이 기본이다.
강신 이후에는 초헌에 들어간다. 산신에게 첫 잔을 올리게 되는 초헌은 보통 제주인 산악회 회장이 맡게 된다. 산신께 술을 올리고 재배한다.
초헌 후에는 제주가 제문을 읽는 독축에 들어간다.
두번째 잔을 올리는 아헌은 부회장이나 원로회원, 초청인사들이 맡게 되는데 역시 술잔을 올리고 산신께 재배를 하면 된다.
세번째 잔을 올리는 종헌은 집안 제사의 경우 종손이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산제에서는 가장 열성적인 활동을 벌인 회원이나 임원 중 고령자나 최연소자가 맡기도 한다.
종헌을 마치고 나면 누구나 분향할 수 있는 헌작이 이어지는데 회원이나 임원, 외부인사 등 누구나 잔을 올리고 재배할 수 있다.
헌작이 끝나면 제사상의 음식을 나누어 먹는 철상이 이어진다. 최근 철상시 한꺼번에 제사상에 몰려 몸싸움까지 벌이는 추태를 보이기도 하는데 제사상의 음식은 참석자 모두가 골고루 나누어 먹는 게 기본이다. 제사상에 음식을 먹으면 연중 탈이 없다는 생각에서 나온 철상 의식은 협동을 미덕으로 하는 우리민족의 제사의식을 가장 잘 나타내는 의식이다. 이런 점에서 산제를 지낼 때에도 함께 음식을 준비하고 함께 나누어 먹는 미덕을 지켜가야 할 것이다.
철상이 끝나고 나면 제문을 태워 날리는 소지를 하게 되는데 제사의 마지막 절차다. 소지는 제문에 쓰여진 기원이 산신령님께 전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경건하게 치러야 한다. 소지를 끝으로 모든 제는 끝나게 된다.
시산제는 제상에 술과 음식을 많이 차리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회원들 모두가 경건한 마음을 가지고 제사를 올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제를 올리는 동안 웃고 떠들거나 제를 올리기도 전에 술에 취해 비틀거리는 행위 등은 시산제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또 시산제 후에 남은 음식이나 쓰레기를 아무 곳에나 버리는 행위 등도 산악인의 양심을 저버리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
(출처 : 월간 사람과 산)
3. 시산제를 지내는 방법
사전 준비물
시산제를 지내려 할 때 가장 먼저 닥치는 문제는 언제, 어디서 지낼 것인가 하는 점이다. 우리 고유의 산신제는 음력 정월 초하루(설날)부터 정월 대보름 사이에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양력이 보편화된 지 오래이므로 양력 1월 1일부터 음력 대보름날까지 편한 날을 하루 택하면 무난하지 않겠느냐는 것이 모 산악회 회원들의 말이다.
산제 장소로는 산정에 널찍한 공터가 있는 이름난 산이면 우선 합격이지만 방향도 문제다. 즉, 제사상은 북쪽에 차리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 가정에서 차례를 지낼 때 병풍을 친 쪽을 북으로 가정하듯, 시산제 때도 '00산악회 00년 00월 00산악회 시산제'라고 쓴 플래카드를 설치한 곳을 북으로 간주하면 되리라는 것이 모 산악회의 설명이다.
시산제에 쓸 음식인 제수는 어떤 것을 얼마나 준비해야 할까. 원칙대로라면 그 양이 엄청나다. 비용도 비용이려니와 높은 산정으로 가져가야 하므로 양이 너무 많아서도 곤란하다. 때문에 극히 간단히, 반드시 필요한 것만 챙겨간다. 돼지머리를 비롯해 대추, 밤, 감, 배에 사과까지 5과, 그리고 북어포와 시루떡을 제기에 담았을 때 초라한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로만 준비한다. 이 정도 준비에 드는 비용은 대략 7만~10만원이다.
단, 이러한 음식을 담으려면 제기(祭器)가 필요하다. 제기는 한 번 준비하면 두고두고 쓰게 되므로 조금 좋은 것으로 마련한다. 목제 제기의 경우 시산제를 지내는 데에 쓸 수 있는 것은 15만~20만원쯤이면 시장에서 살 수 있다. 각 음식마다 제기 각각 하나씩, 그리고 향로, 잔을 물릴 모사그릇(흔히들 퇴주잔이라 부름), 젓가락을 놓을 제기, 잔과 잔을 놓을 받침을 준비한다. 여기에 향과 향로, 양초 두 자루, 깔개, 플래카드와 플래카드를 걸 때 쓸 끈만 준비하면 된다.
술은 거의 모든 산악회들이 탁주나 청주 같은 곡주를 쓴다. 산신은 곧 지신이니 땅에서 수확한 과실로써 빚은 술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축문(혹은 제문)도 사전 준비해야 한다. 축문은 유세차(維歲次, '이 해의 차례는'의 뜻)로 시작하는 한문으로 쓰는 것이 원칙이나 그 뜻을 알아듣기 어렵기 때문에 한글로 풀어 쓰는 경우가 많다. 축문에는 축문을 올리는 시일(시간), 축문을 올리는 사람의 신분, 제사의 대상, 제사를 올리는 사실을 차례로 기록하고, '정성스레 제물을 바치오니 흠향 하옵소서'로 끝맺는다. (아래 제문 참조)
만약 시산제 축문의 모델이 필요하다면 아래의 것을 본뜨면 될 것이다.
제물 차리기
시산제 장소에 도착한 뒤에는 플래카드를 걸고 깨끗한 깔개를 깔고 제삿상을 차리는데, 이때 헷갈리곤 하는 것이 제물(제수)을 배열하는 방법이다. 제물의 종류는 각 지방마다, 또 집안마다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어느 지방이건 지키는 원칙이 있는데 특히 진설(陳設), 즉 제수배열법이 그렇다.
진설법은 홍동백서(붉은 것은 동쪽, 흰 것은 서쪽), 생동숙서(날 것은 동쪽, 익은 나물류는 서쪽), 어동육서(물고기는 동쪽, 뭍고기는 서쪽), 두동미서(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로 외워두면 쉽다.
또한 맨 첫줄에 과일, 둘째줄에 나물과 포, 셋째줄에 탕, 네째줄에 적과 전, 다섯째줄에 메(밥)을 올린다는 원칙도 있으니 참고로 한다. 시산제 때는 대개 과일, 그리고 메를 대신해 떡을 올린다.
과일을 놓는 것도 순서가 있다. 제삿상을 마주본 상태에서 왼쪽부터 조율이시, 즉 대추, 밤, 감, 배의 순서로 놓는다. 이는 대추는 씨가 하나여서 제왕을 의미하고, 밤은 한송이에 3개가 열리므로 3정승, 감은 씨가 6개이므로 6판서를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조율이시에 사과를 더한 것은 '같은 종류의 제수는 홀수로 차린다'는 제례 전통 때문이다. 한편 제삿상을 마주 바라본 상태에서 어포류는 왼쪽, 떡은 오른쪽에 둔다.
제례 절차
원례 제례의 절차는 참신 혹은 강신, 진찬, 초헌, 아헌, 종헌, 첨작, 개반삽시 등의 순서로 진행한다. 시산제 때는 이중 생육이나 어육을 올리는 단계인 진찬은 대개 준비하지 않으니만큼 생략한다. 다만 홀기(笏記: 의식의 차례를 적은 글)나 집사자(執事者) 없이 우물우물 시산제를 진행하면 경건함이 크게 훼손하므로 반드시 홀기대로 순서껏 진행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모 산악회의 충고다.
우선 대강의 준비가 갖추어지면 집사로 선정된 사람 중 한 명이 촛불을 밝히고 향을 피운 다음 "행사를 시작합니다"를 세번 반복한다. 그 뒤 홀기를 읽으며 순서대로 진행하는데 이는 산악회의 최연장자가 전 회원의 왼쪽 옆에 따로 서서 읽어 나간다.
모 산악회의 홀기 내용과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헌관 및 모든 집사와 제관은 제단 앞에 서 주십시오.
(이 말에 모든 산악회원들이 제삿상과 5m쯤 거리를 둔 상태로 길게 모여 선다)
2. 집사는 초헌관을 모시고 제물을 점시하시오.
(초헌관은 곧 제주로서 대개 산악회장이, 집사는 산악회의 주요 간부 두 사람이 맡으며, 집사 두 사람은 초헌관 양쪽에서 제사상 앞으로 모셔가는 시늉을 한다. 점시한다 함은 제수가 제대로 잘 차려졌는지를 살핀다는 뜻)
3. 초헌관과 집사는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4. 헌관이하 모든 제관은 참신 재배를 하시오.
(참신이란 산신앞에 참배한다는 뜻으로,전 회원이 신발을 벗고 두 번 절한다. 절 할 때는 왼손을 오른손 위에, 왼발을 오른발 위에 올려놓는다. 재배 후에는 반절을 해야 하며,무릎은 항상 붙여야 한다)
5. 초헌례를 행합니다. 집사는 초헌관을 모시고 손을 씻으시오.
(제삿상으로부터 멀찌감치 꿇어 앉아 손을 씻는다. 이때 물수건으로 대신해도 좋다)
6. 집사는 초헌관을 모시고 향로 앞에 인도하여 궤하시오.
(집사 두 사람이 초헌관을 모시고 제단 앞으로 가서 세 사람 모두 꿇어앉는다)
7. 집사는 향로와 향합을 헌관 앞에 놓으시오.
8. 헌관은 향을 세 번 올리시오.
(향을 분질러 종지에 담아 놓은 것을 세 번 향로 안에 뿌리는 것으로 대신)
9. 집사는 술잔에 술을 부어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잔을 받아 땅에 세 번 부으시오.
(헌관이 잔을 받쳐 들면 집사 한 사람이 술을 따른다. 두 개의 잔 중 남성 신의 것인 왼쪽 잔을 채워 제삿상 앞의 중앙, 왼쪽, 오른쪽에 조금씩 나누어 붓는다)
10. 헌관은 약간 뒤로 서서 재배를 하시오.
(두 번 절 한 후 반절)
11. 헌관은 다시 영위(靈位) 전에 궤하시오.
(꿇어 앉음)
12. 집사는 술잔에 술을 부어 헌관에 드리시오.
(먼저 왼쪽 잔에 술을 부어 헌관에게 준다. 그러면 헌관은 잔을 받아 향 위에 세 번 돌린다)
13. 헌관은 술잔을 집사에게 주어 제상 위에 놓으시오.
(여성 산신의 잔인 오른쪽 잔도 12,13의 절차를 밟는다)
14. 집사는 저를 제물 위에 놓으시오.
(두 집사는 포나 떡 위에 남성신과 여성신의 젓가락을 걸쳐 놓는다)
15. 축관은 좌측에서 축문을 읽으시오.
(축문을 읽는 사람, 즉 축관은 산악회에서 가장 목청 좋게 낭독할 수 있는 사람을 선정, 미리 대기시킨다. 축문 낭독을 할 때는 낭독자는 물론, 전 산악회원이 꿇어앉는다)
16. (축문 낭독이 끝난 뒤)헌관은 조금 뒤로 서서 재배하시오.
(두 번 절 한 후 반절)
17. 집사는 초헌관을 원위치로 인도하시오.
18. 아헌례를 행합니다.
(아헌은 두번째 올리는 잔으로서, 대개 부회장이 올리며 순서와 격식은 초헌관과 똑 같다(다음의 25까지)
19. 집사는 아헌관을 모시고 손을 씻으시오.
20. 집사는 아헌관을 모시고 영위 전에 인도하여 궤하시오.
(무릎을 꿇은 다음 집사는 초헌관이 올렸던 잔을 집어서 아헌관에게 준다. 그러면 아헌관은 이를 받아서 퇴주잔인 모사그릇에 세 번 나누어 잔을 비운다. 역시 왼쪽의 남성신 다음 여성신의 순서. 그러면 축관이 다음 21번을 읊는다)
21. 집사는 술잔에 술을 부어 헌관에게 드리시오.
22. 헌관은 술잔을 집사에게 주어 제상 위에 놓으시오.
23. 집사는 저를 바르게 내려놓으시오.
(남성신과 여성신의 젓가락을 다른 음식의 위로 옮긴다)
24. 헌관은 조금 뒤로 물러서서 재배하시오.
25. 집사는 아헌관을 원위치로 인도하시오.
이상, 18~25의 아헌은 부회장 이외에도 산악회원, 외부초청인사 등, 원하는 이는 누구나 할 수 있게 한다. 돼지머리의 입에다 고삿돈(기부금)을 먼저 꽂아놓은 다음 잔을 올린다. 시간상 문제가 될 것 같으면 부회장 이외의 사람들은 홀기 낭독을 생략한다.
26. 종헌례를 행합니다. 집사는 종헌관을 모시고 영위 전에 궤하시오.
(대개 산악회의 주요 간부가 종헌관을 맡는다).
27. 집사는 술잔에 술을 부어 헌관에게 드리시오.
(잔을 받아 향 위에 세 번 두른다)
28. 헌관은 술잔을 집사에게 주어 제상 위에 놓으시오.
(역시 왼쪽 잔, 오른쪽 잔의 순서)
29. 집사는 저를 바르게 내려놓으시오.
(젓가락을 다른 음식 위로 옮긴다)
30. 헌관은 조금 뒤로 서서 재배하시오.
31. 집사는 종헌관을 원위치로 인도하시오.
32. 집사는 초헌관을 모시고 영위 전에 궤하시오.
33. 집사는 술잔에 첨작을 하시오.
(놓인 잔에 술을 조금씩 더 따른다. 이는 신령께 술을 더 권하는 의미다)
34. 초헌관은 약간 뒤로 서서 재배하시오.
35. 집사는 초헌관을 원위치에 인도하시오.
36. 헌관 및 모든 제관은 엎드려 감모를 하시오.
(모든 산악회원이 경건한 마음으로 조금 오랫동안 가만히 엎드려서 37의 순서까지 기다린다)
37. 축관은 세 번 기침을 하시오.
(축관이 "어험, 어험, 어험"하고 세 번 헛기침을 하면 그것을 신호로 모든 회원이 몸을 일으킨다. 그 뒤, "헌관 및 모든 제관은 바로 서주시오"라고 홀기 낭독자가 말하면 알어선다)
38. 집사는 저를 내려놓으시오.
(젓가락을 제례 시작 전에 놓았던 자리로 옮긴다)
39. 현관 및 모든 제관은 사신 재배를 하시오.
(즉, 신과 이별하는 의식이다)
40. 음복례를 행합니다. 집사는 초헌관을 모시고 향탁 앞에 궤하시오.
41. 집사는 영위 전에 있는 술잔을 헌관에게 드리시오.
42. 헌관은 잔을 받아 음복하시오.
43. 축관은 축문을 불에 태우시오.
(무릎을 꿇고 불을 붙여 태운다. 산불의 위험이 있으면 그냥 가지고 내려간다)
44. 헌관 ? 축관은 자리에서 일어서시오.
45. 집사는 초헌관을 모시고 원자리로 인도하시오.
46. 집사는 예를 마쳤음을 고하시오.
(집사중 한 사람이 "행사를 마쳤읍니다"를 3회 반복하여 외친다. 그 후 상을 뒤로 물려서 돼지머리를 잘라 "고시레!"를 한 다음 술과 음식을 전 회원이 나눈다)
이상, 격식대로 행해도 시산제에 걸리는 시간은 40분 정도라고 한다. 기왕 산신제를 할 예정이면 이 순서를 미리 적어 두었다가 따라하도록 한다.
(이 자료는 경주 일요산악회에서 제공한 자료입니다. 전화 054-775-1555).
제문의 예
경주 일요산악회 1999년 제문을 '산사랑'에 맞춰 날짜와 장소를 변경한 것입니다.
檀紀 4334年 西紀 2001年 庚辰年 2月 4日
바야흐로 '산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의 희망을 밝히는 찬란한 새해를 맞으며 PC通信山岳會 '산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會員 一同은 辛巳年 無登山 始山祭를 거행함에 앞서 天地神明과 無登山神께 엎드려 고하나이다.
전지전능하신 천지신명이시여. 금일 우리는 선현의 발자취가 은은히 느껴지는 이곳 정상에서 지난 한해를 감사하고 반성하며 내일의 번영과 도약을 다짐하기 위한 일념으로 전체 회원의 정성을 모아 성스러운 祭를 올리나이다.
거듭 비옵건데 신사년 한해도 서로 화합과 사랑이 넘치게 하여 주시옵고 무사한 산행이 되도록 업드려 고하나니, 천지신명이시여, 이 한 잔 술을 흠향하여 주옵소서.
檀紀 4334年 西紀 2001年 2月 4日
산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회원 일동 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