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③ 학년 |
(2000)학년도 제(2)학기 (중간)고사 < 漢 文 > 과목코드( ) 2000년 10월 11일(水) : (4)교시 (인문)계열 (한문)과 문제지 |
출제자 |
계 |
부 장 |
교 감 |
교 장 |
洪承萬 |
배 점
( 총 100점 ) |
※ 객 관 식 (1번~15번 : 각4점 ) ▷ 60점
※ 주 관 식 (1번~10번 : 각4점 ) ▷ 40점 |
【 1 】다음 중, 「興盡悲來(흥진비래)」의 반대말은?
① 苦盡甘來(고진감래) ② 甘呑苦吐(감탄고토)
③ 雪上加霜(설상가상) ④ 以熱治熱(이열치열)
⑤ 同苦同樂(동고동락)
【 2 】다음 漢字의 뜻과 음은?
○ 氷 |
|
① 물(수) ② 얼음(빙) ③ 나무(목) ④ 흙(토) ⑤ 땅(지)
【 3 】다음 四字成語(사자성어)와 같은 뜻은?
○ 安分知足(안분지족) |
① 苛斂誅求(가렴주구) ② 麥秀之嘆(맥수지탄)
③ 安貧樂道(안빈낙도) ④ 風樹之嘆(풍수지탄)
⑤ 酒池肉林(주지육림)
【 4 】다음 時調와 가장 관련이 깊은 四字成語(사자성어)는?
○ 까마귀 싸우는 골에 白鷺(백로)야 가지 마라。 성낸 까마귀 흰 빛 새올셰라。 淸江(청강)에 기껏 씻은 몸을 더럽힐까 하노라。 |
① 結草報恩(결초보은) ② 易地思之(역지사지)
③ 竹馬故友(죽마고우) ④ 近墨者黑(근묵자흑)
⑤ 淸廉潔白(청렴결백)
【 5 】다음 밑줄 친 부분과 가장 잘 어울리는 故事成語는?
○ 밤이 되면 달도 없는 그믐철야에 팔봉산도 사람이 寢所(침소)로 들어가듯이 어둠 속으로 아주 없어져 버립니다。 그러나 공기는 수정처럼 맑아서 별빛만으로도 넉넉히 좋아하는 「누가복음」도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① 手不釋卷(수불석권) ② 浩然之氣(호연지기)
③ 泉石膏肓(천석고황) ④ 淸風明月(청풍명월)
⑤ 螢窓雪案(형창설안)
【 6 】다음 밑줄 친 부분과 같은 의미의 한자어는?
○ 설령 중국 사람들이 영어에서 태풍이란 말을 따왔다고 하더라도 그 뿌리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학자들은 아랍어의 빙글빙글 돈다는 ‘Tufan’이 유럽인들에게 전해진 듯 하다고 추론한다。 태풍의 생성 과정도 미스터리다。 한국에 피해를 주는 태풍은 북태평양 남서부 해상에서 열대성 저기압이 발달한 것이다。 해수면 온도 상승, 대기 불안정 등이 원인이 되어 어느 날 갑자기 폭풍이 되고 태풍으로 다가온다。 |
① 起源(기원) ② 發源(발원) ③ 根源(근원)
④ 始源(시원) ⑤ 語源(어원)
【 7 】밑줄 친 부분과 가장 잘 어울리는 故事成語는?
○ 날카로운 첫키스의 추억은 나의 운명의 지침을 돌려 놓고, 뒷걸음쳐서 사라졌습니다。 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 때에 미리 떠날 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이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
① 去者必反(거자필반) ② 右往左往(우왕좌왕)
③ 巧言令色(교언영색) ④ 會者定離(회자정리)
⑤ 神出鬼沒(신출귀몰)
【 8 】다음 四字成語(사자성어)와 뜻이 같지 않은 것은?
○ 心心相印(심심상인) |
① 同床異夢(동상이몽) ② 不立文字(불립문자)
③ 拈華示衆(염화시중) ④ 敎外別傳(교외별전)
⑤ 拈華微笑(염화미소)
【 9 】다음 밑줄 친 부분과 연관 있는 故事成語는?
○ 어쩌랴。 하늘 가득 머리 풀어 울고 우는 빗줄기。 뜨락에 와 가득히 당도하는 저녁 나절의 저 음험한 悲哀(비애)의 어깨들。 오, 어쩌랴。 나 차가운 한 잔의 술로 더불어 혼자일 따름이로다。 뜨락엔 작은 나무 椅子(의자) 하나, 깊이 젖고 있을 따름이로다。 全財産(전재산)이로다。 |
① 龍頭蛇尾(용두사미) ② 安分知足(안분지족)
③ 勞心焦思(노심초사) ④ 三顧草廬(삼고초려)
⑤ 同病相憐(동병상련)
【10】다음 글과 연관이 있는 故事成語는?
○ 우리는 역사학도들의 일부가 독선과 독단에 깊이 사로잡힌 나머지 흔히 자기 혼자서 민족의 운명을 간파한 것처럼 맹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① 刻舟求劍(각주구검) ② 守株待兎(수주대토)
③ 我田引水(아전인수) ④ 緣木求魚(연목구어)
⑤ 曲學阿世(곡학아세)
【11】다음 밑줄 친 부분과 같은 의미의 故事成語는?
○ 이런 상황에서 성별 구분 없는 인간 보편의 문제라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남성이 특권을 갖는 사회 속에서 성별이 중요하지 않다는 전제는 여성에게 억압적일 수밖에 없다。 바로 그 억압의 틀을 깨기 위하여 여성주의가 대두되는 것이다。 남성주의가 인간주의라는 이름을 도용해서 남성주의가 갖고 있는 편파성을 감추었다면 빨리 그 이름을 포기하고 교정하는 것이야말로 편견 없는, 보다 진보된 사상의 발전을 꾀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주의를 이해하고 사용해야 한다。 |
① 狐假虎威(호가호위) ② 指鹿爲馬(지록위마)
③ 朝三暮四(조삼모사) ④ 菽麥不辨(숙맥불변)
⑤ 羊頭狗肉(양두구육)
【12】다음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같은 것은?
○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냐’와 같이 각자가 정당성을 주장하면서 서로 모순되는 주장을 펼 때 우리는 당혹감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
① 二律背反的(이율배반적)인 ② 相互排他的(상호배타적)인
③ 相互誹謗的(상호비방적)인 ④ 自己中心的(자기중심적)인
⑤ 循環論理的(순환논리적)인
【13】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故事成語는?
○ 匹夫(필부)가 재물이 없으면 반드시 팔을 걷어 붙이고 남의 재물을 빼앗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해를 당하는 자는 몇몇 사람에 불과하다。 貪虐(탐학)한 관리가 수령으로 되면 해독이 한 고을에 퍼지고, 膀白(방백)으로 되면 해독이 한 방면에 퍼진다。 이러므로 朱子(주자)가 그 노여움을 얼굴에 나타내면서 말하기를, “큰 글자를 얼굴에다가 새겨서 귀양 보내야 한다。”라고 하였다。 심지어는 卿相(경상)으로 된 자가 재물을 탐내어서 다함이 없으면 나라를 좀먹는 것이 또 어떠하겠는가? |
①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 ②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③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④ 春來不似春(춘래불사춘)
⑤ 良藥苦於口(양약고어구)
【14】다음 글의 핵심 사항은 무엇인가?
○ 明(명)나라 郭韜(곽도)는 말하기를, “貪贓(탐장)한 관리가 서울에 들어와서 대신에게 銀(은) 일천 냥을 뇌물로 먹였다면 外職(외직)에 있을 때 백성의 돈 수만 냥을 벗겨 낸 것이고, 무신이 대신에게 은 일만 냥을 뇌물로 주었다면, 외직에 있었을 때 군사의 膏血(고혈) 수만 냥을 벗겼을 것이다。 사사로 백 곱절 되는 재물을 탈취해서 오직 한 곱절만으로써 이를 취한다。 미끼를 대신에게 먹여서 명성과 명예를 사고 後援(후원)으로 맺는데, 이로 인해서 승진하고 또는 考察(고찰)을 늦추어서 반드시 안전을 보장받는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뼈에 사무치는 말이다。 |
① 夏蟲不知氷(하충부지빙) ②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③ 上濁下不淨(상탁하부정) ④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
⑤ 死後藥方文(사후약방문)
【15】다음 설명 중, 연결이 적절하지 못한 것은?
① 反哺之孝(반포지효)-자식이 자라서 부모에게 효도함。
② 伯牙絶絃(백아절현)-백아와 종자기의 절친한 사귐。
③ 口蜜腹劍(구밀복검)-겉으로는 친한 척, 속으로는 해칠 생각。
④ 刎頸之交(문경지교)-서로 목 졸라 죽이려는 원수지간。
⑤ 風樹之嘆(풍수지탄)-부모에게 효도 못한 것에 대한 탄식。
【주관식-1】다음 漢字의 部首(부수)를 찾아 쓰시오。
○ 李 ▷ |
【주관식-2】다음 漢字의 總畫數(총획수)를 숫자로 쓰시오。
○ 引 ▷ 획 |
【주관식-3】다음 밑줄 친 漢字語의 讀音(독음)을 쓰시오。
<예>學校▷학교
○ 이번 某(모) 연예인의 무면허 음주운전 뺑소니 사건으로 인해 경찰은 음주운전을 拔本塞源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상 사고현장에서 JBS 뉴스 성춘향입니다。 ※塞-막힐(색) |
【주관식-4】다음 文章(문장)의 안에 들어갈 漢字를 쓰시오。
○ 良 藥 苦 於 ▷ 좋은 약은 입에 쓰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주5~주6)
㈎큰 강물도 그 시초는 한 잔에 넘칠 정도의 물이라는 뜻에서 나온 말로, ‘사물의 시초’를 의미하는 것이 이다。 예를 들면, ‘100년 전의 이 학교의 설립이 곧 신교육의 이었다’와 같은 경우이다。 ㈏지난날, 중국에서 開戰(개전)의 신호로 우는살을 먼저 쏘았다는 데서 나온 말로, 사물이 비롯된 ‘맨 처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이)라 한다。 예를 들면, ‘賞春曲(상춘곡)은 가사 문학의 이다’라는 말을 사용한다。 ◎<참고> ▪矢-화살(시) ▪觴-잔(상) ▪嚆-울릴(효) ▪濫-넘칠(람) ▪賞-기릴(상) |
【주관식-5】위 ㈎글의 안에 들어갈 적당한 낱말을 쓰시오。 (한글로 쓸 것)
【주관식-6】위 ㈏글의 안에 들어갈 적당한 낱말을 쓰시오。 (한글로 쓸 것)
【주관식-7】다음 漢字語와 같은 의미를 지닌 낱말을 한글로 쓰시오。
○ 矛盾(모순) = |
【주관식-8】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漢字語를 한글로 쓰시오。
○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라는 뜻은, 곧 ‘큰 인물 될 사람은 늦게 성공한다’라는 의미이다。 |
【주관식-9】다음 詩句(시구)의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漢字를 쓰시오。 (한자 한 글자)
○ 눈물 아롱아롱 / 피리불고 가신 님의 밝으신 길은 진달래 꽃비 오는 西域(서역) 삼만 리。 흰 옷깃 여며여며 가옵신 님의 다시 오진 못하는 巴蜀(파촉) 삼만 리。 |
【주관식-10】다음 설명하는 부분을 四字成語(사자성어)로 쓰시오。 (반드시 한자로 쓸 것。 부분점수 없음。)
○ 마음으로써 마음이 전해짐。 곧 서로서로 마음과 마음이 통함。 ◎ <참고> 傳(전할 전) · 以(써 이) |
^&^무척 수고했습니다。 재차 확인을 · · · · 。 漢文에 대한 작은 관심의 시작, 바로 여러분입니다。 |
·
·
·
·
·
·
·
·
·
·
·
·
······················....·.··^0^
번 호 |
문 제 내 용 |
정 답 |
배점 |
1 |
四字成語 相對語 찾기 |
① |
4 |
2 |
漢字의 音과 뜻 |
② |
4 |
3 |
安分知足과 같은 漢字語 |
③ |
4 |
4 |
主題語 찾기 |
④ |
4 |
5 |
螢雪之功과 관련 漢字語 |
⑤ |
4 |
6 |
語源에 관한 이야기 |
⑤ |
4 |
7 |
佛敎의 輪回說 |
④ |
4 |
8 |
以心傳心 관련 漢字語 |
① |
4 |
9 |
관련 漢字語 찾기 |
② |
4 |
10 |
제 논에 물대기 |
③ |
4 |
11 |
男性主義와 女性主義 |
⑤ |
4 |
12 |
二律背反에 관한 내용 |
① |
4 |
13 |
暴政에 관한 비판 |
② |
4 |
14 |
不正腐敗를 빗댄 글 |
③ |
4 |
15 |
四字成語의 올바른 뜻 |
④ |
4 |
주1 |
部首 찾아 쓰기 |
木 |
4 |
주2 |
總畫數 바로 알기 |
4 (획) |
4 |
주3 |
漢字語의 讀音 달기 |
발본색원 |
4 |
주4 |
漢文 文章 채우기 |
口 |
4 |
주5 |
濫觴의 유래 |
남상. 濫觴 (한글로 「남상」이 있으면 정답. 단, 漢字로 쓴 경우, 정확히 「濫觴」으로 쓴 것만 정답처리함.) |
4 |
주6 |
嚆矢의 쓰임 |
효시. 嚆矢 (한글로 「효시」가 있으면 정답. 단, 漢字로 쓴 경우, 정확히 「嚆矢」라 쓴 것만 정답처리함.) |
4 |
주7 |
矛盾의 同義語 쓰기 |
자가당착. 모순당착. 자기모순 (택1 정답) |
4 |
주8 |
四字成語 한글로 쓰기 |
대기만성 (한자로 정확히 大器晩成을 쓰면 정답처리함.) |
4 |
주9 |
해당 漢字 쓰기 |
白 |
4 |
주10 |
해당 四字成語 쓰기 |
以心傳心 |
4 |
계 |
총 ( 2 5 ) 문항 |
100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