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이편 제10장
자금이 자공에 물어 가로대 부자께서 이 나라에 이르사 반드시 그 정사를 들으시나니 구하심인가? 아니 주심인가? 꼭 정치에 관해 듣게 되는데, 공자가 정치에 대해 의욕을 갖고 일부러 임금을 찾아가시는 것인가, 아니면 임금이 불러서 정사에 관해 들려주시는 것인가? 子貢弟子라 하니 未知孰是라 抑은 反語辭라 어떤 사람이 가로대 항은 자공 제자라 하니 누가 옳은지 아지 못하니라. 억은 반대말이라. 선생님의 구하심은 그 저 남의 구함과 다른저! 夫子之盛德光輝ㅣ 接於人者也ㅣ라 其諸는 語辭也ㅣ라 人은 他人也ㅣ라 言夫子ㅣ 未嘗求之시나 但其德用이 如是시니라 故로 時君이 敬信하여 自以其政으로 就而問之耳요 非若他人이 必求之而後得也ㅣ라 聖人이 過化存神之妙를 未易窺測이나 然이나 卽此而觀이면 則其德盛禮恭而不願乎外를 亦可見矣라 學者ㅣ 所當潛心而勉學也ㅣ니라 ○謝氏 曰學者ㅣ 觀於聖人威儀之間에 亦可以進德矣니 若子貢은 亦可謂善觀聖人矣며 亦可謂善言德行矣라 今去聖人이 千五百年이로대 以此五者로 想見其形容이라도 尙能使人興起어든 而況於親炙之者乎아 張敬夫 曰夫子ㅣ 至是邦하사 必聞其政하시되 而未有能委國而授之以政者하니 盖見聖人之儀刑 而樂告之者ㅣ 秉彛好德之良心也로대 而私欲害之라 是以로 終不能用耳라
검은 조절하고 억제함이오, 양은 겸손함이니 다섯 가지는 부자의 성한 덕과 빛나는 빛이 사람에게 접촉되는 것이라. 기저는 어조사라. 인은 다른 사람이라. 공자께서 일찍이 구함이 없으시나 다만 그 덕용이 이와 같으시니라. 그러므로 당시의 인군이 공경하고 믿어서 스스로 그 정사로써 나아가 물은 것이고, 다른 사람이 반드시 구한 뒤에 얻어짐이 아니라. 성인이 과화존신(지나는 곳마다 감화되고, 늘 신비스러움이 있는 것)의 묘함을 쉽게 엿보고 헤아리지를 못하나 그러나 이에 나아가서 보면 (자공이 답변한 내용을 보면) 그 덕의 성함과 예의 공순하여 밖에서 원하지 아니함을 또한 가히 보리라. 배우는 자는 마땅히 마음을 잠겨서 배움에 힘써야 할 바이니라. ○사씨 가로대 배우는 자가 성인의 위엄과 거동 사이에서 관찰함에 또한 가히 덕에 나아가니, 자공 같은 이는 또한 가히 성인을 잘 보았다고 이를 것이며, 또한 가히 덕행에 대해서 잘 말했다고 이를 만하도다. 이제 성인과 멀어진지 천오백년이로대 이 다섯 가지(溫良恭儉讓)로써 그 형용을 상상하면서 보더라도 오히려 사람으로 하여금 능히 흥기하게 하거든 하물며 친자(직접 불에 구워 익히듯이 선생님을 가까이 모시고 공부한 것을 이름)한 자라야! 장경부 가로대 선생께서 이 나라에 이르셔서 반드시 그 정치를 들으시되 능히 나라를 맡기고 정치로써 준 자가 있지 아니하니, 대개 성인의 모습과 법도를 보고 즐거이 고하는 자는 인간의 도리를 잡고 나가는 좋은 덕의 양심이로대 사사로운 욕심이 해치니라. 이로써 마침내 능히 쓰지 아니함이라.
<제11장> 아버지의 도를 고침이 없어야 가히 효라 이르니라. 足以知其人之善惡이나 然이나 又必能三年을 無改於父之道라야 乃見其孝요 不然이면 則所行이 雖善이나 亦不得爲孝矣라 ○尹氏 曰如其道면 雖終身無改라도 可也ㅣ어니와 如其非道면 何待三年이리오 然則三年無改者는 孝子之心에 有所不忍故也ㅣ라 游氏 曰三年無改는 亦謂在所當改에 而可以未改者耳니라 행함을 가히 보느니라. 그러므로 이를 봄에 족히 써 그 사람의 선악을 아니라. 그러나 또한 반드시 능히 삼년을 아버지의 도를 고치지 말아야 이에 그 효를 볼 수 있고, 그렇지 아니하면 행하는 바가 비록 선하나 또한 얻어 효가 되지 못함이라. ○윤씨 가로대 만약 그 도라면 비록 평생을 고치지 아니해도 가하거니와 만약 그 도가 아니라면 어찌 삼년을 기다리리오, 그런즉 삼년을 고치지 말라는 것은 효자의 마음에 차마 하지 못하는 바가 있음이라. 유씨 가로대 삼년을 고치지 말라는 것은 또한 마땅히 고칠 바에 있어서 가히 써 고치지 못하는 것이 있음을 이름이니라.
|
첫댓글 배우는 자는 마땅히 마음을 잠겨서 배움에 힘 써야 할바이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