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도자기가마
 
 
 
카페 게시글
클래식 스크랩 ★셈여림표
몽화 추천 0 조회 74 14.03.03 20:5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셈여림표


  말                읽기                 뜻

 pp                 피아니시모             매우여리게

 p                  피아노                여리게

 mp                메조피아노              조금여리게

 mf                메조포르테               조금세게

 f                  포르테                 세게

 ff                 포르티시모              매우세게

 

  말               읽기                뜻

 cresc.             크레센도               점점 세게

 decresc.           디크레센도             점점 여리게

 dim.              디미누엔도             점점 여리게

 sf, sfz            스포르잔도             그 음만 특히 세게

 fz                포르잔도              세게 곧 여리게

 fp                포르테피아노           세게 곧 여리게

 

  ★빠르기

  

  말                 읽 기                뜻

  Andante             안단테             느리게

  Andantino            안단티노           조금 느리게

  Lento               렌토              아주 느리게

  Largo               라르고             아주 느리게

  Adagio              아다지오            매우 느리고 평온하게

  Grave               그라베             매우 느리게

  Adagietto            아다지에토          Adagio보다 빠르게

  Larghetto            라르게토           largo보다 빠르게

  Allegro              알레그로            빠르게

    Allegretto            알레그레토         조금 빠르게

   Moderato            모데라토           보통 빠르게

    Allegro moderato     알레그로 모데라토     중간쯤의 빠르기

      Presto              프레스토            매우 빠르게

  Prestissimo          프레스티시모         Presto보다 빠르게

  Vivace              비바체             아주 빠르게

  Vivacissimo          비바치시모          Vivace보다 빠르게

 

 

★악곡의 부분적인 빠르기를 나타내는 말

 

   빠르기말                 읽  기                뜻

 accel. (accelerando)          아첼레란도               점점 빠르게

 piu mosso                 피우 모소               더 빠르게 약동하여

 ad libitum                 애드 리비툼              자유롭게

 rall. (rallentando)           랄렌탄도                 점점 느리게

 allargando                 알라르간도               점점 느리고 폭넓게

 rit. (ritardando)            리타르단도                점점 느리게

 a tempo                  아 템포                 본디 빠르기로

 ritenuto                  리테누토                 곧 느리게

 con moto                콘 모토                  빠르게

smorzando                스모르짠도                차차 꺼지듯이

 L'istesso tempo           리스테소 템포             같은 빠르기로

 sostenuto                소스테누토                음을 끌어서

 meno mosso             메노 모소                서두르지않고 속도변화없이

 stringendo               스트린젠도                점점 서두르며

 morendo                모렌도                   점점느리고 사라지듯이

 piu lento                피우 렌토                좀더 느리게

 Tempo primo            템포 프리모               처음 빠르기로

 tempo rubato            템포 루바토               음의 길이를 자유롭게

 tempo di valse           템포 디 발사              왈츠빠르기로

 tempo di ballo           템포 디 발로              무용곡 빠르기로

 Rubato                  루바토                   연주자마음대로

 


★나타냄 말


   말                   읽기                 뜻

 Agitato                 아지타토                흥분하여, 성급하게

 Animato                아니마토                생기있게

 Amabile                아마빌레                사랑스럽게

 Appassionato            아파쇼나토              열정적으로

 Brillante                브릴란테                화려하게

 Con sentimento          콘센티멘토              감정을 갖고

 Cantabile                칸타빌레               노래하듯이

 Comodo                코모도                 평온하게

 Con brio                콘브리오               싱싱하게

 Con moto               콘모토                 몰아가듯이

 Con spirito              콘스피로토              생생하게

 dolce                   돌체                  부드럽게, 달콤하게

 doloroso                돌로로소               슬프게

 espressivo              에스프레시보             표정을 살려서

 grazioso                그라지오소              우아하게

 marcato                마르카토                힘을 주어 똑똑하게

 maestoso               마에스토소              장엄하게

 marciale                마르치알레              행진곡풍으로

 pastorale               파스토랄레               목가풍으로

 scherzando             스케르잔도               유머러스하고 경쾌하게

 sempre                셈프레                  항상, 계속해서

 tranquillo               트란퀼로                고요하게

 un poco               운 포코                 조금씩

 Iamentosso             라멘톳소                한탄스럽게


 

★ 다른 말에 덧붙여 쓰는 말

  

 말                    읽기                  뜻

 alla                    알라                - 의 풍으로

 meno                  메노                보다 적게

 assai                  아싸이               매우

 molto                 몰토                 매우

 con                   콘                  - 을 가지고

 poco                  포코                 약간

 ma non troppo         마 논 트로포          지나치지 않게

 poco a poco           포코 아 포코          조금씩

 non tando             논 탄도              너무 지나치지 않게

 quasi                 쿠아씨               거의 - 처럼


 

<성악곡 (Vocal Music)>

음악을 크게 나눈다면 성악과 기악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중 성악은 목소리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진 음악이다.

음악의 시작은 성악에서부터 생겼다고 할수 있다.

성악의 특징중의 하나는 그 내용을 아무런 중계자 없이 직접 청중에게 전달하는데 있는데,

성악에는 아무런 반주없이 순전히 노래만으로 하는 것과 기악 반주로 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그 종류에 있어서는 나라마다 다른 민요와 예술 가곡, 대중가요 등이 있는가 하면 오페라, 오라토리오,

칸타타, 미사, 모테트 등 비교적 규모가 큰 오케스트라의 반주로 연주하는 성악의 부분도 있다.

남성과 여성의 음역의 높,낮음을 구분 한다면

                   남성은  테너 - 바리톤 -베이스,

                           여성은  소프라노 - 메조소프라노 -알토(콘트랄로)로 나뉜다.


<오페라(Opera)>

성악의 종합예술이 '합창'이라면, 기악의 종합예술은 '오케스트라'이다.

음악을 중심으로 종합 무대 예술. 대사는 독창, 중창, 합창 따위로 부르며,

서곡이나 간주곡 따위의 기악곡도 덧붙인다.

오페라는 음악 그 전부를 총 망라 했을 뿐 아니라 문학적인 요소인 대본, 연극적인 요소인 연기,

나아가서는 미술, 무용들을 요소로 해서 구성된 대단히 복잡한 종합예술이다.

다시 말한다면, 오페라는 대사를 통해 음악과 연속적으로 일관된 노래의 극이다.

'춘희', '아이다', '리골렛토', '세빌리아 이발사','루치아', '카르멘'등이 유명하다.

 

 

<오라토리오 [oratorio]>

 

 오라토리오라는 말은 본디 이탈리아어로 가톨릭성당에서 ‘기도소(祈禱所)’를 뜻했으나 16세기 후반에

로마의 성필리포 네리가 기도소의 집회에서 사용한 음악이 계기가 되어 특정한 음악형식을 가리키게 되었다.

17세기에는 반종교개혁의 신도 강화책과 결부되어 이탈리아에서 발달,

카리시미를 정점으로 한 라틴어 오라토리오와 베네치아악파의 오페라양식을 받아들인 속어(이탈리아어)

오라토리오의 2개 파가 나타났다. 전자는 샤르팡티에를 마지막으로 쇠퇴하고, 후자는 스카를라티를 비롯한

나폴리악파를 중심으로 19세기 초엽까지 지속되었다.

독일은 처음 이탈리아어 오라토리오의 영향 아래 있었으나 17세기의 슈츠 이후 독일어의 오라토리오가

확립되고 J.S.바흐, 텔레만으로 계승되었다.

      세계 3대 오라토리오라고 불리는  헨델의 "메시아", 하이든의 "천지창조", 멘델스존의 "엘리야"

 

<교향곡(Symphony)>

교향곡이란, 규모가 큰 관현악을 위한 ,보통 4악장으로 된 소나타라고 할수 있다.

이 심포니란 말은 본래 그리스에서 나온 말인데  '동시에 울리는 음'이라는 뜻이다.

이것이 14세기경에는 악기의 합주라는 말로서 사용되었지만, 17세기 이후 기악이 점차 발달되어

오페라의 발생과 더불어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심포니가 성악과 무도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기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악곡으로 갖추어야 할 원칙이 필요했다.

그것이 바로 소나타 형식 내지는 소나타이며, 이에 모든 악기를 총동원시켜 이를 적절하게 편성하여

음의 균형을 이루게 만들어 놓은 것이 악의 총 본산인 '교향곡'이다.

          대표적인 것이 베토벤 제5번 교향곡 '운명', 6번 '전원', 9번 '합창',

                 차이코프스키 6번 '비창', 드로르작 9번 '신세계'등이 있고, 

                     모차르트는 짧은 생애 동안 40여곡이 넘는 교향곡을 남겼다.


 

<교향시(Symphonic poem)>

  교향시라는 말은 19세기 중엽에 헝가리의 작곡가 F.리스트가 처음으로 쓰기 시작하여 확립된 말로,

좁은 뜻으로는 1악장형식의 곡을 이르며, 다 악장 형식의 곡과 구별되기도 한다.

외면적으로는 1악장 형식의 곡에 한해서 교향시라는 이름이 붙는다.

내면적으로는, 그때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복잡 미묘한 표현으로 시적 ·회화적 ·심리적

서사적 ·지방적 ·영웅적 내용들이 음악화되어 있다.

19세기 중엽에 두각을 보인 교향시도 그때까지의 형식미의 표현에서 탈피한 새 양식의 음악이다.

고전 교향곡에서 볼 수 있는 동기가 일정한 법칙에 따라 변화 되었던 것을

교향시에서는 시적인 내용을 자유스럽게 표현한 방법의 악곡이다.

그중 '리스트의 교향시', '브로딘의 중앙 아시아의 초원에서', '스메타나의 나의 조국',

'시벨리우스의 핀란디아'등이 유명하다.

 

<관현악(Orchestra)>  

  기악의 종합예술은 '관현악' 나아가서는 '심포니'일 것이다.

여기서 관현악이란 합주의 한 형태로서 현악기와 관악기, 타악기등으로 조직된 합주를 뜻하는 것이다.

오케스트라란 말은 본래 그리스 말로 '무도의 장소'를 의미한다.

오늘날 관현악은 악단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음악의 최고 형식인 교향곡은 관현악이 바로 그 주체이다.

관현악단을 조직하기 위한 악기 편성은 연주되는 장소, 작곡자, 지휘자의 의도와 그밖의 조건에 따라 변한다.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표준형은 대략 100년 전후의 악기로 되어있는데, 다음과 같은 4개의 악기군으로 되어있다.

 

1. 현악기군(약 60명) : 바이올린 제1, 제2, 비올라, 첼로, 하프, 콘트라베이스

2. 목관악기군 (약 15명) : 피콜로, 플롯, 오보에, 클라리넷, 파곳, 잉글리쉬 호른,

                          베이스 클라리넷, 콘트라파곳

3. 금관악기군 (약 10명) : 팀파니, 큰북, 작은북, 심벌즈, 트라이앵글, 벨, 탐탐,

                    실로폰, 그로켄슈필, 첼레스타, 기타등등..(타악기에 있어서는 팀파니가

                                사용되며 기타악기는 표시된 편성에 따라 좌우된다.)


<실내악(Chamber Music)>

 실내악은 이탈리아에서 당시 귀족들의 집이나, 작은 살롱에서 연주되었던 음악이다.

실내악이 유행했던 시대로는 바로크 시대(1600~1750)를 들수 있다.

그 음악은 중세기의 대위법적인 방법과 근대의 화성적인 원칙이 결합된 양식의 음악이며,

소수 인원으로 조직된 중추음악이다.

멤버를 보면 2명에서 10명이내의 연주자들로 구성되는데, 작품에 따라 그 이름도 다르게 쓰인다.

실내악 하면 진정한 의미에서 전문 음악가들이 하는 연주를 일컫게 되며,

'현악기로만 된 것', '관악기와 현악기로 된 것' '피아노와 현악기'로 편성된 것 등이 있다.

실내악은 연주자의 수에 따라서 '2중주', '3중주', '4중주'등으로 구분하여 부른다.


1.2중주(Duet): 2개의악기, 예컨대 2대의 바이올린 (혹은 비올라 또는 관악기)                

             일반적으로는 바이올린과 피아노로 구성된다.

2. 3중주(Trio) : 현악기 트리오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되어 있는데, 특히

              바이올린, 피아노, 첼로로 구성된 경우는 '피아노 트리오'라고 한다.

3. 4중주(Quartet) : 여러악기로 편성 할 수 있지만 2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등으로 된 현악 4중주가 실내악에서 그 핵심을 이룬다.

            작품도 이 현악4중주를 위해 작곡한 것이 많으며 깨끗하면서도

            따뜻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 현악 4중주에 클라리넷을 첨가시키면

            클라리넷 5중주라고 한다.

한편 관현악 5중주는 플롯, 오보에, 클라리넷, 호른, 파곳으로 편성된다.

그외 6중주(Sextet), 7중주(Septet), 8중주(Octet), 9중주(Nonet)등이 있다.


<콘체르토(협주곡:Concerto)>  

어원인 콘체르토는 ‘경합하다’의 뜻을 지닌 라틴어의 동사 콘케르타레(concertare)에서 나온 말이다.

일반적으로는 화려한 연주기교를 구사하는 독주악기(또는 독주악기군)와 관현악을 위해 작곡된 기악곡을 가리킨다.

이러한 협주곡은 17세기 말엽 이후 후기 바로크·고전·낭만파시대 특유의 것으로 그 이전(16세기)에는

어떤 종류의 성악곡에 대해서도 이 말이 사용되었다.

기악곡 중에서 콘체르토는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형식도 최고의 것이라 할 수 있다.


⑴ 성악콘체르토: 사람의 목소리와 악기의 협주로 베네치아 학파 이래 합창과 관현악을 2군으로 나누어 서로

              교대함으로써 둘이 대화 형식으로 응답하면서 연주해 나가는 음악이다.

 ⑵ 합주협주곡(콘체르토그로소):바로크시대 특유의 기악 협주곡으로 몇개의 악기로 이루어진 독주군 (콘체르티노

                    또는 솔리)과 현악 오케스트라의 합주부(리피에노 또는 콘체르토 그로소)로 

                     이루어져 2군의 음량의 대비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⑶ 독주협주곡(솔로 콘체르토): 오늘날 가장 많이 연주되는 것이 독주 악기와 관현악으로 이루어진 

                    독주협주곡이며 독주악기에 따라서 피아노협주곡·바이올린협주곡 등으로 이야기 한다.

                    토렐리, 알비노니, 비발디 등이 주로 바이올린협주곡을 많이 작곡했다.       

                    그리고 바이올린에 이어서 오보에 ·플루트 등의 협주곡도 인기가 있다.

 교향곡은 4악장으로 구분되어 있고, 콘체르토는 3악장으로 되어있다.

오늘날에 협주곡은 빠르고-느리고-빠른 템포로 된 소나타 곡을 독주악기와 오케스트라의 협연으로

연주하는 것을 말한다.

        

<서곡(Overture)>

가극, 성극(聖劇), 조곡(組曲) 따위의 막을 열기 전이나 주요한 부분을 시작하기 전에 연주하는 기악곡. 서곡은

기악곡 중에서도 이해하기 쉬우며 퍽 친근감을 가지게 하는 음악이다.

서곡에는 보통 2개의 종류가 있는데, 본래는 '오페라', '오라토리오'등 규모가 큰 악곡이 시작될 때 연주하는 것과,  연주회용으로 독립된 성격을 가진 서곡이 있다.  천지창조', '돈죠반니', '마탄의 사수', '경기병 서곡'등이 있다.


<전주곡(Prelude)>

 본디 도입적(導入的)인 기능을 지니고 있었으나 19세기 이후는 독립된 악곡에도 이 이름이 붙은 경우가 많다

본래는 종교적인 또는 세속적인 음악 작품에 있어서 처음 시작하는 도입의 역할을 하는 악곡으로서

19세기 낭만파 음악시대가 진척됨에 따라 '바그너'의 악곡에서 새로운 전형을 창안해 냈다.

지금까지 즐겨 사용하던 기악적인 소나타 형식을 버리고 오페라에 최초의 정경을 이끌어 들이는

전주곡으로 변화시켰던 것이다.

한곡 또는 여러 곡 앞에 배치된 첫 머리의 악곡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전주곡을 즐겨 사용한 작곡가로는 '베르디', '비체', '푸치니'등이 있다.



<발라드(Ballade)>

 춤춘다는 뜻의 라틴어 ballare에서 유래하여, 민요 ·가요로 번역되기도 한다.

12세기에 프랑스 남부지방에서 음유시인이 생겨, 영국으로 번졌고 15~16세기에 유행하였다.

처음에는 춤에 맞추어 노래하던 것으로, 시 형식은 보통 3절로 이루어졌는데, 각 절은 7∼8행이며,

그 중 끝 1∼2행은 되풀이로 된 것이 특징이다.

18세기 말의 낭만파 문학시대에는 각국의 작가들이 민요에 흥미를 갖게 되어 독일에서는 괴테, 하이네 등이,

프랑스에서는 위고 등이, 영국에서는 스콧 등이 많은 발라드를 썼다.

16세기에는 주로 이야기식 성격의 성악곡으로 발전하여 영국의 헨리 8세로부터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

많은 발라드가 작곡되었으며, 19세기에는 보통 3부 형식으로 이루어진 성격적인 피아노 소품(小品)을 

발레데 또는 발라드라 하였는데, 슈베르트와 쇼팽이 즐겨 썼으며 특히 쇼팽의 발라드는 자유로운 형식과

표현이 절묘하다.  쇼팽의 《발라드》 4곡과 브람스, 포레 등의 발라드가 유명하다.

오늘날에는 포퓰러송 가운데서 센티멘틀한 러브송 종류를 발라드라 하고, 재즈 연주에서는 포퓰러송 등의 원곡(原曲) 멜로디를 살리면서 애드 리브(즉흥연주)하는 것을 발라드 연주라고 한다.


<세레나데(Serenade)>

  세레나데는 본래 애정과 존경을 바치는 사람에게 보내는 밤의 음악을 말한다.

'맑게 갠'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sereno에서 나왔으며 16세기 이후 '저녁때'를 가리키는 이탈리아어

sera와도 관계가 있다.

보통 소야곡·야곡 등으로 번역되며 이와 대비되는 음악이 오바드 (aubade: 아침음악)이다.

 성악의 세레나데는 애인의 창 밑에서 간단한 악기로 연주하면서 부르는 사랑의 노래이며,

기악의 세레나데는 18세기 후반에 발달한 오케스트라의 모음곡과 빈 악파의 고전 교향곡의 중간시대의

           음악을 들 수 있는데 주로 단순 하면서도 경쾌하고 간결한 연주회용 음악이다.

또한 오페라 아리아 곡 중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장면이 많이 나오며,

           이 곡만 별도로 작곡하여 연주하는 음악가도 있다.

원래 세레나데는 저녁때(밤) 창, 밖 등, 연주 시간과 장소를 가리키나,

            악곡의 제목으로는 다음과 같은 3종류로 나뉘어 쓰이고 있다.


① 밤에 연인의 창가에서 부르는 노래.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 중에 예가 있으며,

                  오페라에서도 많이 나온다. 또 슈베르트의 《세레나데》처럼 독립된 가곡도 있다.

 ② 고전파시대에 많이 쓰인 다악장의 기악 앙상블. 디베르티멘토(희유곡)와 마찬가지로 오락적인 성격이 짙다.

           모차르트의 《하프너 세레나데》(1776)나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1781) 등이 유명하다.

③ 귀족의 생일축하 등에 쓰여진 18세기의 오페라풍의 작품. 이 종류에 속하는 곡에는 일반적으로

              세레나타(serenata)라는 이탈리아어가 사용된다.


<미뉴엣(Minuet)>

16~17세기경 프랑스의 서민들 사이에서 시작된 무도곡인 미뉴엣은 고도로 양식화된 우아한 표현이 특징이며,

3박작의 빠르고 경쾌한 춤곡이다. 스텝의 폭이 작은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1650년경 궁정에서 처음으로 선을 보인 후 루이 14세 치하에서 공식 궁정무용이 되었다. 

륄리는 이를 오페라와 발레에 도입하였으며, 이것이 다른 나라에 보급되어

오케스트라나 클라비어 모음곡 속에서 기악과 함께 발달하였다.

주로 희유곡, 세레나데, 소나타 형식으로 된 독주곡이나 실내곡, 교향곡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으며,

하나의 악장과 때로는 그 이상의 악장을 구성하고 있다.

미뉴엣으로 유명한 작곡가로는 보케리니, 모차르트, 파데레프스키, 베토벤, 비제등이 있다.


<환상곡(Fantasia)>

 작품에는 소나타와 같이 엄격한 형식이 없으며, 어디까지나 자유스런 악상으로 전개되는 환상풍의 곡이다.

 (더러는 마디의 구분이 없는 경우도 있다.)

환상곡에는 우선 즉흥적인 곡을 들 수 있는데 바흐의 '반음계적인 환상곡'과 베토벤의 '환타지아 B장조 Op.77', 

브람스의 '환상곡집', 쇼팽의 '환상곡 F단조 Op.49'는 이 부류에 속하는 음악이다.

그리고 다른 종류로는 자유스런 형식에 의한 특수한 소나타등을 들 수 있는데, 베토벤의 '월광소나타'는

문학적인 공상을 담은 요소가 강한 것으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즉흥곡(Impromtu)>

엄격한 구성적 작법을 쓰지 않는 것이 보통이지만 작곡자의 마음 깊이 잠재한 빛나는 악상을

자유롭게 아주 정확한 서법으로 작곡된 것이지, 즉흥 연주에 의해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말하자면 즉흥적인 성격을 가진 기악곡의 소품이라 하겠다.

즉흥곡에는 빠르고, 자상하게 약동하는 부분과 서정적으로 노래하는 부분 등으로 대립시켜

작곡 되어진 것이 많은데  H.마르슈나가 최초로 작곡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곡종으로 유명한 것은 슈베르트의 op.90,142와 쇼팽의 op.26,36,51,66 등이다.


<광시곡(Rhapsody)>

광시곡 역시 환상곡과 마찬가지로 자유스런 형식으로 된 기악곡이다.

이것은 민속음악 등을 소재의 기반으로 하는 환상적인 곡으로서 서사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광시곡은 본래 그리스 말로 '일리아스'인데 이는 서사시의 한 부분을 가리키는 말이다.

리스트는 피아노를 위한 광시곡 15곡을 작곡하였으며, 랄로, 드보르작, 브람스등의 작품이 유명하다.


<연습곡(Etude)>

이것은 연주기교를 익힐 목적으로 쓴 곡인데, 기술적인 기교를 보이면서도

시정을 담는 명곡이 많다. 그 구성은 보통 세도막 형식으로 되어있는데,

쇼팽은 이것을 연주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예술적인 차원으로 승화시켰다.


<종교음악(Religious Music)>

종교와 관계를 가지고 그것을 토대로 삼아 작곡된 음악을 종교음악이라고 한다.

종교음악 하면 물론 세계의 여러 종교(그리스도교, 불교, 유교, 이슬람교....) 음악을 총괄하지만,

주로 유럽과 미국에서는 '그리스도교'적인 음악을 뜻한다.

종교음악은 포교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인심을 파악하는데 핵심적인 역할과 비중을 두고 있다.

대 작곡가인 바흐는 신의 영광을 찬양하기 위해 매주 새로운 칸타타를 작곡하는데 여념이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수세기를 걸쳐 불려 내려오던 그리스도교의 성가는 유럽 종교 음악의 유일한 정통 음악이다.


<민요(Folk Song)>

우리들의 귀에 익숙한 민요는 한 민족, 또는 그 일부가 그들의 것으로서 민중 사이에 퍼져 오랫동안 불려지고

전해 내려오는 '가곡'이라 할 수 있다.

거기에는 소박한 서민 감정과 향토색이 짙은 민족적 특성이 심어져 있으며, 시대의 흐름을 따라

그 나라의 자연환경과 생활풍습에 관련되어 온 민족의 중요한 살아있는 음악 문화재이다.

각 나라별로 잘 알려진 민요를 들자면 우리나라는 '아리랑', '도라지'등등...

이탈리아의 '산타루치아', '돌아오라 소렌토로',

    영국의 '즐거운 나의 집', '한떨기 장미꽃', 미국의 '스와니 강', '켄터키 옛집',

        독일의 '로렐라이', '소나무', 프랑스의 아비뇽 다리위에서', '사랑의 찬가',

           스위스의 '푸른 목장의 노래', 스페인의 '아마폴라 헝가리 집시의 달',

             러시아의 '불가의 노래', '스텐카라진'등이 있다.

 

<트로트(Trot)>

트롯은 영어로 '빠르게 걷다', '바쁜 걸음으로 뛰다' 등을 뜻한다.

트로트(Trot)는 일제 강점기에 발생한 대한민국의 대중가요의 장르로 미국 춤곡의 하나인

폭스트롯(foxtrot)에서 유래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일본 고유의 민속음악에 서구의 폭스트롯을 접목한 엔카[演歌]가 유행하고 있었는데

일본 가요와 한국 가요의 선율이 자연스럽게 접근하여 이후 광복될 때까지 한국에서는 엔카풍의

대중가요가 유행하였다. 광복 후 왜색의 잔재를 없애고 주체성 있는 건전가요의 제작과 보급, 팝송과 재즈

기법 등이 도입되면서 엔카풍의 가요도 새로운 이름을 얻었는데, 일명 '뽕짝'으로 부르는 트롯(트로트)이 그것이다.

한국에서 전해오던 세 박자 또는 다섯 박자(3+2)를 기본으로 하는 것을 ‘트로트’라고 부르고,

빠른 두 박자(쿵짝, 쿵짝…)를 기본으로 하는 것을 ‘뽕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뽕짝이라는 명칭은 비하적인 용어라는 이유로 음악계에서는 쓰지 않는다.

한국에서 트롯은 1960년대부터 다시 발전하기 시작한 뒤, 1970년대에 이르러 폭스트롯의 4분의 4박자를

기본으로 하되, 강약의 박자를 넣고 독특한 꺾기 창법을 구사하는 독자적인 가요 형식으로 완성된다.

이때 완성된 트롯이 지금의 트롯이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