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칠선봉-1.5선비샘-2.55-벽소령(6.8-음정) 계: 10.91 22.94
2)9/24(음정-6.8-)벽소령-1.3-형제봉-2.05-연하천-2.94-토끼봉-1.25-화개재-0.75-삼도봉-2.15-
임걸령-1.05 -돼지평전-2.23-노고단-3.5-성삼재 계:17.22 24.02
3)10/8 성삼재-5.2-만복대-2.2-정령치-0.9-고리봉-3.4-고촌리-2.15-주촌리-6.75-여원재
계: 20.60 20.60
6)11/27여원재-5.47-고남산-5.0-매요리-3.3-사치재-2.93-새맥이재-1.4-시리봉-3.38-복성이재
계: 21.48 21.48
7)12/10복성이재-4.11-봉화산-7.73-중재-1.8-중고개재-2.55-백운산-3.45-영취산(-0.4-무령고개)
계:19.64 20.4
8)12/24(무령고개-0.4-)영취산-2.9-큰바위전망대-1.7-977봉-3.6-깃대봉-3.07-육십령
계 :11.27 11.67
4)10/22육십령-2.28-할미봉-2.95-헬기장-1.85-장수덕유산-1.3-남덕유산-4.15- 삿갓골재-2.68-
무룡산-4.1-동엽령(-4.25-자연학습원) 계 :19.31 23.56
5)11/12(병곡리-4.0-)동엽령-2.2-백암봉-2.75-귀봉-0.34-횡경재-1.15-싸리덤재-0.51-지봉-1.2
-달음재-1.11- 대봉-3.96-빼재 계:13.22 17.22
10)1/7 빼재-4.35-삼봉산-3.1-소사고개-3.25-삼도봉-1.45-대덕산-3.05-덕산재-5.3-부항령
계 : 20.5 20.5
9)12/31부항령-8.2-삼도봉-0.72-심미걸재-6.78-화주봉-3.55-질매재 계 : 19.25 19.25
11)2/11질매재-4.45-바람재-2.85-황악산-5.55-궤방령-4.25-가성산-3.03-눌이산-3.61-추풍령
계: 23.74 23.74
12)2/25추풍령-2.65-502봉-4.19-묘함산갈림길(독도주의)-2.05-작점고개-5.13-용문산-2.47-
국수봉-3.18-큰재 계 : 19.67 19.67
13)3/11큰재-5.65-개터재-6.87-백학산-4.7-개머리재-2.7-지기재-4.55-신의터재 계 24.47
14)3/25신의터재-4.27-무지개산(독도주의)-4.41-윤지미산-1.87-화령재-3.26-산불감시초소
-1.45-봉황산-3.85-비재 계:19.22 19.22
15)4/8비재-4.15-갈령삼거리-0.7-형재봉-1.56-피앗재-5.66-천황봉-2.58-신선대-1.17-문장대
- 4.45- 밤티재 계:20.27 20.27
18)5/5밤티재-3.3-늘재-2.49-청화산-3.7-갓바위재-1.15-조항산-4.35-밀재-1.25-대야산-4.55-
버리미기재(숙박)-1.97-장성봉-5.35-악희봉-2.16-은치재-2.75-지릅티재-2.0(은티마을)
계 :33.02 35.02
16)4/22(은티)-2.0-지릅티재-1.38-희양산-2.28- 배너미평전-2.26-이만봉-1.1-사다리재
-2.46-평전치-.45-백화산-1.85- 황학산-3.9-조봉-1.53-이화령 계:18.21 20.21
17)4/29이화령-2.12-조령샘-0.75-조령산-5.1-깃대봉-1.0-조령3관문-0.91-마폐봉-3.41
-동암문-1.5-주흘산갈림길-1.75-울항삼봉-1.82-하늘재 계18.36 18.36
19)5/13 하늘재-1.35-포암산-2.82-만수봉 갈림길-7.6-버리기재-1.35-대미산-5.9-차갓재
-(2.4 -안생달) 계 : 19.02 21.42
20 )5/27(안생달-2.4-)차갓재-2.6-황장산-0.92-황장재-4.56-벌재-6.06-저수령
계 : 14.14 16.54
21)6/10저수령-3.98-배재-1.0-싸리재-2.6-뱀재-4.05-묘적령-1.05-묘적봉-1.7-도솔봉-
5.8 -죽령 계 : 20.18 20.18
22)6/24죽령-6.25-천문대-4.43-비로봉-3.08-국망봉8.27-마당치-2.8-고치령-(4.0-좌석리)
계 : 24.83 28.83
23)7/8(좌석리-4.0-)고치령-7.6-마구령-4.9-갈곶산-1.03-늦은목이-1.77-선달산-5.1-박달령
-3.0-옥돌봉-2.8도래기재 계 :26.2 30.4
24)7/15 도래기재-5.46-구룡산-4.96-신선봉-5.35-깃대배기봉 -3.93-태백산-4.5-화방재(숙박)
-3.45-만항재-2.85-함백산-5.4-싸리재 계 : 35.9 35.9
25)7/22싸리재-1.2-금대봉-6.0-매봉-2.55-피재-6.4-건의령 계 :16.15 16.15
26 )8/12건의령-8.0-덕항산-5.5-광동댐 이주단지-4.7-황장산-1.5-댓재 계 : 19.7 19.7
계:29.1 29.1
28)9/10백복령-3.28-헬기장-8.92-석병산-6.3-삽당령 계 : 18.5 18.5
30)9/30대관령-5.65-선자령-3.25-곤신봉-4.25-매봉-5.1-소황병산-3.7-노인봉-3.85-진고개
계 : 25.8 25.8
31)10/14진고개-1.6-동대산-6.95-두로봉-8.15-응복산-6.8-구룡령 계 : 23.5 23.5
33)10/28/29구룡령-4.2-갈전곡봉-12.4-쇠나드리-4.65-조침령 계 : 21.25 21.25
35)11/18조침령-7.25-북암령-3.1-단목령-4.5-오색삼거리-2.0-점봉산-1.4-망대암산
-5.65-한계령 (역주행 ) 계 : 23.9 23.9
34)11/11한계령-2.33-서북능삼거리-4.05-끝청-1.75-대청봉-1.9-회운각-3.1-1275봉-2.1-
마등령-(3.8-비선대-3.0-설악산매표소) 계:15.23 22.03
32 )10/21(설악산매표소-3.0-비선대-3.8-)마등령-4.35-황철봉-1.65-1318봉-2.5-미시령
(역주행) 계 : 8.5 15.3
자료는 저가 충분히 수집해서 시작하고 철저한 준비를 하겠습니다
산행을 몇년 했으니 백두 종주를 꼭 해보고 싶습니다 종주 인원은 남 여 상관없이 4~6명 안에서 시작을 했으면 합니다
여러 분들의 적극 참여를 부탁 드립니다
동우산악회 운영진 올림 2010년7월28일
▶ 장 비 1. 등산화(고어텍스) 2. 배낭 70리터(김장용봉투 대형 두꺼운 것 2장을 겹쳐 패킹하면 우천시 내용물이 젖을 우려가 없음) 3. 스틱(일자형, 현지의 나무지팡이도 상관 없음) 4. 수통(겉감이 천으로 된 제품도 있지만 페트병도 무난함) 5. 슬링 10M(위험구간에서 보조자일 대용으로 무게 및 부피가 적음 강도는(1 인용) 충분함 또한 빨래 건조시 사용하면 편리함) 6. 지도 7. 나침반(저는 아직 독도법은 잘 모르지만....필요하면 좋겠죠?) 8. 나이프(가볍고 간단한 것) 9. 통신장비 핸드폰 및 충전장치(산중에 pcs는 거의 안터집니다. 평소 꺼놨다가 응급시에 사용함 산중에선 밧데리가 빠르게 방전됨) ▶ 의 류 1. 방수방풍상하의,스패츠(맑은 날씨에도 아침 이슬에 나무가지를 스치면 옷과 신발 속이 다 젖음) 2. 상의, 하의(여벌)(등산용품이 아니더라도 건조가 빨리되는 폴리에스테르 제품이 무난, 상의는 긴팔 하의는 허벅지이하 기장이 쟈크로 탈착이 되는 것이 편리함(반바지 겸용), 보온성의 여벌 옷) 3. 내의(여벌) 4. 양말(좀 투터우고 쿠션이 있으면 좋습니다^^) 5. 모자(챙이 넓은 것) ▶ 막영구 1. 텐트(1~2인용)(경량소재용품) 2. 침낭(춘추용) 3. 메트리스(일반 야외용 돗자리(은박)를 탠트 바닥에 맞게 잘라서 사용, 메트리스에 비해 부피도 작고 배낭 안에 패킹할 수 있어 편리함) 4. 판쵸우의(우천시 사용 및 텐트를 칠때 바닥에 깔면 편리함) 5. 에어 베게 ▶ 기타장비 1. 세면구 2. 플라스틱용기(넓은 것) 3. 잡주머니(패킹시 편리함) 4. 필기구(펜과 수첩....대간구간 시간이나 느낌을 적으면 좋겠죠^^) 5. 카메라(저 처럼 무거운 카메라는 도움주지 않지만 똑딱이라도 필요합니다) 6. 휴지 7.라이타 8.취사용품(취사가 가능하진 않지만 대피소나 비박에서는 어쩔 수 없는 것 다 아시죠?^^) ▶ 의약품 1. 두통약(아스피린) 2. 정로환(배탈) 3. 소독약,연고,밴드(타박상) 4. 소독약(풀독 및 벌레물린데) ▶ 도움말 1. 절대 짐을 무리하게 지지 마시길 바랍니다. 대간 후 퇴행성 관절염으로 고생할 수도 있습니다. 2. 베낭의 무게가 자기 체중의 1/3 이 적당합니다. 3. 정확한 얘긴 줄은 모르지만 짐의 무게 1 킬로그램은 실제 산행거리의 1 킬로메타에 해당이 되며 지팡이는 짐의 하중 1/3 을 덜 수 있다는 얘기를 주어 들은 적이 있습니다. 4. 스틱 사용시 내림길 줄에 손목을 걸지 마세요. 앞으로 고꾸라지면 스틱이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니 참조용이라는 것을 염두해 두시면 좋습니다...산꾼 |
|
첫댓글 오봉님 참아주세요~~그 몸으로 어찌 할라꼬~~
백운산갈때도 죽을지경이었다면서~~
기냥 슬슬 댕기자구요...
안되면 외부 영입도 생각중
빠삐용 접수합니다
지금현재 : 오봉 . 빠삐용 2명 앞으로 2명만
보되면 
실하게 계획짜서 진행 들어갑니다
*^ㅡㅡㅡㅡㅡㅡㅡ^*~~~ 도전하시는군여~~~ 추카함돠~ 완주를 기원하며~ 화이튕~
물만보님 먼저 하시니까 지나가면서 까다로운 지역 잘 정리해서 자료 부탁합니다
걍 응원해주고 밥 사줄께여..대장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