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신경(accessory nerve)은 흉쇄유돌근과 상부승모근을 visceral and somatic efferent fiber로 지배하고 있고,
one cranial, one spinal root 두개의 신경근이 있다.
쉽게 말하면 부신경이 지배하고 있는 흉쇄유돌근, 상부승모근은 스트레스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뜻이고,
흉쇄유돌근과 상부승모근을 잘 치료하면 visceral efferent에 의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뜻이다.
관련 논문 Sternocleidomastoid syndrome
Sternocleidomastoid syndrome.pdf
부신경은 cranial root와 spinal root 두개의 신경근이 합해져서 흉쇄유돌근과 상부승모근을 지배함.
- 부신경은 어떤 저자에 의하면 미주신경의 독립적인 부분(independent part)라고 여겨짐
- 부신경은 visceral and somatic efferent fiber
- cranial root는 visceral efferent 기능, spinal root는 somatic efferent 기능
- spinal root는 척수에서 기원하여 foramen magnum을 통과, 연수로부터 기원한 cranial root와 조인함.
- 두개의 branch로 나누어짐.
- 하나는 internal branch로 미주신경과 연관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부신경의 branch로 내려감.
부신경의 cranial root
- 미주신경 의핵으로부터 출발한 부신경의 cranial root는 special visceral efferent fiber
- cricothyroid를 제외한 모든 후두근육(laryngeal muscle)를 지배
부신경의 spinal root
- 경추 C2~C6 부위 척수의 전각세포에서 부신경의 spinal nucleus로 연결
- somatic efferent fiber로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에 유주함.
승모근 마비(trapezius paralysis)
- 수술시 마비가 잘옴
흉쇄유돌근 마비
- 사경
- 양측마비가 오면 head를 upright position으로 유지하지 못함.
첫댓글 자료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안됐었던 부분인데.ㅎ
자침 포인트가 있습니다. 유양돌기하 3cm의 SCM 후방이 entrap을 일으키는 지점입니다.
저같은 경우 승모근이 불편할때 전혀 승모근 치료안하고 SCM치료해서 효과를 많이 봅니다. 참고하세요..
전체적으로 풀어줘도 낫겠죠...^^.. 다 나름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