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9:30-10:00 |
등 록 | |||||||
|
제1분과 언어에 대한 인식과 (한)국어 교육의 방향
사회: 엄해영(서울교대) 장소: 208호 |
제2분과 언어 패러다임의 변화와 문법 교육
사회: 박재승(충북대) 장소: 308호 |
제3분과 언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방향
사회: 김정태(충남대) 장소: 309호 |
제4분과 언어 패러다임의 변화와 (한)국어교육의 탐구
사회: 김수정(獨協大) 장소: 310호 | ||||
10:00-10:40 |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한국어 교재 변화 양상 -해외 동포 아동들을 위한 맞춤형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발표: 신필여 (서울대 언어교육원) 토론: |
문법 교육을 위한 유러닝 활용 방안 연구
발표: 김남희(충북대) 토론: |
쓰기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와 대화주의적 쓰기 평가
발표: 오세영(고려대) 토론: |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 쓰기의 내용 지식 구성 양상 연구
발표: 윤지원·전미화 (배재대) 토론: | ||||
10:40-11:20 |
언어 패러다임의 변화가 조선어 초등교원 양성과정에 미치는 영향
발표: 김순희(중국 연변대) 토론: |
언어관의 변화와 문법 교육
발표: 고춘화(경상대) 토론: |
교과서 쓰기 단원 구성의 새로운 방향 : 설명문을 중심으로
발표: 김혜연(서울대) 토론: |
한국어 학습자 쓰기 수정 교육 방안 연구-상위인지 조정 전략을 중심으로
발표: 전형길(상명대) 토론: | ||||
11:20-12:00 |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본 사우디 유학생과 한국어 학습
발표: 니콜라 프라스키니 (서강대) 토론: |
한국어 연결어미'-니까'의 문법화 현상 연구
발표: 송대헌(청주대) 토론: |
대수능 언어 영역 평가에 대한 언론의 시선
발표: 이지선(한양대) 토론: |
차세대 한국어 교실 수업의 운영 매커니즘
발표: 조형일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 토론: | ||||
12:00-13:30 |
점심 식사 | |||||||
13:30-13:50 |
개회식 (208호) |
사회: 김상태(청주대) | ||||||
개회사: 한국국어교육학회장 김진식(충북대학교 사범대학장) | ||||||||
13:50-14:30 |
기조강연 Ⅰ (208호) 발표: 이덕환(서강대) |
사회: 주세형(서강대) | ||||||
과학과 과학교육에서 언어의 역할 | ||||||||
14:30-15:10 |
기조강연 Ⅱ (208호) 발표: 최지현(서원대) |
사회: 주세형(서강대) | ||||||
사적 언어는 국어교육의 공적 담론장에 들어오게 될 것인가 | ||||||||
15:10-15:30 |
휴식 | |||||||
|
제5분과 매체의 변화와 문학 교육
사회: 조하연(아주대) 장소: 208호 |
제6분과 한국어교육과 학제간 융합
사회: 권순희(전주교대) 장소: 308호 |
제7분과 언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방향 사회: 정충권(충북대) 장소: 309호 |
제8분과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사회: 최정순(배재대) 장소: 310호 | ||||
15:30-16:10 |
매체, 언어, 문화의 융복합으로서의 국어교육
발표: 서유경(목원대) 토론: |
커뮤니케이션 학자가 본 한국어 교육에서의 온라인의 역할
발표: 윤기웅 (Bowling Green State Univ.) 토론: |
언어관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양상과 교육과정 패러다임 변환을 위한 시사점
발표: 김명순(부산대) 토론: |
다문화 시대 화법교육의 방향성 모색
발표: 김혜숙·한정현 (동국대) 토론: | ||||
16:10-16:50 |
복합양식적 관점의 문학 교재 구성 원리 고찰
발표: 송여주(서울대) 토론: |
수학 교과에서의 스토리텔링
발표: 이환철 (과학창의재단) 토론: |
문식성과 문식성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양상 -21세기 문식성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제언을 중심으로-
발표: 옥현진(이화여대) 토론: |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 태도 발달 양상 연구
발표: 윤준채(대구교대) 토론: | ||||
16:50-17:30 |
한국어교육에서 언어학습자문학의 활용 연구
발표: 오지혜(세명대) 토론: |
한문에 대한 인식 변화와 외국어로서의 한문 교육의 필요성-어문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발표:박상규(교원대) 토론: |
언어 표현 과정의 정신 생리학적 분석-자료 해석 능력을 중심으로
발표: 김평원(인천대) 토론: |
이주여성 한국어교육을 위한 2013 개정 초등 교과서 어휘 분석-1, 2학년 1학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발표: 박현주·정윤나 (충북대) 토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