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론석 중권
[원만하게 갖춘 모습, 법신]
“여래께서 설하신 저것은, 원만하게 갖춘 모습은 곧 원만하게 갖춘 모습이 아닌데 이것을 원만하게 갖춘 모습이라고 한다”고 하였으니
여기에는 무슨 뜻이 있는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참다운 법신(法身)이란
좋은 상호 원만함을 따르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니며
또한 상호가 원만하게 갖추어진 것도 아니니
몸의 성품을 말하는 게 아님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법신은 분별이 없지만
여래가 아니면 이 두 가지가 없으니[無二]
거듭 원만하게 갖춘 상호라고 말한 것은
두 가지 몸이 다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법신은 실제로 원만하게 갖춘 좋은 색신(色身)을 따르는 것이 아니요, 또한 원만하게 갖춘 갖가지 상호도 아님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저것은 몸의 성품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한 것은
곧 법신은 원만하게 갖춘 형상이 없다는 뜻을 말한 것이며,
또한 여래가 아니면 이 두 가지를 갖출 수 없다는 것을 말한 것이니,
이른바 색신이 원만한 것과 훌륭한 상호를 원만하게 갖춘 것이다.
이 두 가지는 법신을 떠나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래께는 그러한 상호(相好)가 있는 것이다.
이것을 거듭해서 말한 것은 색신이 원만하고 또한 좋은 상호를 갖춘, 이 두 가지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이 두 가지도 없는 것이라고 말했으니,
이것은 원만하지도 않고 상호를 갖추지도 않았기 때문이며,
또한 있다고 말한 것은 색신이 원만하고 훌륭한 상호를 갖추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무슨 뜻이 담겨져 있는가?
법신에는 이러한 상호(相好)가 없기 때문이니, 그러므로 이를 이름하여 여래라고 부른 것이다.
색신이 원만하고 좋은 상호를 갖추었다 하면 그 몸과 서로 떠나 있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법신의 성품은 곧 이와 다르니, 법신은 그러한 자성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한 마땅히 색신이 원만하고 상호를 갖춘 몸이라는 것으로써 여래를 보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는데 여래는 왜 이런 설법을 하시는 것일까?’라고 의심할 것이므로
이 의심에 대답하기 위하여 이는 곧
“나쁜 집착을 가지고 나를 비방하는 것이니, 내가 말한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라고 말씀하셨다.
게송으로 말하리라.
여래께서도 또한 없다고 말씀하셨으니
두 번 말씀하신 것은 집착할까 염려했기 때문이다.
“법을 설한다, 법을 설한다”고 두 번 거듭 말씀하신 뜻은 무엇인가?
게송에 이르기를
“두 번 말씀하신 것은 집착할까 염려한 때문이다”라고 했다.
무엇이 두 가지인가?
하나는 바로 이 글이며 다른 하나는 이 글의 뜻이다.
[말로 설할 수 없는 법을 설한다]
무슨 까닭에 경에 이르기를
“말로 설할 수 없는 법을 설한다고 하느니라”고 하였는가?
게송으로 답하리라.
법계를 떠나 있지 않기 때문이며
또한 자성(自性)도 없다고 설법하였기 때문이다.
‘법계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고 법을 설한다면 자성을 얻어야 할 것인데,
만약 세존께서 능히 설법한 것이 없었다고 한다면 설하신 법도 또한 법신(法身)을 여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그런 까닭에 존재하지 아니함이 성립될 터이니 이와 같은 심오한 법에 대하여 공경하고 믿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라는 의혹이 생겨날 것이므로
이런 의문을 제거해 주기 위하여 게송으로 대답하였다.
법을 설한[能說] 이나 설해진[所說] 법이 비록 매우 심오하나
또한 공경하고 믿는 이가 아주 없는 것도 아니다.
[중생이 아니며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다]
경에 이르기를
“묘생아, 저들은 중생이 아니며 또한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무슨 뜻인가?
게송으로 답하리라.
중생도 아니고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면서
성인은 아니지만 성인의 성품과 서로 호응하기 때문이다.
모든 유정이 마땅히 공경하고 믿음을 낸다면 저것은 중생이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다른 중생이 성인의 성품과 서로 호응하지 않는다면 곧 범부의 성품과 서로 호응하게 되기 때문이다.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다’라는 것은 성인의 성품과 서로 호응하기 때문이니,
여기에서의 의미는, 저들이 범부의 성품을 보는 까닭에 곧 중생이 아니요 성인의 성품도 보기 때문에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라는 뜻이다.
왜냐하면 중생, 중생이라고 하지만
여래께서 “저것은 중생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곧 우매하고 작은 이생(異生)의 성품에 의거해서 말한 것이며,
“그러므로 이것을 중생이라고 한다”고 말한 것은 곧 성인의 성품에 의거한 것이다.
[아무 법도 없다]
‘만약 여래께서 일찍이 아무 법도 없다는 것을 곧 깨달아 알아야 할 대상이라고 하셨다면 어떻게 나중에 그 뒤에 오는 바른 지혜의 차례를 떠난 것을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이라고 말할까?’ 하는 의혹이 생겨날 것이므로
이 의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법이 있어 깨달아야 할 것이 아닌 것을 비로소 무상정각이라고 부른다”고 했다.
그 이유를 게송으로 말하겠다.
조그만 법도 없는 까닭에
무상각(無上覺)임을 마땅히 알아야 하니
법계는 증감(增減)이 없기 때문에
청정하고 평등한 성품이라고 한다.
방편은 위가 없어서
여기에서부터 나아가 조그만 법에 이르기까지 한 법도 벗어나야 할 것이 없기 때문에 이름하여 무상(無上)이라고 한다.
또 법계는 더할 것이 없기 때문에 그 법은 평등하다.
그러므로 무상상(無上上)이라 하였으니,
이보다 으뜸가는 성품[上性]이 없기 때문이며,
또한 여래의 법신은 청정하고 평등하기 때문에
그 법은 어느 것과도 같거나 평등하지 아니함이 없고 조금도 늘어날 것이 없으므로 무상(無上)이라고 부른다.
또 그 법은 곧 나라는 모습이 없기 때문에 이를 높다고 하고 높은 성품까지도 없기 때문에 무상이라고 이름하며,
또한 모든 방편도 위가 없고 지닌 선법(善法)이 모두 원만하기 때문에 그것을 무상이라고 이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