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사론 하권
6.5. 진중에서부터 35세이니, 모두 6백여 년이다
“진중(秦仲)에서부터 35세이니, 모두 6백여 년이다”라는 궤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사기(史記)』에서도
“은나라 이전에는 제후들조차 족보(族譜)가 없었다”했습니다.
세차(歲次)도 어긋난 것이 많아 연대의 추정이 사실상 어렵다고 했으니, 이 때문에 『상서(尙書)』에서도 단지 갑자(甲子)로만 차례를 정하고 연월을 따로 정하지 않았으니, 당시의 사관(史官)조자도 이를 빼고 기록치 않았습니다.
삿된 소견으로 진중(秦仲)에서 이세(二世)까지를 6백여 년이라 하는 것은, 한 세대가 너무 길다고 보이는데, 도대체 무엇으로 증거를 댈 수 있겠습니까?
춘추시대 이전에는 ‘진(秦)’이란 나라가 원래 없었고, 춘추시대 이후에야 진백(秦伯)이 있었던 것입니다. 춘추시대를 당하여 진 나라가 점점 패권을 가지게 되었으나 단지 주나라의 소읍(小邑)이었습니다. 효왕(孝王)의 치세에 비자(非子)를 시켜 말을 연수(汧水)와 위수(渭水) 가에 기르게 하였는데, 미처 천명(天命)을 받지 못해 정삭(正朔)이 없다가, 증손자 진중이 선왕(宣王)의 치세에 거마(車馬)의 녹을 받아 임금을 섬기는 대신이 되었을 뿐입니다.
진중의 손자 진양(秦襄)이 평왕(平王)이 동쪽으로 천도하는 것을 호송하고서야 작위가 ‘백(伯)으로 봉(封)해졌기에, 비로소 문공(文公) 이후부터 『사기』에 출전되기 시작하는데, 이로부터 멸망하기까지가 불과 2백여 년입니다.
『사기』와 『죽서(竹書)』 및 『도공년기(陶公年紀)』 등에도 모두 진나라에는 역수(曆數)가 없었다고 말합니다. 비록 주나라 치세의 신하로 열거되지만 겨우 여러 제후의 말석에나 자리했는데, 어떻게 연기(年紀)가 있을 수 있었겠습니까?
호해(胡亥)에 이르기까지, 『사기』에서는 단지 여공(厲公)의 연대로만 열거하는데도, 2세를 끝으로 101년간뿐이니, 대부분의 연대는 모두 춘추에 부가되고 별기(別記)가 따로 없었습니다. 난왕(赧王)의 말엽에, 진나라 소양왕(昭襄王)이 주나라가 쇠약해진 틈을 타고 주나라를 멸망시키고서 왕호(王號)를 분수없이 자칭한 것뿐입니다. 따라서 여러 역사를 이어 보더라도 진나라는 고작 5세 49년입니다.
제(齊)나라의 비서(秘書) 양분(楊玢)의 『사목(史目)』에서는, 진나라가 국호를 봉(封)하고서 멸망하기까지를 대체로 35세 6백여 년간이라 한 것은 처음으로 ‘진(秦)’이란 국호를 봉하고서 6백여 년이 경과한 것을 취한 것이지 이는 중국을 패권으로 통일한 기간은 아닙니다.
부혁이 이처럼 삿된 소견으로 진나라의 짧은 연조(年祚)를 함부로 늘려서 금상(今上)의 긴 세월을 모욕했으니 어찌 망령되지 않습니까?
6.6. 제왕에게 부처가 없으면 연조가 늘어났으나, 부처가 있으면 국조가 짧아졌다
“제왕에게 부처가 없으면 연조가 늘어났으나, 부처가 있으면 국조(國祚)가 짧아졌다. 포회 이래로 한 고조(漢高祖)에 이르기까지 29대 동안 불법이 없었기에 임금은 성명(聖明)하고 신하는 충성스러웠다”는 궤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포회씨는 어째서 나라를 자손에게 남기지 못하고 홀로 다스렸습니까?
요와 순의 두 임금도 오제(五帝)에 들어가는데, 요(堯)는 어질게 다스려 성명(聖明)을 다했고, 순(舜)도 자애로워 성명을 다했다고 합니다. 『상서』의 「이전(二典:요전과 순전)」에서 논하는 바에 따르면, 그 백성을 교화하여 도(道)로 다스리는 공업이 가히 으뜸이었는지라, 백성이 무어라 이름하지도 못했으니, 실로 하늘이 내린 명군(明君)이라 하겠습니다.
그러나 요는 형을 폐하고 자리에 올랐는데다 그 아들 단주(丹朱)는 불초했고, 순은 아비가 둔하고 어미는 강퍅한데다, 홀몸으로 후사도 없었습니다.
이때에도 부처님이 없었는데, 어째서 대대로 전하지 못하고 일찌감치 사라져 버렸습니까?
은거연기(隱居年紀)에
“하우(夏禹)가 다스린 지 9년 만에 예(羿)가 15년간을 찬탈하였고, 다시 착(浞)이 12년간을 찬탈하고 고(睾)가 11년간을 찬탈하였으며, 하규(夏癸)는 52년간이나 전쟁을 벌였다” 하였습니다.
『서경』에는
“순임금과 우임금은 천하에 우뚝하게 공을 이루었으니, 그 문장(文章)이 혁혁하다”고 말합니다.
「대우모(大禹謨)」에는
“우임금은 궁궐도 초라하고 먹는 것도 거칠었으니, 검은 옷을 입고 수로의 관개에만 진력했다”고 말하는데,
백성을 대신하여 치수(治水)했기에, 백성에게 세운 공이 황천(皇天)이 덕을 도운 것과 같다고 할 만합니다.
그렇다면 어째서 천조(天祚)가 영구하지 못하고 단지 9년간만 다스렸겠습니까?
『감년기(勘年紀)』에는,
“하임금 이후에는 소강(小康)의 치세로 이르는데, 그 신하 가운데에는 유궁(有窮:나라 이름)의 예(羿)ㆍ한착(寒浞)ㆍ및 풍이(風夷)ㆍ회이(淮夷)ㆍ황이(黃夷)ㆍ짐심(斟尋) 등의 나라가 차례로 반란을 일으켜 대략 26년간 하 임금을 쫓아내고 스스로 자리에 올랐다”고 합니다.
당시에도 부처님이 없었는데, 찬탈과 역모는 도대체 누구에 의한 것이었습니까?
은(殷)나라 탕(湯)의 치세13년, 외정(外丁)의 치세3년, 중임(仲壬)의 치세4년, 태갑(太甲)의 치세10년, 발정(沷丁)의 치세13년, 태무(太戊)의 치세10년, 외임(外壬)의 치세3년, 옥갑(沃甲)의 치세4년, 반경(盤庚)의 치세9년, 소신(小辛)의 치세7년, 무을(武乙)의 치세4년, 조경(祖庚)의 치세7년, 조을(祖乙)의 치세10년.
다시 답변 드리겠습니다.
탕 임금은 어질어 남살(濫殺)하지 않고 그물을 쳐도 세 곳을 열어 두었고, 하나라의 걸 임금도 명조(鳴條)로 추방했을 뿐이니, 그 어진 덕이 참으로 크다 하겠습니다.
그러나 이때에도 부처님이 없었는데, 어째서 천력(天曆)이 유구하지 못했으며, 외정(外丁)과 외임(外壬)도 연조가 그토록 짧았습니까?
『상서』에서는,
“탕 임금이 아홉 차례나 정벌하였고 태갑이 다섯 차례나 정벌하였는데, 이윤(伊尹)이 탕의 둘째 아들 승(勝)을 옹립하고, 다시 승의 동생인 중임(仲壬)을 옹립하면서, 다시 태갑을 동궁(桐宮)으로 추방하였다”고 말합니다.
『급총서(汲塚書)』에서는,
“이윤이 보위를 찬탈하였는데, 나중에 태갑이 몰래 도망 나와 직접 이윤을 죽이면서 그 아들을 채용하였다”고 전하니,
과연 ‘충직한 시대’라 부를 수도 있겠습니다.
이때에도 부처님이 없었는데, 어째서 소장(蕭牆:내란)의 변(變)이 잇따르고 군신은 그토록 무도했습니까?
주나라 무왕(武王)의 치세11년, 의왕(懿王)의 치세3년 후사(後嗣)없음, 희왕(僖王)의 치세5년 후사 없음, 경왕(傾王)의 치세6년, 광왕(匡王)의 치세6년, 원왕(元王)의 치세8년, 열왕(烈王)의 치세7년, 정왕(靜王)의 치세6년, 정왕(貞王)의 치세8년, 도왕(悼王)의 치세1백1일, 애왕(哀王)의 치세3개월, 사왕(思王)의 치세5개월.
다시 답변 드리겠습니다.
무왕의 군대가 주(紂) 임금을 정벌하고자 맹진(孟津)을 건넜는데, 흰 물고기가 배로 뛰어 들어왔으니, 하늘의 가명(嘉命)도 이에 응했다고 하겠습니다.
시법(諡法)에 난리를 평정하게 되면 ‘무(武)’라 이름하였는데, 백성이 이에 의지하였다. 이문(里門)을 지날 때마다 수레에서 허리를 굽히고 무덤에 흙을 덮어 주는 예를 다하면서, 소를 놀리고 말을 풀어놓아 태평을 이루었는데도, 어째서 연조가 짧아 다스린 것이 겨우 11년뿐이며, 더욱이 의왕과 희왕에게는 후손조차 없었습니까?
6.7. 부처님이 있기 전의 세상에는 찬탈과 반역이 없었다
“부처님이 있기 전의 세상에는 찬탈과 반역이 없었다”는 궤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어째서 주나라 열왕의 동생 현왕(顯王)은 보위를 찬탈했는데도 48년간이나 자리를 지켰으며, 도왕은 옹립된 지 불과 1백1일만에 서제(庶弟) 자조(子朝)에게 살해당했습니까?
경왕의 동생 애왕은 치세가 3개월에 만에 동생인 사왕(思王) 외(外)에게 살해당했으며 사왕은 5개월간 다스리다가, 어린 동생이었던 고왕(考王) 외(隗)에게 다시 살해당했으니, 이 세 왕이 다스린 기간이 모두 합쳐 고작 1년뿐입니다.
양분(楊玢)의 『사목(史目)』과 『도공연기(陶公年紀)』에서 출전되는 진나라 5세 여섯 임금의 재위 기간도 49년에 불과합니다.
소왕(昭王)은 5년주나라를 멸망시킨 후에 왕으로 불린 재위 기간이 5년이다, 효문왕(孝文王) 식(式)1년, 양왕(襄王) 초(楚)3년, 진시황(秦始皇) 정(政)37년, 호해(胡亥)3년, 상제(殤帝) 영(嬰)46일.
현왕 5년째에 진나라 목공(穆公)이 패권을 잡기 시작했는데, 34년째에 진나라가 주나라의 정권을 이었습니다.
『죽서(竹書)』에서는
“중연(仲衍) 이전에는 연기(年紀)나 세기(世紀)가 없었었다”고 말합니다.
『도공연기』에서는
“진나라가 임금 자리를 찬탈하고서 덕정(德政)을 펴지 않았기에 그 차제가 오운(五運)의 경계에 들지 못했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연조가 유구하지 않으면 ‘제왕’이라 할 수 없는데도, 부혁이 짧은 것을 길다 하고 헛된 것을 가리켜 실하다 하니, 도대체 무슨 속셈이 있는 것입니까?
진나라 때에는 북쪽에 성곽을 쌓아 오랑캐를 방비하였는데, 부소(扶蘇)를 죽이고 2세를 옹립하자, 진승(陳勝)이 봉기하여 관동(關東)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한나라 때에는 흉노가 변방을 침입하여 봉화가 감천궁(甘泉宮)을 환히 밝혔는데, 남월(南越)과도 사이가 좋지 않아 수전(水戰)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한나라 고조(高祖)의 재위 기간12년, 혜제(惠帝)7년, 문제(文帝)는 고조의 넷째 아들적자가 아니다이었고 무제(武帝)는 본래 교동왕(膠東王)으로 경제(景帝)의 여섯 번째 아들적자가 아니다이었습니다.
효경제(孝景帝) 때에 오나라와 초나라 등의 7개국이 반란을 일으켰고, 소제(昭帝)가 승하하자, 형의 아들 창읍왕(昌邑王)이 27일간 즉위하였으나, 무려 1천1백27가지의 죄를 물어, 곽광(霍光)이 이를 폐하고 나중에 선제(宣帝)를 옹립하였습니다.
이때에도 부처님이 없었는데, 어째서 이렇게 되었습니까?
후한(後漢)은 무려 12제 1백95년간입니다.
광무제(光武帝)33년, 효명제(孝明帝)18년, 장제(章帝)13년, 화제(和帝)17년, 안제(安帝)19년, 순제(順帝)19년, 환제(桓帝)21년, 영제(靈帝)31년, 헌제(獻帝)30년.
『은거(隱居)』에서는
“위나라 황초(黃初) 원년부터 소제(蕭齊)의 말엽까지 대체로 2백80년이다”라고 말합니다.
척발(拓跋)의 원위(元魏)는 열일곱 임금이 있었는데, 대체로 1백79년입니다.
이때에는 부처님이 있었는데, 어째서 연조가 이렇게 유구하였겠습니까?
이에 대해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후한서』에서는,
“광무제가 반란을 눌러 반정(反政)을 이루고, 명제가 이를 다스려 태평하게 하였으니, 백성에게 백리(百里)의 근심이 없었고 관리는 집을 떠나는 고달픔이 없었다. 기린(麒麟)이 담장 안으로 들어오고 신령한 봉황(鳳凰)이 오동나무에 깃들었으며, 붉은 참새ㆍ아롱진 거북이ㆍ파랑새ㆍ흰 사슴 등의 좋은 징조가 잇달아 백성들이 기뻐하였다.
그윽하고 가득한 은총이 내리고, 하늘에서 내리는 단비같은 은택이 펼쳐져, 팔방(八方)이 그 덕화(德化)를 마시고 만국이 그 풍화(風化)를 기렸다“고 말합니다.
『논형(論衡)』 등의 책에서도,
“후한의 좋은 징조와 상서로움은 하ㆍ주에 부끄럽지 않다”고 말하였는데,
부혁이 부처님이 있으면 연조가 짧다는데, 이때는 어째서 연조가 이렇게도 길었습니까?
부혁이 말하기를,
“서역의 호족 가운데 단말국(旦末國)은 병사가 3백20인에 불과하고, 소원국(小苑國)의 병사는 2백인에 불과하고, 융노국(戎盧國)의 병사는 3백인에 불과하고, 거륵국(渠勒國)의 병사는 3백인에 불과하고, 의내국(依耐國)의 병사는 3백50인에 불과하고, 욱립사국(郁立師國)의 병사는 3백31인에 불과하고, 단상국(單相國)의 병사가 35인에 불과하고, 고호국(孤湖國)은 병사가 45인에 불과하다.
무릇 여덟 나라의 오랑캐 군사가 모두 1천 8백 91인데 모두가 그 왕업(王業)을 빛내고자 땅을 점거하면서 서로 침략하여 인민을 살육한다. 하물며 지금 대당국(大唐國)의 승니가 20여만 대중이나 되는데, 오랑캐 나라의 법에 결탁하여 민심을 얻고 있으니, 어찌 이를 방비하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한서』 「서역전」을 살펴보면, 단말과 소원 등의 8개 국은 모두 총령 동쪽에 있습니다.
한나라 지방에서 서역까지는 장안에서 만 리에 불과하니, 원래가 부처님께서 탄생하신 땅이 아닙니다. 또 승니 가운데에서 일찍이 모반을 꾀한 이가 없는데, 저들이 멋대로 죄를 짓는 것이 스님들과 무슨 상관이 있다는 것입니까?
이는 단지 마귀가 부혁의 마음에 들어가 밖으로 삿된 말을 하는 것으로, 지나간 일을 헛되게 끌어 붙여서 지금의 현인을 욕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어진 이는 이것이 미친 소리임을 알 것이나, 어리석은 이는 다른 생각을 낼 수도 있으니, 조야를 현혹시키는 것이 참으로 가슴 아픕니다.
6.8. 부처가 한나라 땅에 와서 해만 끼쳤지 이익 준 것이 없었다
“부처가 한나라 땅에 와서 해만 끼쳤지 이익 준 것이 없었으니, 집안에 들이면 집안이 망하고 나라에 들이면 나라가 망한다”는 궤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한나라 명제의 치세에 불법이 처음 전파되자, 대당(大唐) 성조(聖朝)의 신심 바른 군자들은,
“여러 부처님의 대인(大人)들은 모두 속세를 벗어난 높은 선비인지라, 열반의 묘한 뜰에 노닐면서 반야(般若)의 진공(眞空)에 머무니, 그 모양을 말로 형용하지도 못하고 그 생각을 마음으로 통하지도 못한다. 형체가 같아도 법을 성품으로 삼는지라, 수명을 태허(太虛)와 함께 하다가, 단지 중생에 부응하여 몸을 나투는 것이 마치 물 속의 달과도 같다.
따라서 구담(瞿曇)스승의 석 자 모습을 우러르고 나한(羅漢)의 장륙(丈六)의 용자(容姿)를 뵙게 되면, 크게는 허공에 가득하시고, 작게는 털 끝에도 들어가신다. 인연을 따라 바탕에 응하여 교화하시므로 일정한 의표(儀表)가 없다”고 일렀습니다.
그러므로 석가에 대한 토대가 처음 확립된 것을 찾아 한동도(漢東都)의 교사(郊祀)와 『진서(晉書)』와 『위서(魏書)』 등의 사서 및 왕검(王儉)의 『사록(史錄)』과 비장방(費長房)의 『삼보록(三寶錄』을 의거하고 『보요경(普曜經)』과 『본행경(本行經)』 등을 상고하고 비교해보았더니
아울러 말하기를,
“부처님은 주나라 때에 제15대 임금인 장왕 9년 계사년(癸巳年) 사월 초파일에 전단나무로 지은 누각에서 흰 코끼리 모양을 보이시면서 도솔천(兜率天)에서 천축국 가비라성 찰리왕종(刹利王種) 정반대왕(淨飯大王)의 제1부인 마야의 태중에 들었다. 10년 갑오년(甲午年) 사월 초파일 밤 귀수(鬼宿)가 만나는 때에, 람비원(嵐毘園) 바라수(波羅樹) 밑에서 마야(摩耶)부인의 오른쪽 옆구리로 탄생하였으니, 광명을 내어 삼천세계를 비쳤다”고 하였습니다.
『서응경(瑞應經)』에서는
“유성이 내려오면서 빛을 발하는 때에 태자가 태어났다”고 하며,
『본행경(本行經)』에서는
“하늘에 구름 한 점 없는데도 비가 내렸다”고 이르는데,
『좌전(左傳)』에서
“유성이 비처럼 쏟아졌다”고 하고
『두씨주해(杜氏注解)』에서도
“이때에 구름이 없었다”고 주석하는 것이 불경과 일치됩니다.
따라서 통유(通儒)들은 대체로 부처님이 태어나신 때를 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열아흡 살에 출가하여 서른 살에 성도(成道)하셨으며 49년간 세상에 머무시면서 설법하시어 하늘과 인간을 군품(群品)에서 해탈하도록 이롭게 보살피다가, 주나라 광왕(匡王) 4년 임자년(壬子年) 2월 15일 후야(後夜)에 구시성(拘尸城)에서 반열반(般涅槃)에 드셨습니다.
멸도하신 이래로 지금 대당국의 무덕(武德) 5년 임오년(壬午年)까지가 따져보면 1천2백21년입니다. 멸도하신 후 1백16년 만에 동천축국에 아육왕이 있어 부처님의 사리를 거두고 귀병(鬼兵)을 시켜 8만 4천 개의 탑을 염부제에 두루 지었는데, 우리 한나라 땅의 구주(九州) 안에도 보탑이 남아 있습니다.
바로 보탑을 지은 때가 이 땅에서는 주나라 경왕(敬王) 26년 정미년(丁未年)에 해당합니다. 탑이 주나라 치세에 세워져 12 명의 왕을 거쳤는데, 진시황 34년 분서갱유(焚書坑儒) 때에 아육왕의 여러 탑들도 이로 인해 훼손되었습니다. 아울러 불가의 경전도 전해졌다는데 그 소재를 자세히 알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석도안(釋道安)과 주사행(朱士行) 등의 『경전목록(經典目錄)』에는,
“진시황 때에 외국의 사문 석리방(釋利房) 등 열여덟의 현인이 불경을 가지고 와서 진시황을 교화하고자 하였으나, 진시황이 따르지 않고 도리어 석리방 등을 가두었다. 밤중에 장륙(丈六)의 금강신(金剛神)이 감옥을 깨뜨리고 구해 내자, 진시황이 이에 놀라 머리 숙이고 사과하였다고 한다”는 대목이 출전됩니다.
혹 누군가가
“비록 이 같은 설이 있으나 연대를 알 수 없는데, 무슨 증거라도 있습니까? 그 결말을 말씀해 주십시오”라 묻는다면,
그 대답은 이렇습니다.
전한 성제(成帝) 때의 도수사자(都水使者) 광록대부(光祿大夫) 유향(劉向)의 전기(傳記)에는
“유향이 널리 사적을 살피고 경서를 보았는데, 매번
‘내가 전적을 들출 적마다 가끔씩 불경을 보게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열선전(列仙傳)』을 지으면서,
‘내가 장서(藏書)를 검색하며 태사 창(創)을 따라 열선도(列仙圖)를 찬술하였는데, 황제 이래의 여섯 대에서 지금까지 선도(仙道)를 이룬 이가 7백여 인이었다. 그러나 유향이 그 허실을 살펴보니 단지 1백46인만이 얻었다’고 말했으며, 또
‘그 가운데 74인은 이미 불경을 보았다’고 말했다”는 대목이 출전됩니다.
추측컨대 유향이 말한 장서라는 것은 대개 시황시대 사람의 장서일 것입니다.
또 어떤 이는 공자의 집에 감춰져 있던 책이었다고 말하는데, 이로 미루어 보면, 어찌 진한(秦漢) 이전에 불법이 진단에 유행하지 않았겠습니까?
도안이 기록한 열두 분의 현자도 찾아보면, 바로 그 70인의 명수 가운데 있었는데, 지금 『열선전』에는 72인이 나옵니다.
『문수사리반니원경(文殊師利般泥洹經)』에서는,
“부처님께서 멸도하신 지 4백50년 후에, 문수가 설산(雪山)에 이르러 5백 선인에게 12부(部)의 경전을 설하고서 본국에 돌아가 열반에 드는데, 항성(恒星)의 서광(瑞光)이 그 때를 조짐하였다”는 대목이 있습니다.
『지리지』 「서역전」을 살펴보면,
“설산은 바로 총령이다. 그 밑에 있는 서른여섯 개의 나라가 예전부터 한나라를 받들었다. 총령에는 눈이 많기에 설산이라 부른다”는 대목이 있으니,
문수사리가 가서 선인(仙人)을 교화한 곳도 바로 이 곳입니다.
자세히 대조해 보면, 바로 유향의 말을 뒷받침하고 있으니, 비록 진나라 치세에 불타 없어졌다가 한나라가 일어나자, 다시 출현했던 것입니다. 따라서 지금도 형양(荊楊)ㆍ오(吳)ㆍ촉(蜀)ㆍ부풍(扶風)ㆍ낙양(洛陽)의 보탑이 있었던 자리는 모두 신비스러운 서응(瑞應)을 발하기에, 여러 서책이 있었다는 것도 단지 억설(臆說)만은 아닙니다.
성제(成帝) 홍가(鴻嘉) 3년 계묘년(癸卯年)에 유향이 『열선전』을 찬술한 것이 명확한 사실이니, 주나라 치세에 불법이 들어온 지가 오래되었는데도,
눈 뜬 장님이
“부처님이 있으면 연조가 짧아진다”고 말하는 것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경률이상(經律異相)』에 따르면, 석가의 정법(正法)은 천 년이고 상법(象法)도 천 년이며, 말법(末法)은 만 년이라 합니다. 5천 년 이내에는 사부대중(四部大衆)의 학인(學人)이 삼달지(三達智)를 얻어 사도과(四道果)를 증득하고, 말법시대가 지나가면 드디어 가사(袈裟)를 입게 된다고 합니다.
『주서이기(周書異記)』를 살펴보면,
“목왕(穆王)이 서방에 부처님이 있는 것을 알고는 화류팔준(驊騮八駿:화류는 목왕이 타던 8준마의 하나)의 말을 타고 서쪽으로 가서 부처님을 찾고자 하였으니, 이 때문에 선양(禪讓)하였다”는 대목이 있습니다.
이로 미루어 보면, 제나라 때의 상통(上統) 법사가 고려국(高麗國)의 사신에게 “서주(西周)의 제 5대 임금 소왕 24년 갑인년(甲寅年)에 태어나셨으니, 지금 무덕 5년까지가 바로 1천5백77년째이다”라고 대답한 것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목왕의 치세에 법이 이미 동방에서 행해졌음을 믿을 수 있으니, 유향조차도 “갈수록 분명해진다”고 말합니다.
또 한나라 무제 때에 곤명지(昆明池)를 파다가 검은 숯덩이 비슷한 것이 나왔는데, 동방삭(東方朔)에게 물어 보자,
동방삭이
“신도 잘 모르겠습니다. 서역의 호나라 사람에 물어보십시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나중에 외국의 사문 축법란이 왔을 때 이 같은 일을 물어 보자,
법란 스님이 이것은 겁초(劫初)에 타다 남은 재라고 대답하였습니다.
동방삭은 박식한 사람으로 나면서부터 지혜가 남달라서, 묻는 것에 응수하지 못하는 것이 없었고 대답 못하는 말이 없었는데, 어찌 동방삭의 강기(强記)가 호나라 사람만 못할 수 있었겠습니까?
대체로 동방삭이 불법을 일으키고자 뛰어난 사람이 온다는 것을 이미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기에, 이같이 대답했던 것이라 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 세상을 떠나시자, 아난(阿難)이 이를 총지(摠持)하여 한마디의 말씀도 잊지 않았는데, 가섭(迦葉)이 결집(結集)하는 때에, 1천 인의 나한이 모두 피지(皮紙)에 쓰고 패엽(貝葉)에 새겨서 5백 곳의 중국(中國)에 보내 각각 받들게 하였기에, 열여섯 대왕이 각각 탑을 동시에 세웠습니다.
한나라 치세에 비로소 동쪽으로 유전되었는데, 두 곳의 도읍을 거쳤으니, 제왕으로는 16대 동안 호본(胡本)과 범본(梵本)을 한나라의 정언(正言)으로 번역한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와 6백여 년이나 되었습니다. 이로써 불일(佛日)이 다시 빛나게 된 것입니다.
영평(永平) 초년에 경전과 성상(聖像)이 다시 유행되어 개황(開皇)의 시작과 함께 흥성하였었습니다.
위(魏)나라 사람 주사행(朱士行)과 사문 위도안(衛道安) 등이 함께 기록해 둔 것만도, 화융(華戎)과 도속(道俗)을 망라하여 모두 1백82인이나 됩니다. 번역된 경ㆍ율ㆍ계 ㆍ논과 대소승 삼장(三藏)ㆍ 잡기(雜記) 등은 도두 2천1백71부로 총 6천4백46권이니, 참으로 팔마(八魔)의 경계에 감로(甘露)를 내지 않음이 없었기에, 혜일(慧日)이 삼유(三有) 가운데 들어와 장차 승업(勝業)을 영원히 전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사람에게 악행을 버리고 선행을 가르치는 것이 불법의 가장 최우선이기에, 나라를 보하고 인민을 이롭게 하는 것도 가히 여기에 따를 만한 것이 없다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부혁이 망한다고 말한 집안은 도대체 누구의 집안이고, 망한다고 말한 나라는 도대체 어느 나라입니까?
삿된 소견의 어린 아이요, 뿔 없는 축생이며, 일찍이 승냥이의 마음을 먹고, 오랫동안 전갈 같은 독을 품어 털끝만큼의 선(善)은 없고 산악 같은 죄를 짊어졌으며, 자라서는 악을 뉘우치지 않았고 늙어서는 더욱 두터워져서 소경 같은 생각으로 성존(聖尊)을 헤아리니 이는 한 자[尺] 크기의 메추라기가 대붕(大鵬)을 비웃고 우물안 개구리가 창해(滄海)를 믿지 않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가히 천제(闡提)의 역종(逆種)이며 지옥의 죄인이라, 불쌍하고 연민스럽기 때문에 이렇게라도 논을 짓는 것입니다.
무릇 72군주ㆍ삼황ㆍ오제ㆍ공구ㆍ이노를 이 한나라 땅의 성인이라 하나, 그 골육을 삼천(三泉:지하)에 묻어 뉘여 놓으면 시체가 구양(九壤)에 세로로 누워있지 않은 이가 없었으니, 이는 부처님의 사리가 상서로움을 나투며 방광(放光)하는 것과는 같지 않습니다. 사리는 불로 태워도 타지 않고 다듬이돌에 놓고 망치로 내리쳐도 깨지지 않습니다. 이것은 지금이라도 다시 시험해 보면 분명해질 것입니다.
이 같은 한 가지 일만 하더라도 불법의 신령한 공덕을 알기 충분한데, 소위 진단의 여리 성인들로서 어느 누가 이에 짝할 수 있겠습니까?
그런대도 비방하면서 소멸하려고 하니 참아 용납하기가 어렵습니다. 풍속을 해치고 복전(福田)을 깨뜨리며 생민(生民)을 현혹하고 조정을 더럽힌 것이 참으로 한탄스럽습니다.
사문 안세고(安世高)의 번역[1백 76부], 사문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98부], 사문 위(衛)나라 도안(道安)의 번역[24부], 사문 엄불조(嚴佛調)의 번역[7부], 사문 보창(寶唱)의 번역[『중경목록(衆經目錄)』 4권 1천4백33부], 오나라 사람 지겸(支謙)의 번역[1백 29부], 진나라 사람 섭승원(攝承遠)의 번역[3부], 진나라 사람 섭도진(聶道眞)의 번역[54부], 송나라 사람 사령운(謝靈運)의 번역[『열반경』 36권], 북량(北涼) 안양후(安陽侯) 저거경성(沮渠京聲)의 번역[35부], 원위(元魏) 기성군수(期城郡守) 양현지(楊衒之)의 번역[1부], 원위 이곽(李廓) 찬술의 『중경목록(衆經目錄)』[4백70부], 위나라 사람 만천의(萬天懿)의 번역[1부], 제나라 경릉(竟陵) 문선왕(文宣王) 소자량(蕭子良)의 번역[17부], 제나라 상시(常侍) 유힐(庾頡)의 번역[1부], 양나라 사람 목도현(木道賢)의 번역[1부], 양나라 무제(武帝)의 주해[『대품경(大品經) 50권], 양나라 사람 원담윤(袁曇允)의 찬술『[논초(論抄)』 1부], 양나라 간문제(簡文帝)의 찬술[『법집기(法集記)』 1부 2백권], 양나라 기실(記室) 우효경(虞孝敬)의 『내요(內要)』[1부], 수나라 사람 양천군수(洋川郡守) 담법지(曇法智)의 번역[1부].
이상은 고래로 역경학자(譯經學者)들입니다.
송나라 임천(臨川) 강왕(康王) 의경(義慶)의 찬술[『선험기(宣驗紀)』 1부, 『유명록(幽明錄)』 1부], 태원왕(太原王) 염(琰)의 찬술[『명상기(冥祥記)』 1부], 낭야왕(瑯琊王) 건(巾)의 찬술[『승사(僧史)』], 제나라 경릉(竟陵) 문선왕(文宣王)의 저술[『삼보기전(三寶記傳)』 1부], 제나라 저작(著作) 배자야(裴子野)의 찬술[『고승전(高僧傳)』], 회남(淮南) 유준(劉俊)의 찬술[『익부사기(益部寺記)』], 진나라 중서령(中書令) 치경흥(郗景興)의 찬술[『동산승전(東山僧傳)], 중서령(中書令) 육명하(陸明霞)의 찬술[『사문전(沙門傳)』], 치중(治中) 장효수(張孝秀)의 찬술[『여산승전(廬山僧傳)』], 태원왕(太原王) 연수(延秀)의 찬술[『감응전(感應傳)』], 오홍(吳興) 주군태(朱君台)의 찬술[『징응전(徵應傳)』], 진나라 중서시랑(中書侍郞) 우보(于寶)의 찬술[『수신록(搜神錄)』], 팽택령(彭澤令) 도원량(陶元亮)의 찬술[『수신록(搜神錄)』], 도사 도은거(陶隱居)의 저작[『발보리심예불문(發菩提心禮佛文)』], 도사 육수정(陸修靜)의 저작[『대사문기(對沙門記)』], 송나라 광록(光祿) 안연지(顔延之)의 저작[『정힐문(庭詰文)』], 제나라 은사(隱士) 주옹(周顒)의 찬술[『삼종일제론(三宗一諦論)』], 주나라 의동(儀同) 견란(甄鸞)의 찬술[『소도론(笑道論)』 1부], 수나라 성도(成都) 비장방(費長房)의 찬술[『삼보록(三寶錄)』].
이상은 예부터 박식한 군자와 안목 있는 왕공(王公)이 삼보를 존중하여 사문의 전기를 손수 찬술한 이들입니다.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같은 선현들은 모두 불경을 번역하거나 목록과 전기를 썼는데, 학문이 깊고 옛것에 밝아 내외의 전적에 정통한 학자들입니다.
신망이 도속(道俗) 가운데 백미(白眉)이고, 문사(文士) 가운데 으뜸이었으나, 모두들 삼보를 받들며 일승(一乘)을 연구하였습니다.
세상을 멀리하고 영화(榮華)를 마다한 채 훌륭한 자취만을 즐겨 따랐기에, 삿된 소견의 무리들조차 한마디 입도 뻥긋할 수 없었는데, 유독 한 사람만이 이를 기뻐하지 않고 신랄하게 비난하고 악독한 말로 더럽히면서, 스스로를 반딧불처럼 빛내고자 그 모기 날개를 펴고자 하나, 어찌 하루를 사는 버섯[朝菌]이 초하루와 그믐[晦朔]을 알기나 하겠습니까?
쓰르라미가 봄ㆍ가을을 모르듯이, 그 들여다 본 것만 믿고 대도(大道)를 업신여기는 것이, 참으로 귀를 씻어야 할진대, 어찌 미더울 수가 있겠습니까?
조정의 대관과 박학한 군자를 청하여 내외의 전적을 살피게 한다면, 이 삿된 소견을 내는 자에게 무고(誣告)의 죄가 있음이 밝혀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