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강 중세 영문학 Beowulf
제1강에서는 중세 영문학의 배경을 해설하고, Beowulf의 내용을 알아본다. 중세 영문학은 7세기말에서 1500년까지 걸쳐 있으며 고대영어 시기, 초기 중세영어 시기, 초서 시대, 15세기로 나누어진다.
Beowulf는 고대영어로 쓰인 대표적인 서사시(영웅시)로서, Anglo Saxon족의 영웅적인 기개를 담고 있다. 이 단원에서는 중세 영문학의 세부적 시기와 중요 작품을 정리하고, Beowulf의 대체적인 내용을 알아보는 데 주력한다.
주요용어:
* Old English Period: Norman Conquest 이전의 고대 영문학의 시기로서, 자음 위주의 고대영어로 쓰인 영웅시와 종교시가 있다.
* Early Middle English Period: Norman Conquest 이후의 중세 영문학의 시기로서, meter and rhyme으로 쓴 영시가 등장하고 romance 장르가 주류를 이룬다.
* Norman Conquest: 1066년 Norman족의 왕 William the Conqueror가 영국을 침입해서 지배한 사건으로 본격적인 중세의 시작으로 간주된다.
* Old English Epic: 자음 위주의 고대영어로 쓰인 서사시로서 alliteration and stress 기법을 바탕으로 한다. Beowulf가 대표적인 작품이다.
* Kenning: 고대영시에서 주로 사용된 비유법으로서, 특정 사물을 2개의 다른 단어로 우회적으로 표현한다. 대칭법(代稱法)으로 번역된다.
1. 중세 영문학의 4단계 시기 구분
2. 고대 영시의 특징
3. Norman Conquest 이후 영문학의 변화상
4. Chaucer 시대의 중요 3작가
5. Beowulf의 대체적인 스토리
6. Beowulf의 시형식: Old English; Alliteration 기법
1. 다음 중 고대영어 시기의 작품은 어느 것인가? 4
1. Piers Plowman
2.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3. "Sumer Is Icumen In"
4. Beowulf
2. 고대영시에서 sea를 the swan's path, the whale's road로 표현하는 수사법의 명칭은? 3
1. understatement
2. irony
3. kenning
4. alliteration
3. Beowulf 구절의 문맥에 들어갈 것은? 1
A thane of Hygelac, a good man among the Geats, heard in his homeland of ( )'s deeds: of mankind he was the strongest of might in the time of this life, noble and great.
1. Grendel
2. Hrothgar
3. Beowulf
4. Dragon
제2강 Geoffrey Chaucer
제2강에서는 영시의 아버지(the father of English poetry)라는 평가를 받는 Geoffrey Chaucer에 대해서 학습한다. 그의 문학적 발전의 단계를 살펴보고, 중세를 넘어서 근세로 향하는 그의 세계관도 알아본다. 작품 강독으로는 그의 대표작인 The Canterbury Tales의 "The General Prologue"의 앞부분을 다룬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인물과 다양한 형식을 이용한 이 작품의 전반적인 특성을 가늠해 본다.
주요용어
* the father of English poetry: 17세기의 John Dryden이 Geoffrey Chaucer를 칭송해서 붙인 표현으로서, 사실상 Chaucer에서 영시가 시작되었다는 의미이다.
* 3 estates of Middle Age: 중세까지 영국 사회를 구성해온 대표적인 3계층으로서, 귀족, 성직자, 노동자를 지칭한다.
* rising bourgeois: 위의 3계층 외에 새롭게 부상하는 중산층들로서, The Canterbury Tales에 나오는 5명의 guildsmen--잡화상, 목수, 직조공, 염색공, 가구상이 여기에 해당한다.
* frame story: The Canterbury Tales는 전체적인 틀(frame)이 있고, 그 속에 여러 개의 다양한 형식의 tale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렇게 불린다.
* Canterbury: 영국 동남부 Kent주에 있는 도시로서 이곳은 성인 Thomas Becket의 사당이 있어서 많은 이들이 순례를 가는 곳이다.
1. Chaucer의 문학적 위상
-중세 최대의 시인, 그러나 중세를 뛰어넘는 근세 지향적 인물
: rising bourgeois의 표현
: romance가 아닌 새로운 장르들
2. "The General Prologue"의 학습 내용
-(형식) frame story; estates satire
-(내용) 봄철 순례: Southwark→Canterbury.(cf. Thomas Becket)
인물 소개: Knight의 묘사부터 시작
1. Chaucer 시대의 전통적인 3 종류의 신분이 아닌 것은? 2
1. nobility
2. soldiers
3. clergy
4. workers
2. 다음 문장의 두 괄호에 들어갈 내용이 모두 맞은 것은? 1
Chaucer의 대표적인 이 작품은 ( )로 가는 순례자들의 이야기를 모은 것으로서, 이 장소로 가는 이유는 그곳에 성인 ( )의 사당이 있기 때문이다.
1. Canterbury -- Becket
2. Salisbury -- Becket
3. Canterbury -- Arthur
4. Salisbury -- Arthur
3. 다음 시구에 묘사된 달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2
When Zephyr also has, with his sweet breath, Quickened again, in every holt and heath, The tender shoots and buds, and the young sun Into the Ram one half his course has run.
1. March
2. April
3. May
4. June
제3강 르네상스기 영문학 Sir Philip Sidney
제3강에서는 르네상스기 영문학의 배경을 해설하고, Sir Philip Sidney의 작품을 강독한다. 1500~1660년간에 걸친 르네상스기 영문학은 16세기에는 소네트의 도입, 엘리자베스조 극문학의 발전이 주요 사항이며, 17세기 초에는 형이상학파와 궁정파라는 시적 유파가 지배한 것이 특징이다. Sidney의 작품 강독으로는 영문학 최초의 소네트 연작인 Astrophel and Stella의 몇 편을 읽어본다.
주요용어
* Renaissance: 유럽에서 그리스/로마 고전(인문학)의 재발견 운동으로서 시작되었으며, 영국에도 16세기에 도입되어 영향을 끼쳤다. 이 운동의 정신은 Humanism(인문주의)으로 불린다.
* Reformation: 교황 지배의 교회권위에서 해방되려는 종교개혁 운동으로, 영국에서는 Church of England의 확립이라는 특수한 형태로 발전되었다.
* Puritan Revolution: 청교파의 개혁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국왕파에 대한 의회파의 도전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Civil War, English Revolution, Puritan Interregnum도 이와 관련되는 용어이다.
* Metaphysical Poets: 지적이고 기발한 시적 발상을 주로 내세우는 유파로서, John Donne이 그 대표격이다.
* Cavalier Poets: 궁정인들이 압축적이고 세련된 연애시를 주로 쓴 유파로서, Ben Jonson이 그 대표격이다.
1. 르네상스기 영문학의 세부적 시기
2. Humanism과 Reformation의 의미
3. Puritan Revolution, Commonwealth Period의 의미
4. Metaphysical Poets, Cavalier Poets의 특성
5. sonnet 장르의 특성
6. Astrophel and Stella의 내용
1. 르네상스기 영문학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1. Norman Conquest
2. Humanism
3. Reformation
4. Civil War
2. Elizabeth 시대에 성행한 문학 장르로 보기 곤란한 것은? 1
1. epic
2. sonnet
3. song
4. drama
3. Astrophel and Stella의 내용에 비추어 괄호 속에 들어갈 것은? 4
With how sad steps, Oh ( ), thou climb'st the skies, How silently, and with how wan a face! What, may it be that even in heav'nly place That busy archer his sharp arrows tries?
1. Cupid
2. Sun
3. Star
4. Moon
제4강 William Shakespeare
제4강에서는 르네상스기의 대표적인 극작가, 시인인 William Shakespeare를 다룬다. Shakespeare는 극작가로서 비극, 희극, 역사극, romance극 등 매우 다양한 장르의 총 37편의 작품을 남겨서, 르네상스기를 뛰어넘어 영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로 꼽힌다. 시에 있어서도 Sonnets를 비롯해서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그의 소네트 3편을 강독하면서 그 특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주요용어
* Sonnet: 이탈리아의 Petrarch가 개발한 14행의 시로서, 연애시가 주류이다. 영국에는 Sir Thomas Wyatt가 도입하였다.
* Shakespearean sonnet form: 이탈리아 소네트의 각운구조를 보다 쉽게 영국화한 것으로, 3개의 4행구와 1개의 2행연구로 이루어져 있다. Shakespeare가 이 방식을 즐겨 썼기에 이 명칭이 붙여졌다.
* Four major tragedies: Shakespeare의 비극 중에서 특별히 명성이 높은 Hamlet, Othello, King Lear, Macbeth를 일컫는 명칭이다
* Dark comedy: Shakespeare의 희극 중에서 보다 심각한 내용을 지닌 All's Well That Ends Well, Measure for Measure 등을 일컫는 용어로서, problem comedy라고 하기도 한다.
* Romance comedy: Shakespeare의 후기극들로서 비현실적인 요소가 강하고, 화해와 관용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tragi-comedy를 일컫는 용어이다. The Tempest, The Winter's Tale이 그 예들이다.
1. Shakespeare 극의 다양한 장르들의 정리
2. 4대 비극의 정리
3. Sonnets의 구성; 중요 인물들 정리
4. Sonnets 강독 작품들의 구체적인 내용 정리
1. 다음 중 Shakespeare의 비극(tragedy)이 아닌 것은? 4
1. Othello
2. Romeo and Juliet
3. Macbeth
4. Venus and Adonis
2. 다음 소네트 구절에 많이 사용된 비유는? 2
Then can I grieve at grievances foregone, And heavily from woe to woe tell o'er The sad account of fore-bemoaned moan, Which I new pay as if not paid before.
1. law
2. commerce
3. astronomy
4. military
3. 다음 소네트 구절의 밑줄 친 this가 뜻하는 바는? 3
Even in the eyes of all posterity That wear this world out to the ending doom.
So, till the judgment that yourself arise, You live in this, and dwell in lovers' eyes.
1. this country
2. this king
3. this poem
4. this lover
제5강 John Donne
제5강에서는 17세기 초반의 대표적인 시인인 John Donne에 대해서 학습한다. 이 시기에는 형이상학파(Metaphysical poets)와 궁정파(Cavalier poets)라는 대조적인 두 유파가 있었는데, Donne은 형이상학파의 태두로 간주된다. 이들의 시는 기발한 발상, 이른바 기상(奇想, conceit)을 주로 사용하며, 종래와 다른 거친 리듬의 일상어를 즐겨 썼고, 논리적 내지는 논쟁적 구성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요용어
* Conceit: 형이상학파 시인들이 주로 사용한 기발하고 지적인 비유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Metaphysical wit, Metaphysical conceit로 불리기도 한다.
* Jack Donne: 젊은 시절 난봉꾼 기질이 있던 John Donne을 지칭하는 말로써, 시적 장르로는 연애시가 많이 쓰였던 시기이다.
* Doctor Donne: 영국 국교의 사제가 되고 아내가 죽은 이후, 종교적으로 엄숙해진 시기의 John Donne을 지칭하며, 설교문, 종교시가 이 시기의 작품들이다.
* Holy Sonnets: John Donne의 종교시(religous poem, divine poem) 연작으로서, 그의 초기의 연애시(love poem, secular poem)와 주제면에서 흔히 대조되지만 기법에서는 상통하는 바가 많다.
* Religion of Love: Donne의 초기 연애시에서 사랑을 극도로 찬미하여 거의 종교적 수준으로 표현한 것을 지칭하며, 후기의 종교시와 맥을 잇는 부분이다.
1. Metaphysical poets와 conceit의 의미를 정리하기
2. John Donne 생애의 이분법에 대한 정리
3. John Donne 시의 대표적인 두 장르에 대한 정리
4. 세 편의 강독작품에 나타난 Donne의 사랑에 대한 태도의 정리
5. 각 작품의 중요한 비유적 표현의 정리
1. 다음 중 John Donne의 작품이 맞는 것은? 2
1. Paradise Lost
2. Holy Sonnets
3. The Faerie Queene
4. The Merchant of Venice
2. 다음 시구에 사용된 비유법을 지칭하는 용어는? 4
Let sea-discoverers to new worlds have gone,
Let maps to others, worlds on worlds have shown:
Let us possess one world; each hath one, and is one.
1. Irony
2. Kenning
3. Paradox
4. Conceit
3. 다음 시구의 괄호에 들어갈 특징적인 단어는? 1
Our two souls therefore, which are one,
Though I must go, endure not yet
A breach, but an expansion,
Like gold to airy thinness beat.//
If they be two, they are two so
As stiff twin ( ) are two;
Thy soul, the fixed foot, makes no show
To move, but doth, if th' other do.
1. compasses
2. scissors
3. chopsticks
4. towers
제6강 왕정복고기 및 18세기 영문학 John Dryden
제6강에서는 1660년 왕정복고(Restoration)에서 18세기가 끝나가는 1785년 사이의 영문학, 즉 '왕정복고기 및 18세기 영문학'을 다룬다. 이 시기의 문학사조는 이성, 중용, 규칙 등이 강조되는 신고전주의(Neoclassicism)로 불리면서, 19세기 초반의 낭만주의(Romanticism)와 대조되는 경향이 강하다. 제6강 후반부에서는 신고전주의 영문학의 개척자에 해당하는 John Dryden의 대표적인 풍자시인 Absalom and Achitophel의 일부를 읽어보기로 한다.
주요용어
* Restoration: Cromwell을 위시한 의회파의 공화정 실험이 사실상 실패하고 1660년 국왕 Charles 2세를 다시 왕위로 불러 올린 사건으로 '왕정복고'로 번역된다.
* Neoclassicism: '신고전주의'는 그리스, 로마의 고전주의 정신을 되살린다는 의미로서, 고전 문학의 규칙성, 절제성을 신봉하고, 고전 시가 장르인 풍자시, 교훈시를 즐겨 썼다는 특색이 있다.
* Augustan Period: 18세기 초반의 영국을 로마 황제 Augustus의 시대처럼 정치적 안정과 문화적 융성이 있었던 시기로 보아서 붙인 명칭이다.
* Age of Sensibility: '감수성의 시대'란 18세기 중반에 들어 신고전주의의 이성, 규칙, 중용, 절제를 강조하던 문학적 분위기가 약화되고, 감수성, 개인적 재능을 강조하는 낭만주의의 전조가 나타난 시기를 말한다.
*Satire: '풍자시'는 신고전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장르로서, 개인, 인간 전체, 정치, 도덕 등에 있어서 그 결함을 비판하는 시가이다.
1. 왕정복고기 및 18세기 영문학의 세부적인 시기에 대해서 정리하기
2. Neoclassicism의 특징에 대해서 정리하기
3. the Age of Sensibility에 대해서 정리하기
4. John Dryden, Alexander Pope, Samuel Johnson 등
중요 시인의 특징에 대해서 정리하기
5. Absalom and Achitophel의 장르적 특징에 대해서 정리하기
6. Absalom and Achitophel의 대체적인 스토리에 대해서 정리하기
1. 다음 중 그 시기가 가장 빠른 것은? 4
1. Age of Sensibility
2. Romanticism
3. Augustan Period
4. Restoration Period
2. 다음 작품 중 문학사조상으로 가장 다른 하나는? 1
1. The Seasons
2. Absalom and Achitophel
3. The Rape of the Lock
4. The Vanity of Human Wishes
3. Absalom and Achtiophel의 다음 시구에 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 3
Then ⓐIsrael's monarch after heaven's own heart, His vigorous warmth did variously impart To ⓑwives and slaves; and, wide as his command, ⓒScattered his Maker's image through the land.
1. ⓐ는 영국왕 Charles 2세를 지칭한다.
2. ⓑ는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의도적인 병치(juxtaposition)이다.
3. ⓒ는 해당 인물에 대한 절대적인 찬사이다.
4. 이 시의 형식은 heroic couplet이다.
제7강 Samuel Johnson
제7강에서는 신고전주의의 마지막 대가인 Samuel Johnson에 대해서 다룬다. 그가 활동한 18세기 중반은 이미 감수성 문학으로 넘어가고 있지만, 그는 앞 시대의 Dryden, Pope에 이어지는 신고전주의 정신을 마지막으로 강력히 표출하고 있다. 다양한 장르의 문학활동을 했지만 시 장르에서는 풍자시가 그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The Vanity of Human Wishes의 세 군데를 뽑아 읽으며 그의 풍자시의 특징을 알아본다.
주요용어
* the Age of Johnson: 18세기 중반 이후 영문학을 the Age of Sensibility로 부르기도 하지만, 이 시대의 대표적인 문인인 Johnson의 이름을 붙여 이렇게 부르기도 한다.
* James Boswell: Johnson의 전기를 쓴 인물로서, 그가 쓴 방대한 Life of Samuel Johnson은 전기문학의 한 표본이 되고 있다.
*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Samuel Johnson이 수년간의 노력 끝에 거의 독자적인 힘으로 집필한 영어사전으로서, 150년 뒤 Oxford English Dictionary가 나올 때까지는 가장 권위 있는 사전으로 간주되었다.
* Horatian and Juvenalian Satire: Horace의 풍자시는 웃음과 조롱이 강하다면, Juvenal의 풍자시는 비극적 엄숙함과 장중함이 특징이다. Johnson은 후자의 방식을 따랐다.
* Christian Stoicism: The Vanity of Human Wishes에서 Johnson은 종교적 덕목은 Love, Faith와 함께 전통적인 금욕주의의 덕목인 Patience를 함께 강조하였기에 '기독교적 금욕주의(극기주의)'라는 평을 얻는다.
1. the Age of Sensibility와 the Age of Johnson을 비교하기
2. Samuel Johnson의 다양한 문학적 경력을 정리하기
3. The Vanity of Human Wishes의 전반적인 특성을 정리하기
4. The Vanity of Human Wishes의 강독 3부분의 특성을 정리하기
1. 다음 중 Samuel Johnson에 대한 언급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3
1. 신고전주의 최후의 대가
2. 다양한 문학적 경력의 소유자
3. 비극적 인식보다는 낙관론을 신봉한 작가
4. Christian Stoicism을 피력한 시인
2. The Vanity of Human Wishes의 다음 구절의 문맥에 맞추어 괄호를 채운다면? 1
The needy traveller, serene and gay,
Walks the wild heath, and sings his toil away.
Does envy seize thee? crush th' upbraiding joy,
Increase his ( ) and his peace destroy.
1. riches
2. weight
3. fame
4. knowledge
3. The Vanity of Human Wishes의 결론부에서 시인이 주장한 3가지 덕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
1. love
2. hope
3. faith
4. patience
제8강 낭만주의 시대 영문학 William Blake
제8강은 낭만주의 시대 영문학을 해설하고, 후반부에서는 William Blake의 두 작품을 읽는다. 1785년에서 1830년까지 짧은 기간이지만 낭만주의기는 영문학에서 폭발적인 에너지를 가진 시기로서, Blake, Wordsworth, Coleridge, Byron, Shelley, Keats와 같은 대가들이 탄생한 시기이다. 이 중에서 Blake는 낭만주의의 선두주자로서 전대와 다른 독특한 사고를 지니고 있는 혁명적 성격의 시인이다.
주요용어
* Romantic Movement: '낭만주의 운동'은 '가공적인, 공상적인'을 뜻하는 'romantic'한 요소를 추구하는 19세기 초의 시적 경향을 지칭한다.
* Lyrical Ballads: 『서정민요시집』은 Wordsworth와 Coleridge가 1798년 공동으로 발표한 시집으로서 낭만주의기의 시발점으로 꼽히기도 한다.
* French Revolution: 1789년에 발발한 프랑스 혁명은 전 유럽에 영향을 끼쳤다. 프랑스 혁명의 진보주의적 정신은 영국 낭만주의의 배경이 된다.
* Big Six: 낭만주의 시인 중에 6인의 대가들을 지칭하는 표현으로서, William Blake, William Wordsworth, S. T. Coleridge, George Gordon Byron, P. B. Shelley, John Keats가 그들이다.
* Poetic Spontaneity: 낭만시인들은 개인적 감정을 바탕으로 한 '시적 자발성'을 추구하였다. Wordsworth가 말한 시의 정의 'spontaneous overflow of powerful feelings'에서 이것이 잘 나타난다.
1. 낭만주의기의 시기와 형성배경을 정리하기
2. 낭만시의 3유파에 대해서 정리하기
3. 낭만시의 여러 특징에 대해서 정리하기
4. 낭만주의 6대가(Big Six)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하기
5. Blake 시의 두 세계('순수', '경험')에 대해서 정리하기
6. Blake의 작품 "The Tyger," "The Chimney Sweeper"의
특성에 대해서 정리하기
1. 영국 낭만주의에서 강조된 것으로 보기 힘든 것은? 1
1. the concept of poet as a craftsman
2. spontaneous overflow of powerful feelings
3. sympathetic exchange between nature and humanity
4. the quest of the supernaturalism
2. 영국 낭만주의에 관한 진술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 3
1. 길게 잡아 1785년에서 1830년 사이의 현상이다.
2. 프랑스 혁명의 진보주의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3. Wordsworth 등 대다수가 진보주의를 끝까지 견지했다.
4. 호반파, 런던내기파, 악마파 등의 유파로 나눌 수 있다.
3. "The Tyger"의 대표적인 어구로서 괄호 속에 들어갈 것은? 3
What immortal hand or eye Dare frame thy ( )?
1. fearful disparity
2. elegant disparity
3. fearful symmetry
4. elegant symmetry
제9강 William Wordsworth/George Gordon, Lord Byron
제9강에서는 낭만주의 시인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William Wordsworth를 먼저 다룬다. 그가 즐겨 사용한 장르인 자연시 2편을 통해서 낭만주의 시가 과거 신고전주의시와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알아본다. 이어서 다루는 Byron은 같은 낭만주의의 범주에 있으면서도 Wordsworth와는 아주 다른 성격을 보인다. 그는 기존 질서에 항거하는 인물, 즉 Byronic Hero를 강조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두 편의 강독 작품을 통해서 이러한 면모를 일부나마 알아보도록 한다.
주요용어
* Lake District: 잉글랜드 서북부의 호수가 많은 지역으로 Wordsworth의 출생지이며, 자연과 인간의 관계라는 이 시인의 중요한 주제를 낳게 한 배경이 된다.
* Preface to Lyrical Ballads: Wordsworth와 Coleridge가 공동으로 집필한 『서정민요시집』에 실린 「서문」(Wordsworth의 집필)은 낭만시의 소재와 형식 등을 밝힌 중요한 자료로서 '낭만주의 시의 문학적 선언서'로 간주된다.
* the Great Decade: Wordsworth의 문학적 활동은 50여년에 이르지만, 특별히 활동이 왕성했던 1798년에서 1807년까지를 '위대한 십년'으로 부른다.
* Byronic Hero: Byron 시의 주인공은 끝없는 열정을 지니고 사회에 항거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어서 특별히 '바이런적 주인공'으로 불리며, 이후 다른 작가의 유사한 인물도 이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 Satanic School: Byron의 작품들은 초인적이고 악마적인 성격의 인물들을 많이 그리고 있어서, 이 시인은 당대에 '악마파'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1. Wordsworth의 문학론 중에서 중요 사항 4가지를 정리하기
2. Wordsworth의 중요한 중편 시편들의 제목을 정리하기
3. 강독한 두 편의 Wordsworth 시의 내용을 정리하기
4. Byronic Hero, Byronism의 의미를 정리하기
5. 강독한 두 편의 Byron 시의 내용을 정리하기
1. "The Solitary Reaper"의 내용에 비추어서 밑줄 친 단어가 잘못 쓰인 것은? 4
Behold her, single in the field,
Yon solitary Higland Lass! ...
Alone she cuts and binds the grain,
And sings a pleasant strain.
1. single
2. solitary
3. Alone
4. pleasant
2. "She dwelt among the untrodden ways"의 주인공을 지칭하는 어구로 보기 힘든 것은? 2
A Maid whom there were many to praise
And not a few to love.
A violet by a mossy stone
Half hidden from the eye..
Fair as a star, when only one
Is shining in the sky.
She lived unknown, and few could know
When Lucy ceased to be.
3. 다음 중 George Gordon, Lord Byron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3
1. Byronic Hero
2. Childe Harold's Pilgrimage
3. Moralist and Patriot
4. Satanic School
제10강 Percy Bysshe Shelley, John Keats
제10강에서는 두 명의 낭만주의 시인 Percy Bysshe Shelley와 John Keats에 대해서 다룬다. Shelley는 낭만시인 가운데 가장 혁명적인 성격의 소유자로서 이러한 정신은이 단원에서 읽을 "Ode to the West Wind"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Keats는 상대적으로 온건하고 건강한 낭만주의 정신의 소유자이다. 그는 상상력과 현실의 사이에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기 보다는 둘 사이의 통합을 추구했다. 그는 25세에 요절했지만 다작과 대작을 남긴 대시인의 반열에 들어 있다.
주요용어
* William Godwin (1756~1836): Shelley가 영향을 받은 급진적 사회철학자로서, 그를 통해 Shelley는 사회개혁에 의한 유토피아적 미래의 비전을 품게 된다.
* Mary Shelley (1797~1851): Shelley의 두 번째 부인으로서, William Godwin과 여권론자 Mary Wollstonecraft의 딸이다. Frankenstein의 저자로서도 유명하다.
* Platonic/Skeptical Idealist: 초기의 Shelley는 정치적 혁명을 과신한 Platonic Idealist(순수한 이상주의자)였다면, 후일 보다 완화되어 도덕, 상상력, 사랑의 힘도 소중히 여긴 Skeptical Idealist(회의적 이상주의자)로 변모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 the Great Odes Keats는 특정 사물이나 관념을 찬미하는 송가(Ode) 형식에 능하였으며 그의 대표작으로 간주될 만한 6편의 송가들은 the Great Odes로 불린다.
* Non-egotistic Poet Keats는 이념적 편향성이나 자기주장이 강한 시인들과 달리, 통합성과 건강한 상상력을 추구하였기에 가장 '비(非)-자기중심적 시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1. Shelley의 사고방식과 그에게 영향을 준 인물들을 정리하기
2. Shelley의 중요 작품들의 제목을 정리하기
3. Shelley의 "Ode to the West Wind"의 중요 구절들을 정리하기
4. Keats의 생애와 문학적 성격을 정리하기
5. Keats의 중요 작품들의 제목을 정리하기
6. Keats의 "Ode to a Nightingale"의 중요 구절들을 정리하기
1. Percy Bysshe Shelley와 사상적으로 유사성이 가장 없는 인물은? 1
1. John Keats
2. Lord Byron
3. William Godwin
4. Mary Shelley
2. "Ode to the West Wind"의 밑줄 친 어구 가운데 지칭하는 바가 다른 하나는? 2
Be thou, Spirit fierce,
My spirit! Be thou me, impetuous one! ...
Be through my lips to unawakened earth
The trumpet of a prophecy! O Wind,
If Winter comes, can Spring be far behind?
1. Sprit fierce
2. unawakened earth
3. The trumpet of a prophecy
4. Wind
3. Keats의 다음 시구에서 밑줄 친 단어가 지칭하는 바는? 3
My heart aches, and a drowsy numbness pains
My sense, as though of hemlock I had drunk, ...
'Tis not through envy of thy happy lot,
But being too happin in thine happiness.
1. my heart's
2. my sense's
3. nightingale's
4. Grecian urn's
제11강 빅토리아 시대 영문학 Alfred, Lord Tennyson
제11강에서는 빅토리아 시대 영문학의 배경에 대해서 주로 다루고, 후반부에는 이 시대의 대표적인 시인인 Tennyson에 대해서 공부한다. 빅토리아 여왕이 지배한 1830년에서 1901년까지의 기간은 산업화와 진화론이라는 큰 줄기가 사회 전체와 문화를 지배했다. Tennyson의 "Ulysses"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는 자세를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주요용어
* the First Reform Bill: 1832년에 있었던 제1차 선거법 개정안은 산업화로 인해 증대된 중산층의 영향을 반영한 것이었으며, 이후 중산층과 노동자 중심의 사회적 변화를 선도하는 사건이었다.
* Industrial Revolution: 18세기에 시작되어 19세기 중반에 절정에 이른 산업혁명은 농업에서 제조업 중심으로의 이동만이 아니라 이에 따른 사회계층, 제도의 혁신적인 변화를 야기시켰다.
* Theory of Evolution: 1858년 Charles Darwin이 『종의 기원』(The Origin of Species)을 출판하면서 뚜렷해진 진화론은 종래의 종교적 믿음과 갈등을 일으키며 빅토리아 시대의 정신적 변화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 Oxford Movement: 빅토리아 시대의 과학과 종교의 갈등은 종교적 각성의 운동도 일으켰다. 옥스퍼드 운동은 1833년 John Henry Newman 등이 영국국교회의 권위 회복을 강조한 운동이었다. Newman은 이후 Catholic으로 개종한다.
* Fin de siecle '세기말'(end of the century)을 뜻하는 프랑스어로서, 1890년대의 회의주의, 염세주의, 향락주의적 태도를 말한다. art for art's sake(예술지상주의), aesthetic movement(심미주의[유미주의] 운동), Decadence(퇴폐파) 등이 이것과 관련된다.
1. 빅토리아 시대를 3기로 나누어서 정리하기
2. 빅토리아 시대를 나타내는 중요어구들을 정리하기
3. 빅토리아 시대의 중요 시인, 소설가, 평론가들을 정리하기
4. Tennyson의 중요 작품들을 시기별로 정리하기
5. Tennyson의 "Ulysses"의 집필 배경과 작중인물들에 대해서
정리하기
1. Victoria 시대를 나타내는 Key Words로 가장 적합한 것은? 4
The Age of Energy; The Age of Invention
Reform Bill; Condition of England Question
Utilitarianism; Oxford Movement
Industrial Revolution; Theory of Evolution
2. Victoria 시대의 저술이 아닌 것은? 4
In Memoriam
Hard Times
Past and Present
Heart of Darkness
3. "Ulysses"의 다음 구절은 주인공이 구체적으로 어떤 행위를 하겠다는 의미인가? 3
... vile it were ... to store and hoard myself,
And this gray spirit yearning in desire
To follow knowledge like a sinking star,
Beyond the utmost bound of human thought.
to make mild a rugged people
to travel into the deepest forest
to sail beyond the western horizon
to seek philosophical truth till death
제12강 Gerard Manley Hopkins Victorian Prose
12강에서는 먼저 Victoria시대 후기 시인 G.M. Hopkins와 그의 작품 "The Windhover"를 다루고, 이어서 Victoria시대의 다양한 산문(평론)의 한 예로서 J.S. Mill의 Autobiography의 한 부분을 읽는다. Hopkins는 주제면에서는 '종교'라는 전통적인 요소를 다루지만 그 형식에서는 매우 현대적인 요소가 강한 시인이다. Mill은 논리학, 철학, 경제학, 정치학 등 다양한 학문의 저술을 남긴 인물인데, 여기서 강독할 그의 자서전의 일부는 정신적 위기에 문학이 어떻게 치유의 효과를 주었는지 밝히는 내용이다.
주요용어
* Inscape: inner scape에서 Hopkins가 조어한 단어로서, 개별 사물의 내적 pattern을 뜻하며, 그의 자연시는 이것들을 발견하는 데 주력했다.
* Sprung Rhythm: 도약 리듬. Hopkins가 개발한 운율방식으로 강세 사이에 약음절이 여러 개 들어갈 수 있다. 약음이 계속되다가 강음이 톡톡 튀어오른다고 해서 이렇게 이름이 붙여졌다.
* Terrible Sonnets: Hopkins 말기의 정신적, 신앙적 갈등상태를 격렬히 토로한 시편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것은 영적 수련의 마지막 단계로 해석된다.
* Victorian Prophets: Victoria시대는 다양한 분야의 많은 산문작가(평론가)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시대의 문제점을 예언가적 차원에서 다루었다고 해서 '빅토리아조 예언가'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 Utilitarianism: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쾌락) 추구'를 모토로 삼는 철학적 사고이다. 전통적인 Bentham류의 공리주의는 기계적이고 육체적인 데 비해서 J.S. Mill의 공리주의는 인간의 도덕적, 정서적 요구를 강조하였다.
1. Hopkins의 생애와 문학적 특색을 간단히 정리하기.
2. Hopkins의 "The Windhover"의 시적 흐름에 대해서 정리하기.
3. Victoria 시대 산문작가들의 주요 저서명을 정리하기.
4. Mill의 Autobiography 강독 부분의 핵심적인 내용을 정리하기.
1. 다음 중 J.M. Hopkins와 관련이 없는 항목은? 2
1. inscape
2. utilitarianism
3. terrible sonnets
4. sprung rhythm
2. Hopkins의 "The Windhover"의 다음 구절에서 밑줄 친 here와 thee를 모두 맞게 나타낸 것은? 1
Brute beauty and valour and act, oh, air, pride, plume, here Buckle! AND the fire that breaks from thee then, a billion Times told lovelier, more dangerous, O my chevalier!
1. falcon -- Christ
2. falcon -- Arthur
3. skylark -- Christ
4. skylark -- Arthur
3. Mill의 다음 글에서 밑줄 친 어구는 누구의 시를 지칭하는가? 2
In the first place, these poems addressed themselves powerfully to one of the strongest of my pleasurable susceptibilities, the love of rural objects and natural scenery; to which I had been indebted not only for much of the pleasure of my life, but quite recently for relief from one of my longest relapses into depression.
1. William Blake
2. William Wordsworth
3. John Keats
4. Alfred Tennyson
제13강 20세기 이후 영문학 Thomas Hardy
제13강에서부터 '20세기 이후 영문학'을 다룬다. 강의 전반부에서는 20세기 이후 영문학의 전반적인 배경을 해설하고, 후반부에서는 Thomas Hardy의 시 "Channel Firing"을 읽는다. 20세기 초반은 불연속성의 시대, 불확실성의 시대로서, 문학 분야에서도 이런 시대정신을 반영하며 혁신성, 난해성을 특징으로 하는 Modernism의 전성기였다. Thomas Hardy는 소설가로서는 19세기 작가이지만 시인으로서는 현대적인 감성과 언어를 사용한 20세기 시인으로 간주된다.
주요용어
* Modernism: 전통의 거부를 핵심으로 하는 20세기 초반의 사조로서 적절한 번역어가 없어 '모더니즘'으로 불린다. 문학에서는 혁신성과 난해성이 그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 Imagism: 19세기 시의 느슨한 감정과 느슨한 표현 대신에 단단하고 정확한 이미저리와 언어를 목표로 삼았던 시운동으로서 '사상(寫像)주의'로 번역되기도 한다.
* Stream-of-Consciousness Technique: 인간의 의식은 표면에 나타난 이성적 사고 외에 내면적인 복합적인 사고가 있다는 심리학적 개념에 바탕을 둔 소설 기법으로서 시간적인 순서와 외적/내적 사고의 경계를 무시하는 서술방식이다.
* New Criticism: '신비평'은 20세기 초반에 등장한 비평적 방식으로서, 과거의 전기적, 인상주의적 비평을 거부하고, 작품 내부의 구조분석과 비유적 표현 등에 집중하는 과학화된 비평방식을 일컫는다.
* Immanent Will: Thomas Hardy의 염세주의적(pessimistic) 사고와 관련되는 개념이다. 인간의 삶을 지배하는 것은 신적인 의지가 아니고, 인간에 대해 냉엄하고 우연적인 힘을 행사하는 '내재적 의지'라고 보았다.
1. Modernism 문학의 시대적 배경에 대해서 정리하기
2. 현대시의 형성의 여러 요소에 대해서 정리하기
3. 현대소설의 특성과 주요 작가들에 대해서 정리하기
4. 현대희곡, 현대비평의 대표적 작가들에 대해서 정리하기
5. Thomas Hardy의 문학적 특성에 대해서 정리하기
6. "Channel Firing"의 대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정리하기
1. 20세기 영미시의 형성 과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
1. Imagist Movement
2. Discovery of Hopkins's poems
3. Rediscovery of Metaphysical Poetry
4. Rejection of Irony and Pun
2. 작가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서 부적절한 것은? 3
1. Virginia Woolf -- Stream-of-Consciousness Technique
2. T. E. Hulme -- Imagist Movement
3. I. A. Richards -- Biographical Criticism
4. Sean O'Casey -- Irish Dramatist
3. 다음 시구의 'we'는 어떤 존재인가? 1
That night your great guns, unawares,
Shook all our coffins as we lay,
And broke the chancel window-squares,
We thought it was the Judgment-day ...
1. dead men in the graves
2. funeral undertakers
3. all humankind
4. clergymen
제14강 William Butler Yeats, D. H. Lawrence
제14강에서는 W.B. Yeats와 D.H. Lawrence를 다룬다. Yeats는 Ireland 출신의 시인으로 50여년 간의 시작 활동을 통해 현대 영미시의 발전과정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시인이다. 특히, 후반기의 성숙한 상징주의적 시편들은 인류문명의 향방에 관한 거대한 논의로 확대되는 걸작들이다. Lawrence는 소설가로 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시인으로서도 상당한 활동을 하였다. 그의 시는 산업시대에 말살되고 있는 인간의 원초적 생명력에 대한 탐구를 큰 영역으로 삼고 있다.
주요용어
* Irish Literary Revival: Yeats가 Lady Gregory 등과 주도한 '아일랜드 문예부흥운동'은 Irish National Theatre를 중심으로 민족주의에 바탕을 둔 극작 운동이 기반이었다.
* Byzantium: Yeats가 현실세계의 상극을 초월한 예술적 이상향으로서 생각한 Byzantium은 6세기 동로마제국의 수도로서 이후 Constantinople, Istanbul로 이름이 바뀌었다.
* Gyre and Great Wheel: Yeats는 상극적인 두 요소의 결합의 정도를 나타내는 상징으로서 맞물린 원추(gyre)를 제시하였다. 달의 28상의 운행을 나타내는 바퀴(wheel)도 같은 범주에서 제시된 상징이다.
* Primitivism: Lawrence는 현대 산업주의 문명의 병폐를 강조하며, 인간의 숨겨진 내적 생명력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원시주의'라고 할 만하다.
* Lady Chatterley's Lover: 성적 묘사의 솔직성 때문에 판매금지가 된 소설로 이 때문에 Lawrence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많으나, 사실은 이 작가는 현대사회의 진정한 인간관계를 추구한 moralist로 평가될 수 있다.
1. Yeats의 시적 발전단계를 5단계로 정리하기
2. Yeats의 각 단계별 대표작을 정리하기
3. "The Wild Swans at Coole"의 소재 및 주제를 정리하기
4. "Sailing to Byzantium"에 암시된 두 세계를 비교해서 정리하기
5. Lawrence의 주요 소설들의 제목을 정리하기
6. "Piano"의 소재 및 주제를 정리하기
1. 다음 Yeats 시의 소재·배경과 관련하여 두 괄호를 채운다면? 3
Upon the brimming water among the stones
Are nine and fifty ( ).//
The nineteenth ( ) has come upon me
Since I first made my count;
1. geese - Autumn
2. geese - Summer
3. swans - Autumn
4. swans - Summer
2. "Sailing to Byzantium"의 어구 중에서 Byzantium 세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
1. the artifice of eternity
2. a tattered coat upon a stick
3. Grecian goldsmiths
4. the gold mosaic of a wall
3. Lawrence의 "Piano"의 흐름에 맞추어 괄호를 채운다면? 2
Softly, in the dusk, a woman is singing to me;
Taking me back down the vista of years, till I see
A child sitting under the piano, ...
And pressing the small, poised feet of a ( ) who smiles as she sings.
1. nun
2. mother
3. girl
4. daughter
제15강 T. S. Eliot
마지막 15강에서는 20세기 초반 영문학의 대가인 T. S. Eliot을 다룬다. 20세기 초반 영문학을 the Age of Eliot으로 일컬을 만큼 그는 현대시와 현대 비평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전통, 권위, 지성을 강조하며 종교, 철학, 역사, 문화 전반에 걸쳐서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강독할 작품인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은 연결어구가 생략된 단편적인 수법을 이용하고 현대인의 정신적 죽음을 다루는 등 현대시의 기법적, 주제적 요소를 갖춘 초기의 대표작이다.
주요용어
* the Age of Eliot: 20세기 초반을 '엘리엇의 시대'라고 일컬을 만큼 문학과 문화 분야에서 Eliot의 기여는 특출했다.
* Fragmentary Method: '단편적(斷片的) 기법'이란 연결어구를 생략하고 이미지의 병치로 진행되는 Eliot 등 현대시인들의 서술방식으로서, Montage 혹은 Collage 기법으로 불리기도 한다.
* Impersonal Poetry: 종래 낭만주의 시론에서 감정과 주관을 강조했지만, Eliot는 감정과 주관성을 배제하고 지성, 역사의식 등을 강조한 시, 즉 '몰개성 시'를 주창하였다.
* Objective Correlative: '몰개성 시론'의 구체적인 한 방편으로서, 느슨하고 감상적인 표현 대신에 지적이고 객관적인 정서를 환기시키는 표현, 즉 '객관적 상관물'을 내세울 것을 Eliot은 주장하였다.
* Dissociation of Sensibility: Eliot은 17세기 Metaphysical Poetry에서 지성과 감성이 융합되어 있었다고 전제하고, 그 이후의 시는 지성 혹은 감정의 한 쪽으로 편향되었다는 이른바 '감수성 분열론'을 주장하였다.
1. Eliot의 현대적 특성을 주제와 기법면에서 정리해 보시오.
2. Eliot의 주요 작품들을 열거해 보시오.
3.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의 전체 스토리를 정리해 보시오.
4. "The Love Song ..."에 사용된 현대적 기법들을 정리해 보시오.
1.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의 밑줄 친 구절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4
Let us go then, you and I,
When the evening is spread out against the sky
Like a patient etherized upon a table;
1. fragmentary method
2. stream-of-consciousness
3. anticlimax
4. objective correlative
2.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에서 화자의 목적지를 상상하는 다음 구절에서 괄호 속에 들어갈 것은? 1
Let us go and make our visit.//
In the room the ( ) come and go
Talking of Michelangelo.
1. women
2. artists
3. merchants
4. princes
3.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에서 화자가 진심으로 행하는 발언으로 보기 곤란한 것은? (2)
1. I shall wear the bottoms of my trousers rolled.
2. I am Lazarus, come from the dead.
3. I shall wear white flannel trousers, and walk upon the beach.
4. I grow old ... I grow old ...
기말시험범위
시대해설 총6시대
1. 중세
2. 르네상스기
3. 왕정복고기 및 18세기
4. 낭만주의
5. 빅토리아
6. 20세기 이후
시대별 2문제 총 12문제
작가 19명
작가별 1-2문제: 총 23문제
출석대체시험범위로 공지된 작품은 기말시험범위에서 제외
기말시험대비
시대해설, 작가해설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를 선별
작품 강독 중에서도 주제, 기법 등 가장 특징적인 요소를 선별
교재와 말티미디어 강의의 연습문제를 통해 유형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