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교육자료실 > 예산교육사작업 | ||||||||||||||||||||||
예산교육사작업 | ||||||||||||||||||||||
|
------------------------------------
효 창 초 등 학 교
?? |
주 소:?우 340-920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효교리65 |
?? |
1971.2.1덕산초등학교 효창분교장으로(2개교실신축) |
?? |
1972.3.1효창국민학교로 승격 |
?? |
1996.3.1효창초등학교로 개칭, 1999.9.1 폐교 |
?학교 전경: 본관은 2층 건물로 운동장보다 약간 높은 곳에 자리 잡고 있어 깔끔하고 아담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1999. 3) |
작사 이은문 작곡 안재성
|
?교기 모습: 가운데 무궁화 꽃잎 위에 ‘효창’이라 새김은 나라를 위해 큰 일꾼이 될 것을 상징하고, 두 줄기 가지의 푸른 잎은 수양버들처럼 푸른 꿈을 갖고 무럭무럭 자라날 것을 의미한다.
|
? 효창 송은 서편 운동장 한가운데에 자리 잡고 있으며, 효창인의 가슴속에 깊이 새겨져 옳고 굳세게 자라서 이 나라의 큰 인물이 될 것을 상징합니다. |
? 봄에 교정의 울타리에 노랗게 피는 개나리꽃은 효창인의 밝고 고운 심성을 나타내며, 구김살 없이 활기차게 자라나는 예덕인을 상징합니다. |
1 |
학교 현황 (1999.9.1 현재) |
가. 교직원 현황
구분 |
교장 |
교감 |
보직교사 |
교사 |
특수교사 |
보건교사 |
행정실장 |
영양사 |
기능직 |
조리사 |
조리보조 |
기타 |
계 |
인원 |
1 |
1 |
|
5 |
? |
|
|
|
1 |
|
? |
? |
8 |
나. 학생 현황
구분 |
재학생 |
졸업생 |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5학년 |
6학년 |
계 |
졸업 횟수 |
총 졸업생 수 | |
인원 |
2 |
4 |
11 |
9 |
11 |
10 |
47 |
26 |
1273 |
다. 교지 및 건물 시설 현황
교지(㎡) |
건물 시설 | ||||||||||
건물부지 |
체육장 |
기타 |
총 면적 |
관리실 |
일반교실 |
특별교실 |
도서실 |
급식실 |
체육관 |
강당 |
기타 |
11,333.9 |
3,465 |
90.42 |
4,889.32 |
1 |
5 |
0.5 |
|
2 |
|
? |
4 |
2 |
효창초등교육 (1999.9.1 ) |
가. 교육 목표
1. 건전한 정신과 강인한 체력을 기르는 어린이(건강인) 2. 나라를 사랑하며 예절바른 어린이(도덕인) 3. 스스로 생각하며 공부하는 어린이(자주인) 4. 자세히 살펴보고 꾸준히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5. 주변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취미나 재능을 기르는 어린이(정서인) |
나. 특수 시책
|
3 |
학교 역사 |
가. 설립 이야기
효창초등학교는 1971년 2월 1일 덕산초등학교 효창분교실로 발족하여 72년 3월1일에 효창분교장 설립을 하였고 73년 3월1일에 효창국민학교로 승격하여 열악한 환경에서 공부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당시 효창 초등학교의 초대교장 이은기씨에서 8대교장 이동원씨에 이르기까지 16년 6개월 동안 지역사회의 든든한 문화센터로서의 역할도 다하였다. 주민들의 요구와 노력으로 깨끗하고 아담한 효창 초등학교로 만들어 주변의 찬사를 받기도 했다.
지역 주민들은 자녀들의 학교를 만든다는 일념으로 아끼던 논과 밭, 산 등을 제공하였고 특히 1970년8월13일에 오대영씨 박연화씨는 초창기의 학교부지를 증여하여 개교하게 되었다. 당시 노영식, 강태철, 조흥석, 강태후씨 등이 초기 학교 설립과 발전에 많은 노력을 하였다 한다.
나. 유물과 유적
|
■ 등잔 | |
|
도자 등잔으로 구한말 때 민가에서 사용되던 것을 기증받은 것이다. 아래 병에 석유를 넣고 심지를 꽂은 뚜껑을 덮어 불을 붙여 전등불이 들어오기 전 어두운 방안을 밝히는데 사용하였다.
|
● |
학교 연표 |
● |
학교 연표 |
연대 구분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
연 혁 |
? 1971.02.01:덕산국민학교효창분교장 2교실신축 ? 1944.04.01: ? 1949.09.30: ? 1949.11.01: ? 1991.09.1 : 덕산초에 통합 | |||||||||||
학급 편성 |
11 |
11 |
11 |
9 |
9 |
8 |
7 |
6 |
6 |
6 | ||
학 생 수 |
358 |
378 |
345 |
334 |
310 |
276 |
238 |
204 |
184 |
168 | ||
졸업생 수 |
38 |
69 |
58 |
62 |
57 |
59 |
56 |
41 |
41 |
36 | ||
교 장 |
? 1981. 3.01: 제4대 엄익성 ? 1983. 3.01: 제5대 이권직 ? 1990. 9. 1: 제6대 남맹우 ? 1992. 12.15 제7대 김정기 | |||||||||||
교 감 |
? 1981. 9.5: 박성규 ? 1984. 3.1 : 김종성 ? 1985. 3.1 : 윤병억 ? 1985. 9.1 : 서정의 ? 1987. 3.1 : 이석무 ? 1988. 3.1 : 이태신 ? 1990. 3.1 : 한상춘 | |||||||||||
교 사 |
? 1981: 김국회, 윤석영, 김영옥, ? 1982: 이재순, 강태묵, 이익희 ? 1983: 김성철 ? 1984: 신만균, 이계식, 황숙희, 김연수 ? 1985: 추풍숙, 한숙규, 이재순, 양희정 ? 1986: 이은원, 김재석, 조영희 ? 1987: 이선희 ? 1988: 이명숙, 양경란 ? 1989: 신행균, 김영환, 신홍철 ? 1990: 조향미, 이인순, 장순례, 서정희, 오효순 | |||||||||||
행정 및 기능직 |
? 1983: 이미숙(보조수) ? 1985: 최영숙(보조수) ? 1986: 이홍상,함규호 ? 1990: 임원빈 | |||||||||||
동창회 장 |
|
|
|
→ |
→ |
→ |
→ |
|
→ |
→ | ||
학부모 단 체 |
학부모회장 |
조성욱 |
→ |
김대해 |
강태웅 |
조성욱 |
윤현호 |
김동욱 |
→ |
조상권 |
→ | |
어머니회장 |
|
|
|
|
|
|
|
|
|
| ||
학교운영위원장 |
|
|
|
|
|
|
|
|
|
| ||
교육 활동 및 실적 |
학생 |
? | ||||||||||
학교 |
? | |||||||||||
장학금 제도 |
? 1980-1981 장기진씨의 기증으로 졸업생 1명에게 장학금 지급(100,000원) | |||||||||||
기 타 |
|
● |
학교 연표 |
연대 구분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 ||
연 혁 |
| |||||||||||
학급 편성 |
6 |
6 |
6 |
5 |
5 |
5 |
5 |
5 |
4 |
| ||
학 생 수 |
149 |
128 |
122 |
93 |
80 |
58 |
57 |
7 |
6 |
| ||
졸업생 수 |
35 |
18 |
32 |
20 |
26 |
12 |
10 |
10 |
|
| ||
교 장 |
? ? 1992. 12.15 제7대 김정기 ? 1995. 9.1: 제8대 이동원 | |||||||||||
교 감 |
? 1991. 9.01: 김영대 ? 1994. 3. 1 : 조병태 ? 1995. 9.1 : 오권세 | |||||||||||
교 사 |
? 1992: 고하영, 박붕양, 이정희, 윤희정, 안태원 ? 1993: 신만균, 박세영, 강정임 ? 1994: 박준양 ? 1995: 신행균, 김경선 ? 1996: 장기화, 임명희 ? 1997: 임현수, 양석환 ? 1999: 이무용, 구성현 | |||||||||||
행정 및 기능직 |
? 1998: 이명숙 ? 1999: 홍운표 | |||||||||||
동창회 장 |
|
|
|
→ |
→ |
→ |
→ |
|
→ |
→ | ||
학부모 단 체 |
학부모회장 |
조상권 |
박성덕 |
→ |
신성노 |
→ |
|
|
|
|
| |
어머니회장 |
강우식 |
임이순 |
→ |
신광순 |
김기숙 |
|
|
|
|
| ||
학교운영위원장 |
|
|
|
|
|
|
|
|
|
| ||
교육 활동 및 실적 |
학생 |
? | ||||||||||
학교 |
? | |||||||||||
장학금 제도 |
? | |||||||||||
기 타 |
|
※작성 요령
업무를 담당하신 분은 기관의 역사를 다시 정리한다 생각하시고 역사의식과 책임감을 갖고 성실히 조사해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 제4분과 (학교별 약사) 집필 위원 일동 드림 -
모든 글씨 크기는 예시 자료에 맞게 작성한다. 표는 설정된 속성에 맞게 작성함을 원칙으로 한다. 그리고 아래 9번 항목 이외에는 쪽을 늘려서는 안 되고 한글과 아라비아 숫자로 기재한다.
1. 기본 정보: 예시와 같이 표 안에 작성되도록 한다. 홈페이지 주소는 하이퍼링크가 되지 않게 한다.
2. 교훈(교육지표): 교훈을 기록한다. (없는 학교는 교육지표를 기재한다.)
아래에 현재의 학교의 모습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사진을 표에 삽입한다. 사진의 가로 크기는 예시와 같게 한다. (세로는 쪽을 벗어나지 않는 한 조정 가능) 사진은 800×600 이상의 선명한 것으로 한다. 오른쪽 공란은 예시와 같이 간단한 설명과 함께 연월을 나타낸다.
3. 교가: 좀 힘드시겠지만 작곡 프로그램으로 작업하여 선명한 그림으로 변환하여 표에 삽입한다. 가사는 1-2절 정도 나타낸다. (흑백 그림 원칙)
4. 교기: 펼쳐진 교기 사진과 함께 교기에 대한 설명을 오른쪽 공란에 덧붙인다.
5. 교목과 교화: 교목과 교화를 선명한 사진(800×600 이상)을 표에 삽입하고, 예시와 같이 간단한 설명을 덧붙인다.
6. 학교 현황: 양식에 맞게 교직원 현황, 학생 현황, 교지 및 건물 시설 현황을 기재한다. 건물시설은 기관 실정에 맞게 항목을 일부 변경할 수 있다. (되도록 셀의 수는 변경 불가)
7. 00 학교 교육: 쪽을 넘기지 않는 분량으로 현재 학교 교육 목표와 특수 시책을 기재한다.
8. 학교 역사: 가, 나, 다 항목은 필요에 따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1-2쪽 이내)
가. 설립 이야기 : 학교를 설립 및 주요 사건과 관련한 일화 등을 조사하여 기록한다.
나. 유물과 유적 : 학교 소장 유물과 유적을 기록하되 문화재로 등록이 되지 않은 민속자료도 가치가 있는 것은 예시와 같이 사진과 함께 설명을 덧붙여 작성한다. 지정 문화재는 지정구분, 지정 연도 등의 정보도 기재한다. 교내에 있는 송덕비나 공덕비 등도 기록한다. ( 없으면 기록 생략 )
9. 학교 연표 : 시간도 많이 걸리고 가장 힘이 드는 부분이다. 기관의 연혁지나 역사관 자료를 보고 정확히 작성한다. 기관의 개교 연도에 따라 쪽수에 증감이 있을 수 있다. 내용에 따라 셀의 높이는 조절할 수 있다.
1) 연대: 개교부터 작성하며, 1쪽 10년 단위로 작성한다.
2) 연혁: 주요 연혁보다 세세한 내용을 10년 단위 기간별로 예시와 같이 기재한다. 없으면 공란 처리한다.
3) 학급편성: 숫자로 기재한다.
4) 학생수: 연혁지에 의해 숫자로 기재한다.
5) 졸업생수: 연혁지에 의해 숫자로 기재한다.
6) 교장: 예시와 같이 부임일과 함께 기재한다.
7) 교감; 예시와 같이 기재한다. ( 代 수는 기재하지 않는다.)
8) 교사: 연도별로 전입자만 한글로 기재한다.
9) 행정 및 기능직: 행정직과 기능직을 연혁지를 보고 예시와 같이 연도별 전입자순으로 기재하며, 자료가 없으면 공란 처리한다.
10) 동창회장: 연도별로 성명만 기재하며 자료가 없으면 공란 처리한다.
11) 학부모 단체: 연도별로 성면만 기재하며 자료가 없으면 공란 처리한다.
12) 학교운영위원장: 해당 없는 기간에는 셀 자체를 삭제하며, 연도별로 성명만 기재한다.
13) 교육활동 실적: 학생은 개인 실적, 학교는 단체 실적을 기재하며 대외적으로 중요한 사항만 기재한다. 해당 없는 기간에는 공란 처리한다.
14) 장학금 제도: 예시와 같이 전통적으로 운영된 장학금 제도만 기재한다. 비정규적인 장학금은 기재하지 않는다.
15) 기타: 기관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내용만 기재한다. 없으면 공란 처리한다.
첫댓글 자료를 붙임에서 다운받으세요...근데 자료의 사진은 우리 학교의 정경이 아니네요...그리고 상당부분 공란으로 되어 있고...ㅠ.ㅠ....아직 미완성의 작품인 듯합니다...출처는 예산교육청입니다....^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