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앙코르와트" 遺跡地 지도.
"앙코르와트"의 入口가 다른 곳과 달리 正西인 것을 알고 가면 좋다.
이렇게 지은 것은 당시 이곳 사람들의 신앙적인 생각이 깊게 스며있다.
즉 크메르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가는 死後世界가 서쪽에 있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래서 왕의 사후세계를 편하게 하려는 의도인듯하다고 한다.
하지만 관광객들에게는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아침 일찍 가면 앙코르와트의 탑위로 뜨는 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사진 : 인터넷에서 발췌
다른 곳도 마찬가지이지만 "앙코르와트"를 제대로 알고 보려면 이 조감도를 먼저 봐야한다.
주변으로는 네모지게 해자(垓字)가 있는데 이 물의 폭은 평균 260M라고 한다.
해자(楷字) 안의 길이가 東西로 1025M이고, 南北으로 820M 라고 한다.
안내서에는 이 물이 "세상 밖의 바다"를 뜻한다고 한다.
맞는 말이지만 그러나 실질적인 용도는 따로 있다.
이곳의 흙은 대부분이 붉은 황토흙으로 되어 있다.
건기와 우기에 따라 흙이 물에 젖었다 말랐다 하면 건물의 하중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고 한다.
이 연못의 물은 건물주변의 토양을 젖게 하여 항상 땅속에서 건물의 압력을 견뎌주게 하는 것이다.
그런 연유로 앙코르 사원 바로 앞에도 좌우로 연못이 있다.


해자(楷字)를 가로질러 앙코르와트로 들어가는 다리.
입구에 "뱀神"인 "나가"((Naga)가 좌우로 있는데 머리가 부러져 없어졌다.
"나가"((Naga)는 "힌두교"에서는 創造神話에 나타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리 입구에 세워진 돌로 만든 머리가 일곱인 뱀의 神(Naga)에 있는 문양.
머리는 없어졌다.


이제 다리를 건너 간다.
지금 이곳은 "앙코르와트"로 들어가는 유일한 통로다.

다리를 건너다 보니 벌어진 돌틈으로 건축의 기초가 되는
붉고 울퉁불퉁한 화산석 같은 돌이 속에 들어 있는 것이 보인다.

이 돌이다.
이 돌로 기초를 만들고 나중에 다른 돌로 마감을 한것이다.
마치 화산암처럼 생겼는데 어디서 나온 것일까?


遺跡을 수리하기 위해 가져다 놓은 기초석.

다리를 건너면 성안으로 들어가는 門이 기다리고 있다.

성안으로 들어가는 문의 지붕.
검은 색과 회색으로 얼룩져서 으시시한 느낌을 준다.

성문 앞에 있는 비교적 온전한 나가(Naga)의 모습.

머리가 좌우로 셋에다 가운데 하나, 모두 일곱개의 머리를 가졌다.
이 머리가 일곱인 나가(Naga)는 여러곳에서 보게 되는데 이것이 그래도 원형이 많이 보존된 것이다.
건물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석조물은 습도와 강한 태양빛에 풍화가 많이 되어 있었다.

입구 위쪽의 모습.
많은 사람과 원숭이들이 새겨져 있다.

문 좌우에도 빈틈없이 각가지 형태의 문양이 새겨져 있다.

들어가면서 지붕 일부가 훼손된 곳을 보게 된다.

지붕을 마감하는 양식이 조금 특이하다.

해자를 지난 문을 들어서면 다음 문이 나올 때까지 잘 포장된 조금 긴 도로를 걸어가야 한다.
여기에도 좌우 난간은 "나가"(Naga)로 만들어져 있다.
어느곳이던 난간은 모두 이런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이제 이 문을 들어서면 앙코르와트의 세상으로 들어간다.

안으로 들어와서 돌아보는 문의 모습.


문위에 새겨진 조각들.
탑의 하단 좌측을 클로즈업해 봤다.
탑에는 빈틈없이 조각이 되어 있다.

두번째 문을 들어와서도 또다시 꽤나 긴 포장길을 가야 한다.
길 중간 좌우에 검은 건물은 書庫(Library)라고 한다.

왼쪽 書庫 창문을 통해 보이는 맞은편의 書庫.
가는 길 중간 양쪽에 있는 書庫(Library)는 크기나 모양이 똑같다.
그런데 그 바로 앞에 커다란 카메라들이 몇대씩 있고 많은 사람들이 길을 가로막고 있다.
자세히 보니 우리나라 EBS교육방송에서 앙코르와트 취재를 나온 것이다.
우리는 하는 수 없이 왼쪽 건물을 통해서 들어간다.
안내책자나 기타 여러 자료에 이 두 건물이 책을 저장해두는 도서관(Library)역할을 했다고 한다.
왜 도서나 문서를 主 건물에서 떨어진 곳에 두었을까?
또 근래에 주장되는 일부 학설은 앙코르와트가 사원이 아닌 왕의 무덤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더 더욱 저 건물이 藏書를 보관하는 장소로는 합당치 않을듯 하다.

본 건물 앞 호숫가에 있는 종려나무들.
무척 운치가 있고 멋스러운데 무섭고 끔찍한 이야기가 저 나무에 숨어있다.

습도가 높은 때문인지 나무에 이끼와 각가지 부착식물이 가득하다.

좌측 호수앞에서,,,,,,
이곳이 사진 찍는 포인트라고 해서 줄을 서서 기다렸다가 사진을 찍는다.
조금 더 왼쪽으로 가서 사진을 찍어야 건물이 모두 물에 비치는 장면을 찍을 수 있는데
워낙 많은 사람들이 기념사진을 찍느라 기다려서 사람없는 장면은 생각치도 못한다.
이자리에서 日出을 보면 정말로 기막힌 광경이라고 하는데 그런 호사를 누릴 수는 없다.
건물 양쪽에 호수가 하나 씩 있는데 이곳 북쪽의 호수는 물이 있고 남쪽의 호수는 말라 있다.
나만의 생각인지 몰라도 양쪽 호수의 물의 변화가 건물에 영향을 주는듯 하다.

이제 앙코르와트 안으로 들어가 본다.
앙코르와트는 3층으로 만들어져 있단다.
1층은 미물계(微物界)이고, 2층은 인간계(人間界), 그리고 3층은 천상계(天上界)라고 한다.
우선 1층부터 둘러본다.
1층 外部 回廊의 벽은 모두 陽刻 浮彫로 가득하다.








건물 안에서 내다 본 호수 풍경.




이 사진은 위사진의 馬車를 탄 女神의 아래 부분을 크로즈업한 사진인데
갑옷의 격자 무늬의 크기가 모눈종이1mm 하나의 크기다.
얼마나 정성을 들여 정교하게 조각했는지 알수 있다.
가끔 붉은 색이 보이는 것은 탁본을 하기위해서 물감을 입혔던 자국이고,
어떤 부조는 사람들이 손으로 만져서 반들반들 윤이 난다.
저 그림 하나 하나가 모두 사연이 있는 것이고 그 시대를 이야기하는 것인데
아무리 들어도 한 귀로 들어가고 곧바로 한 귀로 빠져나간다.

회랑 밖으로 잠깐 나가서 보니 師子像의 머리부분이 훼손돼 있다.
상태로 봐서 근래에 파괴된듯 해서 가이드에게 물으니 "크메르루주"(Khmer Rouge)軍이
이곳을 본거지로 삼았었다고 한다.
그 당시에 이곳에서 전투가 있었는데 그 때에 훼손된것이란다.

2층으로 올라가려는데 이곳을 보수하는 사람들이 무거운 돌을 지고 올라가서 잠시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