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령오행(소리오행)
(1) 목목(木木)
木木木 - 입신출세격(立身出世格) 木木火 - 입산출세격(立身出世格)
木木土 - 고난신고격(苦難辛苦格) 木木金 - 고난신고격(苦難辛苦格)
木木水 - 성공발전격(成功發展格)
(2) 목화(木火)
木火木 - 춘산개화격(春山開花格) 木火火 - 고목봉춘격(枯木逢春格)
木火土 - 대지대업격(大志大業格) 木火金 - 평지풍파격(平地風波格)
木火水 - 선부후빈격(先富後貧格)
(3) 목토(木土)
木土木 - 사고무친격(四顧無親格) 木土火 - 골육상쟁격(骨肉相爭格)
木土土 - 속성속패격(速成速敗格) 木土金 - 패가망신격(敗家亡身格)
木土水 - 고목낙엽격(枯木落葉格)
(4) 목금(木金)
木金木 - 골육상쟁격(骨肉相爭格) 木金火 - 독좌탄식격(獨坐歎息格)
木金土 - 초실후득격(初失後得格) 木金金 - 볼화쟁론격(不和爭論格)
木金水 - 만사불성격(萬事不成格)
(5) 목수(木水)
木水木 - 부귀쌍전격(富貴雙全格) 木水火 - 속성속패격(速成速敗格)
木水土 - 조기만패격(早期晩敗格) 木水錦 - 어변용성격(魚變龍成格)
木水水 - 대부대귀격(大富大貴格)
(6) 화목(火木)
火木木 - 부귀안태격(富貴安泰格) 火木火 - 용득봉운격(龍得逢雲格)
火木土 - 만화방창격(萬化方暢格) 火木金 - 선고후파격(先苦後破格)
火木水 - 자수성가격(自手成家格)
(7) 화화(火火)
火畵木 - 성공발전격(成功發展格) 火火畵 - 조기만패격(早期晩敗格)
火火土 - 만화방창격(萬化方暢格) 火火金 - 백모불성격(百謀不成格)
火火水 - 평지풍파격(平地風波格)
(8) 화토(火土)
火土木 - 강상풍파격(江上風波格) 火土火 - 춘일방창격(春日方暢格)
火土土 - 만화방창격(萬化方暢格) 火土金 - 입신대길격(立身大吉格)
火土水 - 심신파란격(心身波亂格)
(9) 화금(火金)
火金木 - 개화풍란격(開花風亂格) 火金火 - 무주공산격(無主空山格)
火金土 - 선고후길격(先苦後吉格) 火金金 - 사고무친격(四顧無親格)
火金水 - 개화무실격(開花無實格)
(10) 화수(火水)
火水木 - 의외재난격(意外災難格) 火水火 - 유아독존격(唯我獨尊格)
火水土 - 선고후파격(先苦後破格) 火水金 - 무주공산격(無主空山格)
火水水 - 개화풍란격(開花風亂格)
(11) 토목(土木)
土木木 - 허명무실격(虛名無實格) 土木火 - 운중지월격(雲中之月格)
土木土 - 고목낙엽격(枯木落葉格) 土木金 - 선빈후고격(선빈후苦格)
土木水 - 유듀무미격(有頭無尾格)
(12) 토화(土火)
土火木 - 일광춘성격(日光春成格) 土火火 - 춘일방창격(春日方暢格)
土火土 - 입신출세격(立身出世格) 土火金 - 고난자성격(苦難自成格)
土火水 - 진퇴양난격(進退兩難格)
(13) 토토(土土)
土土木 - 선고후패격(先苦後敗格) 土土火 - 금상유문격(錦上有紋格)
土土土 - 일경일고격(一慶一苦格) 土土金 - 고원회춘격(古園回春格)
土土水 - 사고무친격(四顧無親格)
(14) 토금(土金)
土金木 - 봉학상익격(鳳鶴傷翼格) 土金火 - 골육상쟁격(骨肉相爭格)
土金土 - 일광춘풍격(日光春風格) 土金金 - 유곡회춘격(幽谷回春格)
土金水 - 금상유문격(錦上有紋格)
(15) 토수(土水)
土水木 - 노력무공격(勞力無功格) 土水火 - 풍파절목격(風波折木格)
土水土 - 패가망신격(敗家亡身格) 土水金 - 사고무친격(四顧無親格)
토수수 - 일장춘몽격(일장춘몽격)
(16) 금목(金木)
金木木 - 추풍낙엽격(秋風落葉格) 金木火 - 한산공가격(寒山空家格)
金木土 - 심신피록격(心身疲勞格) 金木金 - 유전실패격(流轉失敗格)
金木水 - 고통난명격(苦痛難命格)
(17) 금화(金火)
金火木 - 욕구불만격(欲求不滿格) 金火火 - 병고신음격(病苦呻吟格)
金火土 - 입신양명격(立身揚名格) 金火金 - 조기만패격(早期晩敗格)
金火水 - 무주공산격(無主空山格)
(18) 금토(金土)
金土木 - 평지풍파격(平地風波格) 金土火 - 고목봉춘격(枯木逢春格)
金土土 - 입신출세격(立身出世格) 金土金 - 의외득재격(意外得財格)
金土水 - 재변재난격(災變災難格)
(19) 금금(金金)
金金木 - 평생병고격(平生病苦格) 金金火 - 패가망신격(敗家亡身格)
金金土 - 대지대업격(大志大業格) 金金金 - 고독재난격(孤獨災難格)
金金水 - 발전향상격(發展向上格)
(20) 금수(金水)
金水木 - 발전성공격(發展成功格) 金水火 - 선무공덕격(善無功德格)
金水土 - 불의재난격(不意災難格) 金水金 - 부귀공명격(富貴功名格)
金水水 - 발전평안격(發展平安格)
(21) 수목(水木)
水木木 - 만화방창격(萬化方暢格) 水木火 - 입신출세격(立身出世格)
水木土 - 망망대해격(茫茫大海格) 水木金 - 일길일흉격(一吉一兇格)
水木水 - 청풍명월격(淸風明月格)
(22) 수화(水火)
水火木 - 병난신고격(病難辛苦格) 水火火 - 일엽편주격(一葉片舟格)
水火土 - 선빈후곤격(先貧後困格) 水火金 - 심신파란격(心身波亂格)
水火水 - 선무공덕격(善無功德格)
(23) 수토(水土)
水土木 - 풍전등화격(風前燈火格) 水土火 - 낙마실족격(落馬失足格)
水土土 - 강상풍파격(江上風波格) 水土金 - 선고후안격(先苦後安格)
水土水 - 병난신고격(病難辛苦格)
(24) 수금(水金)
水金木 - 암야해인격(暗夜行人格) 水金火 - 개화광풍격(開花狂風格)
水金土 - 발전성공격(發展成功格) 水金金 - 순풍순성격(順風順成格)
水金水 - 어변용성격(魚變龍成格)
(25) 수수(水水)
水水木 - 만경창화격(萬景暢火格) 水水火 - 고독단명격(孤獨短命格)
水水土 - 백모불성격(百謀不成格) 水水金 - 춘일방창격(春日方暢格)
水水水 - 평지풍파격(平地風波格)
## 훈민정음 해례(訓民正音 解例)
대저 사람에게는 소리가 있으니 그 근본은 5행(行)이다. 그러므로 모두 4계절에 부합되어 어긋남이 없고, 5음(音)에 맞추어도 흐르니 어그러지지 아니한다.
목구멍(喉)은 깊고 윤택하여 水가 되는데 마치 소리가 허공에 통하는 것과 같고, 물이 투명하게 흐르는 것과 같다. 계절로는 동(冬)이 되고 음(音)으로는 우(羽).
어금니(牙)는 착잡하고 길어서 木이 된다. 소리는 목구멍 소리와 비슷해도 실하여짐이니, 나무가 물에서 생(生)함을 받아 그 형태가 있는 것과 같다. 계절로는 춘(春)이 되고 음(音)으로는 각(角).
혀(舌)는 날렵하게 움직이므로 火이다. 소리는 구르고 날리어 불이 구르고 퍼져 힘차게 솟아오름과 같다. 계절로는 하(夏)가 되고 음(音)으로는 치(徵).
이(齒)는 단단하고 음식물을 절단하므로 金이다. 소리는 부스러지고 걸리며 쇠가 으스러지고 부러져 단련됨과 같다. 계절로는 추(秋)가 되고 음(音)으로는 상(商).
입술(脣)은 방정하므로 합하여 土가 된다.
소리를 널리 머금은 모양이 대지(大地)가 만물을 포용하여 광대함과 같다.
계절로는 늦여름(季夏)이 되고 음(音)으로는 궁(宮).
그러한 연고로 물(水)은 만물을 낳는 근원이 되고, 불(火)은 만물을 성장시키는 작용이 된다. 그러므로 5행 가운데에 물(水)과 불(火)이 큰 것이다. 목구멍은 소리를 내는 문이요, 혀는 소리를 판별하는 관(管)이다. 그러므로 5음(音) 가운데에 목구멍과 혀가 주체가 된다. 목구멍은 뒤에 있고 어금니가 다음에 있으니 북동(北東)의 방위요, 혀와 이가 그 다음에 있으니 남서(南西)의 방위이다. 입술은 끝에 있는바, 토(土)는
일정한 자리가 없이 네 계절에 기대어 왕성하다는 뜻이다.
* 소리의 오행 배속
木: ㄱ,ㅋ
火: ㄴ, ㄷ, ㄹ , ㅌ
土: ㅁ, ㅂ, ㅍ
金: ㅅ, ㅈ, ㅊ
水: ㅇ, ㅎ
* 소리는 최초 목구멍(水, ㅇ ㅎ)에서 시작이 되어, 입안으로 나와 최초로 어금니와 만나며(木, ㄱ ㅋ), 혀를 통해 분산(火, ㄴ ㄷ ㄹ ㅌ)되어 퍼져 나가다가, 입술을 만나 멈추게 되고(土, ㅁ ㅂ ㅍ) 방향이 바뀌어, 되돌아오다가 이(金, ㅅ ㅈ ㅊ)와 만나게 된다.
* 이중에서 ㅇ, ㅎ은 후음이라 목소리 깊은 곳에서 나오는 소리라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수의 기운이라 하고 있는데 성명학에서는 ㅇ, ㅎ을 토로 활용하여 작명한다 . 즉 ㅇ, ㅎ 과 ㅁ, ㅂ, ㅍ과 오행적 의미가 바뀌어 사용하고 있다.
언제, 어떤 이유로 ㅇ, ㅎ인 수와 토인 ㅁ, ㅂ, ㅍ이 바뀌어 토와 수로 바뀌었는지 근거를 찾을 수는 없지만 훈민정음에서 ㅁ, ㅂ, ㅍ이 토였던 것이 성명학에서는 수로 바뀌어 작명에 사용하고 있었다.
한자 중심의 성명학에서 수리오행을 중심으로 작명하던 것이 한글의 음령오행을 중심으로 개명하는 작명을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의 한글의 우수성을 알고 인정한다면 소리문자가 음양오행을 근거하여 창제 되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음양오행으로 창제된 소리글자인 한글의 자음으로 이름을 짓는 것은 부르면서 오행의 기운을 보충해주는 의미가 큰 것이다.
음령오행을 중시하여 작명하는 작명가들은 타고난 명운은 선천적이고 이름은 후천적이라 명운을 바꿀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후천적을 음령오행의 한글로 지어지는 이름이 명운을 바꾼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타고난 명운에서 필요하거나 부족한 오행을 보충해주어 명운을 조화롭게하여 추길피흉한다는 의미가 더 있다고 생각한다.
소리오행 음오행 발음오행
木 : "ㄱ, ㅋ, 가, 카" 의 발음은 木에 속한다.
火 : "ㄴ, ㄷ, ㄹ, ㅌ, 나, 다, 라, 타" 의 발음은 火에 속한다.
土 : "ㅁ, ㅂ, ㅍ, 마, 바, 파" 의 발음은 土에 속한다.
金 : "ㅅ, ㅈ, ㅊ, 사, 자, 차" 의 발음은 金에 속한다.
水 : ."ㅇ, ㅎ, 아, 하" 의 발음은 水에 속한다
※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의 소리오행 구분표
구분 | 아음(牙音) | 설음(舌音) | 순음(脣音) | 치음(齒音) | 후음(喉音) |
오음(五音) | 각(角) | 치(徵) | 궁(宮) | 상(商) | 우(羽) |
오기(五氣)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자음(子音) | ㄱ,ㄲ,ㅋ | ㄴ,ㄷ,ㄹ,ㅌ | ㅁ,ㅂ,ㅍ | ㅅ,ㅆ,ㅈ,ㅊ,ㅉ | ㅇ,ㅎ |
※ 훈민정음운해의 소리오행 구분표
구분 | 아음(牙音) | 설음(舌音) | 순음(脣音) | 치음(齒音) | 후음(喉音) |
오음(五音) | 각(角) | 치(徵) | 궁(宮) | 상(商) | 우(羽) |
오기(五氣)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자음(子音) | ㄱ,ㄲ,ㅋ | ㄴ,ㄷ,ㄹ,ㅌ | ㅇ,ㅎ | ㅅ,ㅆ,ㅈ,ㅊ,ㅉ | ㅁ,ㅂ,ㅍ |
영조대 여암 신경준의 '훈민정음운해'에서 후음과 순음이 수, 토가 바뀌어 전해졌는데
우리나라 대부분의 역학자들이 이 소리 오행을 받아들어 작명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카페에서는 세종대왕께서 창제하신 ‘훈민정음해례’를 따른다.
-------------------------------------------------------------------------------------------
우리나라 대부분의 성명학에서는 대체로 다음 표와 같이 오음의 초성 중
목구멍소리인 ㅇ, ㅎ을 토음(土音)으로,
입술소리인 ㅁ, ㅂ, ㅍ을 수음(水音)으로 보고 있다.
이는 훈민정음의 제자이론과 다르며 음운의 원리 및 음양오행의 원리와 맞지 않는 것이다.
목 | 화 | 토 | 금 | 수 |
ㄱ,ㅋ | ㄴ,ㄷ,ㅌ,ㄹ | ㅇ,ㅎ | ㅅ,ㅈ,ㅊ | ㅁ,ㅂ,ㅍ |
이 이론은 옛 중국 시대 남방 음운론의 이론으로써 1750년 영조 때에 신경준이 쓴 "훈민정음운해"와
최세진의 "사성통해"의 책머리에 나온 "홍무정운"의 31자모지도(字母之圖)를 근거로 삼고 있다.
이 이론은 음양오행의 근본원리와는 맞지 않고 지역적인 특성이 들어간 것이기 때문에 중국의 남방
지역의 음운 현상을 따르고 있다.
신경준, 최세진 두 학자 모두 훈민정음해례본을 보지 못하고 훈민정음 제자원리와는 다르게
풀이하고 있다. 훈민정음해례본이 발견되기 전에는 당시의 이론이 분명치 못하였지만,
이제 훈민정음해례에 담긴 소리의 원리가 밝히 드러났으니만큼 바로 잡아야한다
바른 오음
아음(목) | 설음(화) | 순음(토) | 치음(금) | 후음(수) | 반설/반치 |
ㆁ,ㄱ,ㅋ | ㄴ,ㄷ,ㅌ, | ㅁ,ㅂ,ㅍ | ㅅ,ㅈ,ㅊ, | ㅇ,ㆆ,ㅎ | ㄹ/ㅿ |
현재는 아음에서 ㆁ과 후음에서 ㆆ, 반치음 ㅿ은 쓰지 않고 있다.
세종대왕께서 과학적인 한글 창제의 과정을 낱낱이 적어놓은 훈민정음 혜례본이
발견된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그 이전까진 한국 명리학계의 한자의 소리오행을 한글의 소리오행에 그대로 적용해서
작명에 사용하였다.
지금까지 ㅇ,ㅎ 을 土의 발음으로, ㅁㅂㅍ을 水의 발음으로 사용 해 왔으나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훈민정흠 혜례본에는 한글 창제의 원리가 너무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훈민정음 5~8쪽의 내용에 따르면 목, 화, 토, 금, 수, 오행의 상생순서로 군쾌업 세 글자는 목(木)이고, 두탄나 세 글자는 화(火)가 되고, 별표미 세 글자는 토(土), 즉침술 세 글자는 금(金)이며 읍허욕 세 글자는 수(水)이다.
려(閭)는 반설음으로 반혓소리이고, 양(穰)은 반치음으로 반잇소린데 반설음 려(閭)는 설음에 배속하여 화(火)가 되고 반치음 양(穰)은 현재는 쓰지 않는다. 업(ㆁ) 과 읍(ㆆ)도 현재는 사용하지 않으며 초성 17자 중 14자만 사용한다.
挹虛欲 喉發聲也喉邃而潤水也聲虛而通
ㆆㅎㆁ은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며 목은 깊고 습하여 水이다. 소리가 허(虛)하여 잘 통한다.
如水之虛明而流通也於時爲冬於音爲羽
ㆆㅎㆁ은 소리가 허(虛)하고 밝아 잘 흐르고 잘 통하니 물(水)과 같으며, 사계절로는 겨울이 되고, 궁상각치우 오음으로는 우(羽)음이 된다.
彆漂彌 脣發聲也脣方而合土也聲含而廣
ㅂㅍㅁ는 입술에서 나오는 소리이다.
입술은 모나고 위아래 입술을 합한 것이 토(土)이며 소리는 함축되고 넓게 펼쳐져 나간다.
如土之含蓄萬物而廣大也 於時爲季夏
만물이 함축되고 넓고 크니 토(土)와 같으며 계하(季夏), 즉 계절이 되고
於音爲宮然水乃生物之源火乃成物之用
궁상각치우 오음 중 궁(宮)음이 된다. 그러므로 수(水)는 생명이 있는 물질의 근원이 되고, 화(火)는 물질을 이루는데 쓰인다.
故 五行之中水火爲大也 喉乃出聲之門
고로, 오행 중에 수화(水火)가 위대하다. 목구멍은 소리가 나오는 문이며
舌乃辯聲之管 故 五音之中候舌爲主也
혀는 소리를 분별하는 관(管)이다. 고로, 오음 을 발성하는 기관 중에서 목구멍 과 혀가 주(主)가 된다.
配諸四時 與冲氣 五行五音 無不協
춘하추동 사계절과 짝을 맞추어도 기(氣)가 모두 화(和)하며, 오행(五行)과 오음(五音)이 협조하지 않음이 없다.
維喉爲水 冬與羽 牙迺春木 其音角
목구멍 소리는 수(水)이고 겨울이며 우(羽)음이고, 어금니 소리는 봄(春)이고 나무(木)이며 각(角)음이다.
徵音夏火 是舌聲 齒則商秋 又是金
치(徵)음은 여름(夏)이고 화(火)이며 혀(舌) 소리이고 이빨(齒)은 오음의 상(商)음이 되고 가을(秋)이며 또한 금(金)이 된다.
脣於位數 本無定 土而季夏 爲宮音
입술에서 나오는 소리는 수와 위치(방위)가 정해진 곳이 없고 토(土)가 되고 계하(季夏)이며 궁음(宮)음이 된다.
다시한번 강조하거니와.
ㅇ, ㅎ은 항상 젖어있는 (후음), 목구멍 소리이며 우주의 시작을 의미하는 水 이다.
ㄱ,ㅋ은 (아음), 어금니의 소리이며, 어금니의 솟음은 木의 울림을 가진다.
ㄴ,ㄷ,ㄹ,ㅌ은 (설음), 혀의 소리이며, 혀의 열은 火의 기운을 가진다.
ㅁ,ㅂ, ㅍ은 (순음), 입술 소리이며 입술은 土의 속성을 갖는다.
ㅅ,ㅈ,ㅊ은 (치음), 잇소리이며 金의 속성이다.
[출처] 음령오행(소리오행)의 길흉|작성자 소암
첫댓글 고맙습니다
당연한 이야기 입니다.
원전인 해례본을 따르는 게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매우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