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전산책]『천수경』⑥ 다라니 본질은 자비·평등심 같은 ‘마음’ 사실 나는 분류하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분류 매니아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가 잊어서 안 되는 것은 어떤 것의 성격을 규정하고, 다른 것과 차별하는 것에는 위험도 따른다는 점이다. 복잡한 것을 단순화시키지 않고서는 분류할 수 없기 때문이고, 그러한 단순화에는 잃어버리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에 함정이 있다. 이러한 분류는 ‘원본 『천수경』’의 가르침을 밀교적인 것으로만 제한해서 이해토록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천수경』에 대한 빼어난 해석을 남긴 분들 중에 이러한 분류에 현혹된 어른은 한 분도 안 계신다.
‘원본 『천수경』’의 내적인 구조를 분류해 보자면, 둘로 나눌 수 있음 역시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애시당초의 원형으로 추정되는 부분(이를 ‘고본 『천수경』’이라 부른다)과 그 이후에 부가된 부분이 그것이다. 전자에서 이미 다라니의 제시와 그 독송의 강조가 설해지고 있으므로, 새삼스러이 부가 부분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부가부분이 덧보태어져 있다. 앞의 ‘고본 『천수경』’에 대한 해석이 필요했기 때문은 아닐까.
‘형모상상’은 무슨 의미인가? 일본학자 노구찌 젠교(野口善敬)는 “다라니의 자형(姿形)”이라고 했는데, 내가 좀더 부연해서 이해해 보자면 “다라니〔의 내용이 나타내고 있는 마음의〕자형/모습”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분명 문자 그대로 ‘형모상상’이라고 하는 것은 어떤 외형적 모습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래서 노구찌는 모습의 의미를 갖는 한자어 ‘자형’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대범천왕이 관세음보살에게 “이 다라니의 모습을 설해달라”고 했는데, 그 의미는 무엇일까? 이 문장을 나는 그 문자적인 의미에서와는 달리, 다라니의 겉모습이 아니라 다라니의 속 모습을 묻고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즉 다라니의 본질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이다.
자, 관세음보살 스스로 다라니의 본질/생명은 문자적인 의미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비심, 평등심, 무위심… 등의 마음임을 명언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우리가 「신묘장구대다라니」의 독송을 통해서 얻어야 할 것은 바로 이러한 마음인 것이지 문자적인 의미가 아니게 된다. 그런 점에서 다라니의 독송이 갖는 선적인 의미를 “원본 『천수경』” 스스로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김호성 [출처 : 법보신문]
|
|
첫댓글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