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현대 사이 에 ‘북촌’있다
지나간 시간을 되돌릴 수 는 없지만 지나온 시간의 흔적은 지켜낼수 있다 한여름의 치열했던 마음을 차곡차곡 개어 정리한다. 이젠 초록이 그립지만 않다 첨벙첨벙 출렁이던 물소리 마른 공기를 깨부수던 풀벌레소리 우렁차기 쏟아지던 소나기 소리 가을 속으로 사그라지는 이 모든 아우성도 아쉽지 않다 그렇게 점차 여름이 확장이 무뎌질 즈음 가을이 번진다. 가을은 사색의 계절. 어수선 했던 마음을 쓸어내리고 조용한 계절을 부유하듯 새로운 계절에게로 여행한다. 나를 완벽하게 내려놓고 복잡한 머릿속을 비워내고싶다 그곳에서 잠시 경계를 긋고 오롯이 나만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을 갖기 위해서이다 과거를 거슬러 올라갈 수 없지만 과거와 만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북촌에서 조우했다
북촌한옥마을로 발길을 옮기니 옛집들이 낮게 땅과 마주하고 있다 먼저 가회동 31번지부터 훑어보기로 했다 잘 정돈된 한옥은 관광객을 끌어 모으기에 충분한 매력을 지니고 있다 도심 건물은 콘크리트 빌딩숲으로 높이 하늘로 자꾸 오르려 고하지만 북촌한옥은 자연을 거스르려 하지않고있다. 600년 서울의 삶과 숨결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북촌은 오랜 전통과 정신을 잇고 있는 찬란한 문화유산이다. 청계천과 종로의 윗동네라 하여 북촌이라고 불리는 이곳은 조선시대부터 명당지역으로 긍지를 누려온 유서 깊은 동네이다.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도 옛 모습을 잃지 않고 있는 북촌, 999동의 한옥들이 마을을 이루고 있어 주민들의 거주 지역이기도 한 이 곳의 독특한 매력을 발견해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가회동 31번지엔 공방이 두 개정도가 있다 우리빛깔공방이 그곳이다 우리빛깔공방은 우리의 전통적 규방공예를 오늘에 되살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 "가장 전통적인 것이 가장 현대적이라는" 믿음으로 복식에서부터 생활소품에 이르기까지 모두 시도하고 있는 공방이다. 하지만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에겐 공방의 고풍스러운 옛건물의 정취만 볼 수 있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또 한곳은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16호 초고 공예분야의 한순자 선생 공방이다. 초고는 풀과 짚을 뜻하는데, 즉 풀과 짚으로 만든 공예품을 일컬어 하는 말이다 이곳역시 공방 안으로 휠체어가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한옥의 깊은 외형만 볼 수밖에 없어 아쉬움은 뒤로하고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다
기쁘고 즐거운 모임'이라는 의미의 가회(嘉會)라는 이름처럼 가회동 11번지는 즐거움과 소박한 정취가 가득한 곳이다. 이곳은 초입부터 공방과 박물관 아내표지판이 즐비하다 청원산방부터 매듭공방, 민화공방, 젓대공방, 한상수자수공방 등이 있고 드라마 겨울연가의 주인공의 집도 있는 곳이다 여러 가지 볼거리와 전통 찻집도 11번지 매력이기도 하다 북촌한옥마을은 휠체어를 이용하여 여행기에도 그만이다 잘 정돈된 한옥 길로 걸어 올라가면 서울시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명품한옥답게 조용하니 국⦁내외 관광객의 발길이 끈이질 않는다. 600년의 역사를 가진 옛 모습과, 21세기 도심 한복판의 모습이 한데 어우러진 북촌한옥마을은 거리 자체가 하나의 볼거리로도 충분하다. 북촌에서의 몇 가지 아쉬운 점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은 화장실 가기가 불편하다 화장실을 볼일을 보려면 주변 지하철역에서 보고 오는 것이 북촌여행에 낭패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북촌엔 한옥 모습 그대로 갖갖 사립 박물관이 만들어져 있다
북촌 길을 따라 걷다보면 계동 길로 이어진다. 계동은 현대사옥에서 시작해 중앙고등학교에서 끝을 맺는 소박한 길이다 이길 또한 아기자기하고 고풍스럽고 멋스러운 한옥 길이다 계동 길만의 특별함을 찾아보면 한옥을 개조해 예뿐 찻집과 소품가게들이 거리의 풍경을 만들어 낸다. 계동길 양쪽으로 국수집 방앗간 목욕탕 등 칠십 년대 모습들이 멈춰서 현대의 사람들을 불러 모으고 있다 다행이 계동 길은 휠체어가 접근할만한 소품가게와 식당 찻집들이 있어 북촌여행의 피곤함을 쉬어갈수 있다.
1. 관광지
관광지명: 삼청동 카페골목(휠체어이동 및 접근 가능
화 장 실: 장애인화장실 완비
주 소: 서울 종로구 삼청동 일대 청와대 오른쪽 길
홈페이지: http://tour.jongno.go.kr/TourSubMain.do
2.가는 길
지하철: 지하철 5호선 광화문 역 하차 외부 엘리베이터 8번 출구 나와 세종문화회관 앞 광 화문 광장, 광화문 정면에서 광화문 쪽으로 횡단보도 건너 오른쪽으로 경복궁 끼고 돌면 된다.
(5호선 광화문역, 02-6311-5331. 승강장애서 대합실까진 휠체어 리프트 / 안전발판 서비스 시행)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하차 경복궁으로 나와 경복궁을 들러보고 민속박물관 쪽으 로 나오면 왼쪽부터 삼청동 카페 골목에서 북촌 쪽으로 걸어가면 된다.
지하철 3호선 안국역에서 하차하여 외부 엘리베이터 6번 출구로 나와 현대사옥 뒤 편 계동 길부터 여행을 시작해도 괜찮다
(안국역 02-6100-3281안전발판 서비스 시행)
-안전발판서비스 있음(지하철 승하차 편리함)
-북촌과 계동 길은 화장실 이용이 불편하다 안국역과 경복궁역 화장실이 있다
버 스: 파랑버스 [480번/대성운수/전화02-400-9411] [704번/제일여객/031-820-1800]
[180번/402번/150번704번/401번](참고 : 저상버스)
초록버스 [0212번/선진운수/전화02-355-5855]
[1711번/도원교통/전화02-914-9023]
[7016번/7081번/7022번700번](참고: 저상버스)
정류장 위치 :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 정차/저상버스 휠체어탑승가능
승 용 차 : 주차시설이 부족하여 주차가 어려움 대중교통 이용
장애인콜택시 : 전화 1588-4388/인터넷접수/http://calltaxi.sisul.or.kr/index.asp서울시설관리공단
3.음식점
상 호: 병천순대 전문점(계동길)
메 뉴: 순대국
가 격: 6000~10000원
전 화: 02)745-5204
접근성: 휠체어 접근가능(편의시설완비)
위 치: 계동길 36번지
상 호: 밀양손만드
메 뉴: 사골만두국, 사골칼국수
가 격: 5천원 부터
전 화: 02-744-3272
접근성: 휠체어 접근가능(편의시설완비)
위 치: 계동길 36번지
상 호: 이태리 면사무소
메 뉴: 스파게티
가 격: 6천원 부터
전 화: 없음
접근성: 휠체어 접근가능(편의시설완비)
위 치: 삼청동 카페골목 삼청공원 방향 위치
4. 숙박
상 호: 코리아나 호텔
가 격: 1박 20만원
전 화: 02-2171-7000
접근성: 휠체어 접근가능(편의시설완비)
위 치: 서울 중구 태평로1가 61-1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옆
홈주소: http://www.koreanahotel.com
상 호: 선비호텔
가 격: 1박 8만원
전 화: 02-730-3451
접근성: 휠체어 접근가능(편의시설완비)
위 치: 문화예술의 중심지 인사동 위치
4.주변볼거리
-삼청동 카페골목
-창덕궁. 인사동 .종로피맛골, 청계천
블로그 - http://blog.daum.net/sun67mm/
카페 - http://cafe.daum.net/travelwheelch

북촌 한옥마을 길

고요한 북촌





계동 길

첫댓글 이태리면사무소 ㅋㅋㅋ잼잇네 거참
다음에 나도 꼭 가고 싶다... 이렇게 좋은곳을 소개해 주시니 보기만 해도 활력이 생기고 기분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