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보조사 앞 또는 뒤에 격조사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3. 보조사는 체언뿐만 아니라 부사, 연결형, 다른 격조사 뒤에서도 쓰이고 불규칙적 어근 뒤에서도 쓰입니다.
#3. 보조사의 종류
의미 | 대표적인 보조사 |
1. 주제 | 은/는 |
2. 대조 | 은/는 |
3. 역시 | 도 |
4. 유일함 | 만, 밖에, 뿐 |
5. 극단 | 마저, 조차 |
6. 균일 | 마다 |
7. 차선 | 이나 |
8. 상관없음 | 이든지 |
9. 종결 보조사 | -요, -마는, -그려, -그래 등 |
1. 주제 : [은/는]
주제의 보조사 '은/는'은 ‘-으로 말할 것 같으면, -에 대해 말하자면’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보조사입니다.
영어는 주어가 제일 앞에 오는 주어 중심 언어입니다. 반면에 한국어는 주제 중심 언어입니다. 그래서 문장 안에 어떤 성분이라도 그것이 문장의 주제라면 가장 앞으로 내세워 ‘은/는’을 붙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제의 보조사 ‘은/는’은 문장이나 담화의 중심 내용 및 주제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반면에 아래에 제시되는 대조의 보조사 ‘은/는’은 주제의 보조사와 형태는 같지만, 반대되는 내용의 문장을 제시할 때 사용합니다.
2. 대조: 은/는
'이/가' 와 '은/는'의 차이
- 이야기가 처음 소개되는 경우에는 ‘이/가’를 사용합니다. 그다음부터는 ‘은/는’을 사용합니다.
- ‘이/가’는 일반적인 진술에 사용하며, ‘은/는’은 대조의 보조사로 대조적인 진술에 사용합니다.
- ‘이/가’는 정보의 초점이 앞에 오는 내용에 사용하는 반면, ‘은/는’은 뒤에 오는 내용으로 정보에 초점이 갑니다.
위의 첫 번째 예시는 ‘가’를 사용함으로써 정보의 초점이 문장 앞쪽에 있는 ‘누가’에 집중되었습니다. 그래서 대답할 때는‘누가’에 대한 대답이 나왔습니다.
위의 두 번째 예시에서는 ‘는’을 사용함으로써 정보의 초점이 문장에 뒤 쪽에 있는 ‘갔어요?’에 위치합니다. 그래서 대답 또한 '갔다 또는 가지 않았다'로 하였습니다.
3. 역시: '도'
4. 유일함: '만, 밖에, 뿐'
1) '만'은 긍정 및 부정을 나타내는데 모두 사용합니다.
2) '밖에'는 다른 것이 아닌 그것 하나에 대해서 말할 때 사용합니다. 이때 뒤에 부정형, ‘안, 못, 없다’ 등이 옵니다.
3) '뿐'은 주로 ‘이다’와 함께 사용합니다.
5. 극단: ‘마저, 조차’
'마저'와 '조차'는 둘 다 말하는 사람에게 부정적인 일에 많이 사용합니다.
1) ‘마저’는 ‘하나 남은 마지막’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2) ‘조차’는 ‘가장 기본적인 것 또는 믿었던 것을 벗어난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3) '마저'와 '조차'는 명령문과 청유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6. 균일: '마다'
'마다'는 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일에 사용하는 보조사입니다.
7. 차선: '(이)나'
'(이)나'는 앞 음절 받침 유무에 따른 이형태입니다. 앞 음절에 받침이 있다면 ‘-이나’를 사용하고, 받침이 없다면 ‘-나’를 사용합니다. '(이)나'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용법으로 사용됩니다.
1) '(이)나'는 둘 이상의 대상을 나열하거나 그중에 어느 것을 선택함을 의미합니다.
2) '(이)나'는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괜찮은 정도의 차선의 보조사로 사용됩니다.
3) '(이)나'는 무엇, 어느 곳, 아무것 등에 붙어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어느 것이나 상관없음을 의미합니다.
4) '(이)나'는 수량 명사와 함께 수량이 예상 정도를 넘었거나 꽤 많음을 의미합니다.
5) '(이)나'는 수량 명사와 함께, 그 수량이나 정도를 짐작함을 의미합니다.
8. 상관없음: '(이)든지'
차선의 보조사 ‘이나’가 만족스럽지 않음의 뜻을 지니고 있었다면, 상관없음을 나타내는 보조사 ‘(이)든지’는 차등 없이 모두 괜찮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든지'는 앞 음절에 받침에 따라 서로 다른 이형태를 보입니다. 앞 음절의 받침이 있다면 ‘이든지’를 사용하고, 받침이 없다면 ‘든지’를 사용합니다. '(이)든지'는 아래와 같은 용법으로 사용됩니다.
1) '(이)든지'는 ‘누구, 언제, 어디, 무엇, 얼마’ 등과 함께 사용됩니다
2) ‘어떤, 무슨, 어느’는 다음에 항상 명사가 오기 때문에 그 명사 뒤에 ‘(이)든지’를 붙여 사용합니다.
** ‘-든지’와 ‘-던지’의 차이점
‘든지’는 선택의 무관을 의미하는 반면 ‘던지’는 과거의 행위를 의미합니다.
9. 종결: -요, -마는, -그려, -그래 등
종결의 보조사는 주로 문장의 종결 어미와 함께 사용되어 고유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보조사의 종류를 마지막으로 이번 보조사 포스팅을 마치려고 합니다. 계속해서 접속조사에 대해서도 포스팅할 예정이니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해 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과와 서재
공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