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안녕하세요~ 답반 드릴게요! 사실 raising verb랑 control verb구분하는게 까다롭죠 ㅠㅠ 저도 공부할 때 정말 헷갈렸습니다 ㅠㅠ
a. 이 문장에서 "검투사들"은 문장의 주어이지만, 실제로 "살아남다"라는 행동을 검투사들이 통제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were supposed to"라는 구문은 검투사들이 살아남을 것이라는 기대나 가정을 표현할 뿐, 주어에 의미적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raising construction의 특징입니다. 즉, 주어가 수행하는 동작은 종속절의 "survive"에서 결정되며, "be supposed to" 자체가 주어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저는 가끔 구분할 때 아래처럼 구분합니다!
비의미적 주어(it)가 사용될 수 있는가?
Yes: Raising verb는 비의미적 주어(i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o: Control verb는 비의미적 주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첫댓글 안녕하세요~ 답반 드릴게요!
사실 raising verb랑 control verb구분하는게 까다롭죠 ㅠㅠ 저도 공부할 때 정말 헷갈렸습니다 ㅠㅠ
a. 이 문장에서 "검투사들"은 문장의 주어이지만, 실제로 "살아남다"라는 행동을 검투사들이 통제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were supposed to"라는 구문은 검투사들이 살아남을 것이라는 기대나 가정을 표현할 뿐, 주어에 의미적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raising construction의 특징입니다. 즉, 주어가 수행하는 동작은 종속절의 "survive"에서 결정되며, "be supposed to" 자체가 주어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저는 가끔 구분할 때 아래처럼 구분합니다!
비의미적 주어(it)가 사용될 수 있는가?
Yes: Raising verb는 비의미적 주어(i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o: Control verb는 비의미적 주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요!
오 교수님 해석 설명 덕분에 이해가 되었습니다!! 넘 감사드립니다!! 평안한 밤 되세요🍀
@아아 항상 긍정적으로! 화이팅이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