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기오동작(비화재보)시 점검 및 조치방법]
◈ 감지기오동작(비화재보) 으로 인하여 수신반의 주경종, 지구경종
버튼을 누른후 방치하는 경우가있다
이는 해당동전체에 화재시 경보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우려되는 아주 위험한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형사 및 민사사건으로 인하여 관리소장의 처벌 및
변상의 사례도 있으니 관심과 주의가 요구되는 사항이기도하다
1. 감지기오동작(비화재보) 점검 및 조치방법
1) 감지기의 종류
(1) 차동식스포트형감지기
* 주위온도가 일정상승률 이상이되는 경우에 작동
( 방, 거실에 설치됨 )
☞ 차동식스포트형감지기 사진

☞ 차동식스포트형 내부사진 (다이어프렘)

(화재시 감열실내의 공기가 팽창되어 다이어프렘을 압박하여 접점됨)
(2)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
* 일국소의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이상이 되는 경우 작동
( 주방씽크대 위에 설치됨 )
☞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 사진

☞ 정온식스포트형 내부사진 (바이메탈)

화재시 바이메탈이 휘어저 접점됨 (중앙의 엷은철판)
(3) 연기감지기(광전식)
* 계단에 설치되였으며 , 연기가 광원에서 방사되는 광속에의해
산란방지를 일으키는 작용으로 작동
☞ 연기감지기(광전식) 사진

☞ 연기감지기 상부사진

( 종단저항이 설치됨)
2. 점검 및 조치방법
1) 감지기오동작시 수신반의 화재복구 버튼을 누른후 복구되면
이상없음
(도배등으로 인하여 감지기 일시철거시 회선의 접점으로
동작되는 경우임)
2) 화재복구 버튼을 누른후에도 복구되지 않으면 주경종, 지구경종,
자동복구버튼을 누르고 해당층을 (세대 및 계단층 감지기) 확인
해야함
* 해당층의 세대 및 계단감지기 의 동작확인등이 점등되어 있으면
감지기를 교체해야함
☞ LED 점등전 감지기 사진

☞ LED 점등후 감지기 사진

(우측에 빨간색불이 점등되어있다)
3) 감지기 동작확인등이 점등되어 있지않을때
*점등되지 않을때는 육안으로 감지기불량을 찾기가 어렵다
따라서 감지기를 순차적으로 각각 확인하는 방법외는없다
(1) 감지기하부를 전체탈거하여 화재복구를 누르고 복구되면
다시 감지기를 하나씩 부착하여본다
부착하였을때 어느감지기가 다시동작된다면 해당감지기는
불량이므로 교체하여야한다
(2) 감지기 하부를 전체탈거하고 화재복구를누른후 복구되지않을때
* 구형감지기는 상부에 회로가 구성되어있어서 내부회로의
불량이다
( 오래된 구형감지기 상부회로는 노후화로인하여 불량이 될 수 있음)
☞ 구형감지기 상부 회로구성 사진

( 감지기상부에 회로가 구성되어있다)
☞ 신형감지기 상부 접점구성 사진

( 상부에는 접점만 구성되어있고 하부감지기 내부에 회로가
구성되어있다)
* 확인방법
감지기회로전선을+선또는-선(각각2선씩결선됨)중하나의 회선을
분리시키고 화재복구를 누른다
복구가 된다면 해당 감지기의 불량이다
복구가 되지 않으면 분리된회선을 별도로 연결시키고 다음
감지기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여간다
☞ 구형감지기상부 회선 결선사진

( 회선은 송배전식이므로 +또는- 선중 2가닥을 분리하여 선끼리
결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