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절에 따른 各論(각론).
■ 봄철(寅卯辰月,인묘진월) 의 甲木論(갑목론)
*봄철은 모든 萬物(만물)이 生氣(생기)를 갖기 시작하는
계절이므로 미약하다는 뜻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寅卯辰月(인묘진월)에 庚辛金(경신금)이
일점에 火氣(화기)없이 透干(투간) 하였다면
出生(출생)하자 집안이 망했다고 본다.
[ 庚辛金(경신금)은 甲木(갑목)을 보면 官(관)이므로
甲木(갑목)이 유약할 때 官(관)이 나타나
甲木(갑목)을 제거하는 상황이 되므로
태어나자마자 祖上(조상)의 德(덕)이 없어지는 격이다.]
* 또 庚辛金(경신금)이 어린 싹을 무참히 짖밟는 상황이 되므로
무법자, 깡패같은 못된 사람이 된다.
그러나 丙火(병화)가 있다면 오히려 貴命(귀명)이 된다.
庚辛金(경신금)이 나타나면 丙丁火(병정화)는 藥神(약신)이 된다.
[ 봄철 庚金(경금)이 丙火(병화)를 보면 서리로 여기어
丙火(병화)로 서리를 녹이는 격이니
오히려 봄철이 甲木(갑목)에 수분이 충족되는 격이다.]
※ 사주원국에 病(병)이 없을 때는 用神(용신)으로 쓰나,
病(병)이 있으면 藥神(약신)이 더 중요하다.(식신제살).
* 寅月(인월) 甲木(갑목)이 庚辛金(경신금) 이 있고
丙火(병화)가 庚辛金(경신금)은
어린싹을 잘라버리는 칼로 여기며,
丙火(병화)가 있다면 庚辛金(경신금) 서리는
丙火(병화)에 의해 녹아 수분으로 변화되어서
甲木(갑목)뿌리에 수분을 공급하니
丙火(병화)가 用神(용신)이 된다.
그러나 여자인 경우에는
丙火(병화)는 傷官(상관)이고
庚辛金(경신금)은 官(관)이어서
傷官(상관)이 남편인 官(관)을 剋(극)하고
녹여버리는 형국이므로 남편에게 害(해)만 줄 뿐이고
또한 丙火(병화)로 제거하니
못된 남편을 만나든지 해로하기가 어렵게 되는 경우가 많다.
* 봄철 甲木(갑목)의 지지에 巳午未(사오미)가 있다면
癸水(계수)를 用神(용신)한다.
[봄철의 甲木(갑목)은 水分(수분)이 충분하여야
왕성한 성장을 할 수 있는데
지지에 巳午未(사오미)가 있어
수분이 부족하니 단비라도 내려 수분을 공급하여
싹이 알맞게 틔우고 잘 자라게 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 팔자에 癸酉(계유), 壬申(임신)이 모두 있어
癸水(계수)와 壬水(임수)가 透干(투간)하여
水(수)가 旺(왕)하다면 봄철은 水分(수분)이 충분하여야 하나,
지지에 이미 水分(수분)이 充分(충분)한데
다시 癸水(계수), 壬水(임수)가 透干(투간)하면
丙火(병화)를 가리어 生物(생물)에
成長(성장)은 가로막고 추워지므로 疾病(질병)이 있게 된다.
여자는 자궁병이 있게 된다.
卯月(묘월)에 甲子日生(갑자일생)은
子卯刑(자묘형)이 되어 性病(성병)에 걸릴 수도 있다.
* 봄철에 甲木(갑목)은 丙火(병화)를
用神(용신)으로 쓰는 것이 正格(정격)인데,
봄철에 태어난 甲木(갑목)일주가
用神(용신)으로 庚辛金(경신금)을 쓰는 者(자),
즉 用神(용신)이 상반되는 者(자)는
처자와, 父子(부자), 배우자궁 또한 정상적이지 못하다.
[甲木(갑목)이 봄철에 태어낳으면
旺盛(왕성)하게 成長(성장)함이 당연하나,
성장은 마다하고 庚辛金(경신금)으로 잘리어야 좋고,
아니면 서리를 맞어야 좋은 格(격)이 되니
정상적인 사람이 아니므로 妻子(처자), 父子(부자),
配偶者(배우자) 또한 정상적인 수가 없다.]
* 봄철의 甲午(갑오)일주는 妻德(처덕)으로
出世(출세)할 수 도 있다.
[봄철의 甲(갑)일주는 丙火(병화)가 필요한데
日支(일지, 처궁)에 午中丁火(오중정화)가 암장되어
火氣(화기)를 왕성하게 하니 妻德(처덕)으로 출세하는 수가 많다.
또 巳火(사화)가 地支(지지)에 있는 경우에
巳中庚金(사중경금)이 암장되어 있어
木(목)과 刑(형)을 하여 木(목)의 뿌리를
傷(상)하게 할 우려가 있는데,
午中(오중)의 丁火(정화)가
巳中(사중)의 庚金(경금)을 無力(무력)하게 하니
일지 午火(오화)의 德(덕)으로 病(병)을 없애는 格(격)이 된다.
午中丁火(오중정화)는 天干(천간)에
丁火(정화)가 없으면 溫氣(온기)로 본다.]
* 또 일간 甲木(갑목) 氣運(기운)을
일지 火(화)에 泄氣(설기)를 하므로 (木生火,목생화)
자기 몸을 희생하는 상황이므로
醫師(의사), 技術者(기술자), 易術人(역술인), 등의
活人之士(활인지사)가 많다.
[ 봄철의 丙火(병화)는 萬物(만물)을
生長(생장)시키는 吉(길)한 작용을 하므로
甲木(갑목)이 丙火(병화)에 泄氣(설기)함은
좋은 일에 몸을 바친다는 의미이다.]
* 또 火(화)는 食傷(식상)이므로
기술, 예술, 활동하는 무대의 의미를 가지므로
예술가, 기술자로서 이름을 날린다.
* 寅卯月(인묘월)의 甲木(갑목)은 어린 싹 이어서
建祿格(건록격)이어도 身弱(신약)하다.
* 寅卯月(인묘월) 甲乙木(갑을목)은 어린싹 이어서
庚金(경금)이 丙丁火(병정화) 없이
透干(투간)된 者(자)는 깡패, 무범자가 되기 쉽고
사회에 피해만 끼치고 사는 자가 많다
( ※ 여름철 : 庚辛金(경신금) + 丁火(정화) = 구름 +벼락.)
* 寅卯月(인묘월)에 甲木(갑목)이 丁火(정화)를 보면
봄철의 甲木(갑목)이
가장 꺼리는 바는 서리가 내리는 것인데
丁火(정화)가 이를 녹여 水分(수분)으로 만드므로
惡神(악신)을 제거하고 喜神(희신)으로 만드는 格(격)이니
어려운 일을 해결하는 解決士(해결사)나,
警察官(경찰관)등을 業(업)으로 하는 자가 많다.
* 寅卯月(인묘월)의 甲木(갑목)이 丙火(병화)가 나타나면
丙火(병화)는 甲木(갑목)을 滋養(자양)하고
서리를 除去(제거)하는 역활을 한다.
* 寅卯月(인묘월)의 甲木(갑목)이 庚辛金(경신금)을 보면
찬서리를 만난 싹이 되어 잘 자랄 수 없고
무법자, 깡패, 난폭자가 되는 성향이 있다.
혹 조상에 대해 나쁜 소리를 듣게 하는 자가 되기 쉽다
(조상의 명예에 누를 끼친다).
* 봄철에 庚金(경금)과 丁火(정화)가 동시에 透干(투간)하면
잘 精練(정련)된 칼로 가지를 쳐주는 격이니 吉(길)하다.
[나무를 손질하여 주는 격이나
나무가 아직 어리기 때문에 大貴格(대귀격)이 못된다.]
* 만일 丁火(정화)가 透干(투간)하면
지지에 火局(화국)이 형성이 되는가 잘 살펴서
만일 火局(화국)이 형성되면 불난 격이 되어
甲木(갑목)이 모두 타버리거나 상처를 입는 격이 되어 凶(흉)하다.
* 寅卯辰(인묘진), 巳午未月生(사오미월생)은
丙火(병화)가 透出(투출)하여야 吉(길)하다.
* 申酉戌(신유술), 亥子丑月生(해자축월생)은
庚丁(경정)이 透干(투간)하여야 吉(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