七一. [子和]導水丸
大黃 黃芩 各二兩 滑石 黑丑(頭末) 各四兩
加法: 甘遂一兩 去濕熱腰痛 泄水濕腫滿 久病則加. 白芥子一兩 去遍身走注疼痛宜加. 朴硝一兩 退熱散腫毒止痛 久毒宜加. 郁李仁一兩 散結滯 通關節 潤腸胃 行滯氣 通血脈宜加. 樟柳根一兩 去腰腿沈重宜加.
上爲細末 滴水丸 桐子大. 每服五十丸 或加至百丸 臨臥溫水下.
71. [자화]도수환([子和]導水丸)
대황(大黃) 황금(黃芩) 각 2량(兩) 활석(滑石) 흑축(黑丑)(두말(頭末)) 각 4량(兩)
가(加)하는 법(法):
감수(甘遂) 1량(兩): 습열(濕熱)의 요통(腰痛)을 거(去)하고 수습(水濕)의 종만(腫滿)을 설(泄)하니 구병(久病)이면 가하느니라.
백개자(白芥子) 1량(兩): 편신(遍身)의 주주(走注) 동통(疼痛)을 거(去)하니 마땅히 가하느니라.
박초(朴硝) 1량(兩): 퇴열(退熱) 산종독(散腫毒) 지통(止痛)하느니라. 구독(久毒)에 마땅히 가하느니라.
욱리인(郁李仁) 1량(兩): 결체(結滯)를 산(散)하고 관절(關節)을 통(通)하며 장위(腸胃)를 윤(潤)하고 체기(滯氣)를 행(行)하며 혈맥(血脈)을 통(通)하니 마땅히 가하느니라.
장유근(樟柳根) 1량(兩): 요퇴(腰腿)의 침중(沈重)을 거(去)하니 마땅히 가하느니라.
세(細)하게 가루 내고 적수(滴水)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50환(丸)을 복용하니 혹 더하여 100환(丸)까지 하여도 되느니라. 임와(臨臥)에 온수(溫水)로 하(下)하느니라.
七二. [子和]神芎丸
治心經積熱 風痰壅滯 頭目赤腫 瘡癤咽痛 胸膈不利 大小便秘 一切風熱等證.
大黃(生) 黃芩 各二兩 黑丑(頭末 生) 滑石 各四兩 黃連 川芎 薄荷葉 各半兩
滴水丸 桐子大. 每服五十丸 食後溫水下. [局方]無黃連.
72. [자화]신궁환([子和]神芎丸)
심경(心經)의 적열(積熱)과 풍담(風痰)의 옹체(壅滯)로 두목(頭目)이 적종(赤腫)하고 창절(瘡癤) 인통(咽痛)하며 흉격(胸膈)이 불리(不利)하고 대소변(大小便)이 비(秘)하거나 일체(一切) 풍열(風熱) 등의 증(證)을 치료(治)하느니라.
대황(大黃)(생(生)) 황금(黃芩) 각 2량(兩) 흑축(黑丑)(생(生)한 것을 두말(頭末)) 활석(滑石) 각 4량(兩) 황련(黃連) 천궁(川芎) 박하엽(薄荷葉) 각 반량(半兩)
적수(滴水)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50환(丸)을 복용하니 식후(食後)에 온수(溫水)로 하(下)하느니라.
국방([局方])에는 황련(黃連)이 없느니라.
七三. [三因]小胃丹
上可去胸膈之痰 下可利腸胃之痰.
芫花 大戟(俱醋炒) 甘遂(麵裹煨) 各一兩 大黃(酒拌蒸) 一兩半 黃栢(炒褐色) 二兩
上爲細末 粥丸 麻子大. 每服十丸 溫水下.
73. [삼인]소위단([三因]小胃丹)
상(上)으로는 흉격(胸膈)의 담(痰)을 거(去)하고 하(下)로는 장위(腸胃)의 담(痰)을 이(利)하느니라.
원화(元化) 대극(大戟)(모두 초(醋)로 초(炒)) 감수(甘遂)(면(麵)에 싸서 외(煨)) 각 1량(兩) 대황(大黃)(주(酒)와 반(拌)하여 증(蒸)) 1량반(兩半) 황백(黃栢)(갈색(褐色)으로 초(炒)) 2량(兩)
세(細)하게 가루 내고 죽(粥)으로 환(丸)을 마자(麻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10환(丸)을 복용하되 온수(溫水)로 하(下)하느니라.
七四. 淸氣化痰丸
南星 半夏 各八兩(用皂角 白礬 生薑各三兩 水十碗煮至五碗 取湯浸星 夏二日 却煮至無白點爲度 晒乾聽用) 橘紅 檳榔 各二兩 木香 沈香 各一兩 蒼朮(米泔浸炒) 四兩
上爲末 薑汁糊丸. 淡鹽湯 白湯任下.
74.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
남성(南星) 반하(半夏) 각 8량(兩)(조각(皂角) 백반(白礬) 생강(生薑) 각 3량(兩)을 물 10완(碗)으로 달여서 5완(碗)이 되면 탕(湯)을 취하고 남성(南星) 반하(半夏)를 침(浸)하기를 2일하고 다시 달여서 흰 점이 없을 정도로 하며 쇄건(晒乾)하고 사용에 응(:聽)하느니라.) 귤홍(橘紅) 빈랑(檳榔) 각 2량(兩) 목향(木香) 침향(沈香) 각 1량(兩) 창출(蒼朮)(미감(米泔)에 침(浸)하여 초(炒)) 4량(兩)
가루 내고 강즙(薑汁)의 호(糊)로 환(丸)을 만들고 담(淡)한 염탕(鹽湯)이나 백탕(白湯)으로 임하(任下)하느니라.
七五. [丹溪]淸氣化痰丸
治上焦痰火壅盛 咳嗽煩熱口渴 胸中痞滿.
南星(製) 三兩 半夏(製) 黃連 黃芩 各五兩 栝蔞仁 杏仁(去皮尖) 茯苓 各四兩 枳實(炒) 陳皮 各六兩 甘草
上爲細末 薑汁煮糊丸 桐子大. 每服五十丸 薑湯下.
75. [단계]청기화담환([丹溪]淸氣化痰丸)
상초(上焦)의 담화(痰火)의 옹성(壅盛)으로 해수(咳嗽) 번열(煩熱)하고 구갈(口渴)하며 흉중(胸中)이 비만(痞滿)한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남성(南星)(제(製)) 3량(兩) 반하(半夏)(제(製)) 황련(黃連) 황금(黃芩) 각 5량(兩) 괄루인(栝蔞仁) 杏仁(피첨(皮尖)을 거(去)) 복령(茯苓) 각 4량(兩) 지실(枳實)(초(炒)) 진피(陳皮) 각 6량(兩) 감초(甘草)
세(細)하게 가루 내고 강즙(薑汁)에 자(煮)한 호(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50환(丸)을 복용하되 강탕(薑湯)으로 하(下)하느니라.
七六. 法製淸氣化痰丸
順氣快脾 化痰消食.
南星(去皮) 半夏 各四兩(用皂角 白礬 乾薑 各四兩 入水五碗 煎至三碗 去柤 却入南星 半夏浸二日 再煮至星 夏俱無白點爲度 晒乾 加後藥) 陳皮 靑皮 蘇子(炒) 神麯(炒) 麥芽(炒) 羅蔔子(炒 另硏) 杏仁(去皮尖 炒) 葛根 山査 香附 各二兩
上爲末 湯泡蒸餠丸 桐子大. 每服五七十丸 臨臥 食後茶湯下.
76. 법제청기화담환(法製淸氣化痰丸)
순기(順氣) 쾌비(快脾)하고 화담(火痰) 소식(消食)하느니라.
남성(南星)(피(皮)를 거(去)) 반하(半夏) 각 4량(兩)(조각(皂角) 백반(白礬) 건강(乾薑) 각 4량(兩)을 물 5완(碗)에 넣고 달여 3완(碗)이 되면 찌꺼기는 버리고 다시 남성(南星) 반하(半夏)를 침(浸)하기를 2일하고 다시 달여서 남성(南星) 반하(半夏)가 모두 흰 점이 없을 정도로 하며 쇄건(晒乾)하고 뒤의 약(藥)을 가하느니라.) 진피(陳皮) 청피(靑皮) 소자(蘇子)(초(炒)) 신국(神麯)(초(炒)) 맥아(麥芽)(초(炒)) 나복자(蘿葍子)(초(炒)하고 따로 연(硏)) 행인(杏仁)(피첨(皮尖)을 연(硏)하고 초(炒)) 갈근(葛根) 산사(山査) 향부(香附) 각 2량(兩)
가루 내고 탕(湯)에 포(泡)한 증병(蒸餠)으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50~70환(丸)을 복용하되 임와(臨臥) 식후(食後)에 차(茶)의 탕(湯)으로 하(下)하느니라.
七七. [隱君]滾痰丸
治一切濕熱食積等痰 窠囊老痰. 一方礞石止用五錢 外加百藥煎五錢 乃能收斂周身痰涎 聚於一處 然後利下 所以甚效.
礞石(硝煅金色) 一兩 大黃(酒蒸) 黃芩(去朽者) 各半斤 沈香 五錢
上爲細末 滴水爲丸 桐子大. 每服三五十丸 量人强弱加減.
服滾痰丸之法 必須臨臥就床 用熱水一口許 只送過咽 卽便仰臥 令藥徐徐而下 服後須多半日勿飮食起坐 必使藥氣除逐上焦痰滯惡物 過膈入腹 然後動作 方能中病. 或病甚者 須連進二三次 或壯人病實者 須多至百丸 多服無妨.
77. [은군]곤담환([隱君]滾痰丸)
일체(一切)의 습열(濕熱) 식적(食積) 등의 담(痰)과 과낭(窠囊)의 노담(老痰)을 치료(治)하느니라. 일방(一方)에는 몽석(礞石)을 단지 5전(錢)을 사용하고 그 외에 백약전(百藥煎) 5전(錢)을 가하느니라. 곧 능히 주신(周身)의 담연(痰涎)을 수렴(收斂)하여 일처(一處)에 취(聚)한 연후에 이하(利下)하므로 심(甚)히 효(效)하느니라.
몽석(礞石)(초(硝)로 단(煅)한 금색(金色)) 1량(兩) 대황(大黃)(주(酒)로 증(蒸)) 황금(黃芩)(후(朽)한 것은 거(去)) 각 반근(半斤) 침향(沈香) 5전(錢)
세(細)하게 가루 내고 적수(滴水)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30~50환(丸)을 복용하니 사람의 강약(强弱)을 헤아려 가감(加減)하느니라.
곤담환(滾痰丸)을 복용하는 법(法)은 반드시 임와(臨臥)에 취상(就床)할 때 열수(熱水) 1구(口) 정도로 하니, 단지 송(送)하여 인(咽)을 과(過)하면 바로 앙와(仰臥)하여 약(藥)을 서서(徐徐)히 하(下)하게 하느니라. 복(服)한 후에는 반드시 반일(半日) 이상 음식(飮食)을 먹거나 기좌(起坐)하지 말 것이니라. 반드시 약기(藥氣)가 상초(上焦)의 담체(痰滯) 악물(惡物)을 제축(除逐)하고 격(膈)을 지나 복(腹)으로 들어간 연후에 동작(動作)하여야 비로소 능히 병(病)에 중(中)하느니라. 혹 병(病)이 심(甚)하면 반드시 연(連)하여 2~3차(次) 진(進)하느니라. 혹 장인(壯人)의 병실(病實)하면 반드시 100환(丸)까지 이르니 다복(多服)하여도 무방(無妨)하느니라.
七八. [子和]硃砂滾涎丸
治五癎.
硃砂 白礬(生) 硝石 赤石脂 等分
上爲細末 硏蒜膏爲丸 綠豆大. 每服三五十丸 食後荊芥湯下.
78. [자화]주사곤연환([子和]硃砂滾涎丸)
오간(五癎)을 치료(治)하느니라.
주사(硃砂) 백반(白礬)(생(生)) 초석(硝石) 적석지(赤石脂) 등분(等分)
세(細)하게 가루 내고 연(硏)한 산(蒜)의 고(膏)로 환(丸)을 녹두(綠豆)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30~50환(丸)을 복용하니 식후(食後)에 형개(荊芥)의 탕(湯)으로 하(下)하느니라.
七九. [丹溪]靑礞石丸
解食積 去濕痰 重在風化硝.
南星 二兩(切片 用白礬末五錢 水浸一二日 晒乾. 又云一兩) 半夏 一兩(湯泡切片 以皂角水浸一日 晒乾) 黃芩(薑汁炒) 茯苓 枳實(炒) 各一兩 礞石 二兩(槌碎 焰硝二兩同入小砂罐內 瓦片蓋之 鐵線縛定 鹽泥固濟 晒乾 火煅紅 候冷取出) 法製硝(同萊菔水煮化 去蔔 綿濾令結 復入臘月牛膽內風化之. 或只用風化硝) 一兩)
上爲末 神麯糊丸 桐子大. 每服三五十丸 白湯下.
又方: 半夏 二兩 白朮 礞石 各一兩 黃芩 五錢 茯苓 陳皮 各七錢半 風化硝 二錢
上爲末 丸同前.
79. [단계]청몽석환([丹溪]靑礞石丸)
식적(食積)을 해(解)하고 습담(濕痰)을 거(去)하니 중(重)은 풍화초(風化硝)에 있느니라.
남성(南星) 2량(兩)(절편(切片)하고 백반(白礬) 가루 5전(錢)을 넣은 물에 침(浸)하기를 1~2일하고 쇄건(晒乾)하느니라. 또한 1량(兩)이라고도 하느니라.) 반하(半夏) 1량(兩)(탕(湯)에 포(泡)하고 절편(切片)하며 조각(皂角)의 물에 침(浸)하기를 1일하고 쇄건(晒乾)) 황금(黃芩)(강즙(薑汁)에 초(炒)) 복령(茯苓) 枳實(초(炒)) 각 1량(兩) 몽석(礞石) 2량(兩)(방망이로 쇄(碎)하고 염초(焰硝) 2량(兩)과 같이 작은 사관(砂罐) 안에 넣고 와편(瓦片)을 덮으며 철선(鐵線)으로 묶고(:縛定) 염니(鹽泥)로 고제(固濟)하며 쇄건(晒乾)하고 화(火)로 단(煅)하여 홍(紅)하면 냉(冷)하기를 후(候)하였다가 취출(取出)하느니라.) 법제초(法製硝) 1량(兩)(내복(萊菔)과 같이 물로 달여서 화(化)하니 복(蔔)은 거(去)하고 면(綿)으로 려(濾)하여 결(結)하면 다시 납월(臘月)에 우담(牛膽)에 넣고 풍(風)에 화(化)하느니라. 혹 단지 풍화초(風化硝)로 사용하느니라.)
가루 내고 신국(神麯)의 호(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30~50환(丸)을 복용하니 백탕(白湯)으로 하(下)하느니라.
다른 방(方): 반하(半夏) 2량(兩) 백출(白朮) 몽석(礞石) 각 1량(兩) 황금(黃芩) 5전(錢) 복령(茯苓) 진피(陳皮) 각 7전반(錢半) 풍화초(風化硝) 2전(錢)
가루 내며, 환(丸)을 앞과 같게 하느니라.
八十. [節齋]化痰丸
潤燥開鬱 降火消痰 治老痰鬱痰結成粘塊 凝滯喉間 肺氣不淸 或吐咯難出. 皆因火邪炎上 凝滯於心肺之分 俱宜開鬱降火消痰 緩而治之 庶可效耳.
天門冬(去心) 黃芩(酒炒) 海粉(另硏) 栝蔞仁(另硏) 橘紅 各一兩 連翹 香附(淡鹽水浸炒) 桔梗 各五錢 靑黛(另硏) 芒硝(另硏) 各三錢
上爲細末 煉蜜入薑汁少許搗丸 龍眼大. 噙嚼一丸 淸湯送下 或丸如綠豆大 淡薑湯送下五六十丸. 此等老痰 大約飮酒人多有之 酒氣上蒸 肺與胃脘皆受火邪 故結而成痰. 此方天冬 黃芩瀉肺火 海石 芒硝鹹以軟堅 栝蔞潤肺消痰 香附 連翹開鬱降火 靑黛去鬱火 故不用辛燥等藥.
80. [절제]화담환([節齋]化痰丸)
윤조(潤燥) 개울(開鬱)하고 강화(降火) 소담(消痰)하느니라. 노담(老痰) 울담(鬱痰)이 점괴(粘塊)를 결성(結成)하고 후간(喉間)에 응체(凝滯)하여 폐기(肺氣)가 불청(不淸)하고 혹 토각(吐咯)하여도 난출(難出)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모두 화사(火邪)가 염상(炎上)하여 심폐(心肺)의 분(分)에 응체(凝滯)하므로 인하느니라. 모두 마땅히 개울(開鬱) 강화(降火) 소담(消痰)하여 완(緩)하게 치료(治)하여야 효(效)하느니라.
천문동(天門冬)(심(心)을 거(去)) 황금(黃芩)(주(酒)로 초(炒)) 해분(海粉)(따로 연(硏)) 괄루인(栝蔞仁)(따로 연(硏)) 귤홍(橘紅) 각 1량(兩) 연교(連翹) 향부(香附)(담(淡)한 염수(鹽水)에 침(浸)하고 초(炒)) 길경(桔梗) 각 5전(錢) 청대(靑黛)(따로 연(硏)) 망초(芒硝)(따로 연(硏)) 각 3전(錢)
세(細)하게 가루 내고 연밀(煉蜜)에 강즙(薑汁) 소허(少許)를 넣고 도(搗)하여 환(丸)을 용안(龍眼) 크기로 만드느니라. 1환(丸)을 금작(噙嚼)하고 청탕(淸湯)으로 송하(送下)하느니라. 혹 환(丸)을 녹두(綠豆) 크기로 만들고 담(淡)한 강탕(薑湯)으로 50~60환(丸)을 송하(送下)하느니라.
이러한 등의 노담(老痰)은 대략 음주(飮酒)하는 사람에게 대부분 있으니, 주기(酒氣)가 상증(上蒸)하여 폐(肺) 위완(胃脘)이 모두 화사(火邪)를 받으므로 결(結)하여 담(痰)이 되느니라.
이 방(方)은 천문동(天門冬) 황금(黃芩)으로 폐화(肺火)를 사(瀉)하고 해석(海石) 망초(芒硝)의 함(鹹)으로 연견(軟堅)하며 괄루(栝蔞)로 윤폐(潤肺) 소담(消痰)하고 향부(香附) 연교(連翹)로 개울(開鬱) 강화(降火)하며 청대(靑黛)로 울화(鬱火)를 거(去)하므로 신조(辛燥)한 등의 약(藥)은 사용하지 않느니라.